[기획] ‘노동진號 수협’ 출범 1년… 새로운 도약 나선다

日 오염수 방류로 닥친 수산업 위기에 총력 대응… 조합원 권익 향상에도 앞장서

한원석 기자 2024.05.14 17:43:47

지난해 3월 27일 열린 취임식에서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사진)이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수협중앙회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이 ‘어업인이 부자되는 어부(漁富)의 세상’이란 기치를 내걸고 수협중앙회장에 당선돼 취임한 지 1주년이 지났다. 노 회장은 ▲활력있는 어촌 건설을 위한 어촌계 종합지원체계 구축 ▲어업인·회원조합 보조금 및 융자금 지원 규모 대폭 확대 ▲바다환경보전 특별위원회 신설을 통한 바다환경 보전 체계적 구축 ▲세제·제도개선을 통한 어업인 경영부담 완화 등을 추진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노동진 회장은 취임 첫날 새벽부터 서울 노량진수산시장에서 공식 임기를 시작하며 15만 수협 조합원과 회원조합 91곳을 이끄는 수장으로서의 새 출발을 알렸다. 이는 수산물 유통 인프라 구축을 통해 수산물 판로 확대 방안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러한 공약 사항을 차근차근 실행하고 있던 와중에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조치를 하면서 국내 수산업은 큰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노 회장을 비롯한 수협중앙회(수협) 구성원들은 이러한 위기에 슬기롭게 대처하며 극복하는데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는다. 취임 1년을 맞은 노동진호(號) 수협’을 살펴본다.

 

日 오염수 방류에 적극 대응

수협은 지난해 5월 ‘일본 원전 오염수 대책위원회(대책위)’를 구성하고, 수산업계 피해 최소화 대책 마련에 나섰다. 사진=수협중앙회

일본 정부는 지난해 8월 24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수산업계는 오염수의 방류만으로 수산물 소비급감으로 이어져 어업인과 수산업계에 막대한 피해를 입힐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시기가 가까워지자 수협은 어업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섰다. 지난해 5월 수협은 지역별 조합장협의회장과 수산단체가 참여하는 ‘일본 원전 오염수 대책위원회(대책위)’를 구성하고, 국내 수산물 생산·유통과 어업인 피해 최소화를 위해 ▲수산물 안전관리체계 강화 ▲수산물 소비촉진 전개 ▲국내 수산물 안전성 홍보 ▲어업인 지원방안 마련 등을 논의했다.

 

대책위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의 방사능 분야 공인 시험검사기관 지정이 되면, 수산물 방사능 안전성 정밀검사를 확대해 수산물 안전을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이러한 수협의 노력에 힘입어 지난해 11월 산하 수산물 안전관리 조직인 수산식품연구실이 ‘유통단계’의 식품안전을 담당하는 식약처로부터 방사능 공인 시험·검사 기관으로 지정됐다.

앞서 이 연구실은 8월 ‘생산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담당하는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수품원)으로부터 국내 1호 안전성 검사 대행기관으로 지정받은 바 있다. 이로써 수산물 안전관리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수협은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전국 수협 조직을 중심으로 상시적인 모니터링 체계도 구축했다.

이와 함께 수협은 6월 ‘우리 수산물 지키기 운동본부’를 만들고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를 반대한다”며 “오염수 방류와 우리 수산물의 안전성을 연관 짓지 말아 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운동본부는 우리 수산물 소비촉진 행사를 열고 ‘우리 수산물 안심하고 365일 소비합시다’라는 대대적인 우리 수산물 안전 캠페인에 나섰다.

같은해 7월 수협은 수산물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백원필 한국원자력학회장과 강건욱 서울대 의대 교수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는 등 전문가와 손을 잡고 공동 대응에 나섰다. 이들 자문위원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정재계와 손잡고 수산물 소비 촉진 나서

지난해 5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수산물 시식‧판매행사. 사진=수협중앙회

수협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각계 각층을 대상으로 한 수산물 소비 촉진에도 나섰다. 먼저 지난해 5월에는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국회의원, 국회 직원 1000여명이 참석한 시식‧판매행사를 열었다.

기업들과도 손잡았다. 지난해 8월 노동진 회장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과 면담을 갖고, 농어촌상생협력기금에 신규 출연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를 구했다. 협력기금 운영기관인 대·중소·농어업협력재단이 최근 ‘수산물 소비 활성화’라는 신규사업을 편성했는데, 노 회장이 수산업계를 위해 기업의 적극적인 기금 출연을 부탁한 것이다.

개별 기업과의 협력에도 적극적으로 매진했다. 1호 기업인 호반그룹을 시작으로 금호건설, HD현대, 하림그룹 등에서 ‘수산물 소비활성화 챌린지’ 행사를 열고 수산물 시식회 및 현장 판매부스 등을 통한 수산물 소비를 적극 홍보했다.

 

여기에 수협은 단체급식에 식자재를 납품하는 현대그린푸드‧풀무원푸드앤컬처‧삼성웰스토리‧신세계푸드‧CJ프레시웨이‧아워홈 등 국내 주요 6개 기업과 협약을 맺고 수산물 공급을 확대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조합 본연의 역할인 어업인 지원에도 매진

수협재단은 지난해 6월 경상국립대학교병원과 함께 경남 남해군 창선면 종합복지회관에서 어업인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의료봉사활동을 실시했다. 사진=수협중앙회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수협은 조합 본연의 역할인 어업인 지원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특히 고령화가 수산업계의 화두로 대두된 가운데, 상대적으로 의료 접근성이 취약한 어업인을 위한 의료서비스에 나서 의료 격차 해소에 나섰다.

지난해 여름 역대급 폭염으로 해수면 온도가 매우 강하게 올라가는 이른바 ‘슈퍼 엘리뇨’ 발생 등 각종 자연재해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자 양식어가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양식수산물재해보험 가입기간을 연장하기도 했다.

올해 들어 그동안 어업인의 세금 부담 완화를 위한 법안이 통과된 것도 노 회장의 성과로 꼽힌다. 지난 3월 어업인의 경제부담을 완화하는 내용의 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주요 내용은 양식 어업인의 소득에 대한 비과세 기준을 현행 200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상향하고, 농협·수협·산림조합 등 협동조합의 출자금에 대한 배당소득 비과세 한도를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이 밖에 극심한 어획 부진을 겪었던 오징어 어가 300곳을 대상으로 총 75억여 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이 지원되기도 했다.

노동진 회장은 당선 소감으로 “선거에 출마할 때 내건 공약과 전국을 돌며 조합장들의 건의사항을 받아 적었던 수첩의 내용을 적극 실행에 옮겨 중앙회의 근본 설립 목적인 조합과 어업인 지원에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협동조합은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연대와 협력의 상생정신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며 “경영이 어려운 조합을 우선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모든 어업인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노 회장의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문화경제 한원석 기자>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