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 투자, 39% 수익…미래 로봇 산업 ETF ‘눈길’

삼성운용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ETF, 나스닥100 대비 15.2%p 초과 수익 달성...순자산 1000억 돌파

김예은 기자 2025.08.18 16:16:06

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ETF, 상장 후 순자산 1,000억 돌파. 사진=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은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산업 핵심 기업에 투자하는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ETF가 국내 상장 휴머노이드 로봇 테마 ETF 중 최초로 순자산 1,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올해 4월 상장 이후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ETF는 누적 수익률 38.7%를 기록하며, 동기간 나스닥100 대비 15.2%포인트 높은 성과를 냈다. 개인 순매수 금액도 474억원에 달하며 ETF 상장 이후 최대 규모와 거래량을 기록했다.

이 ETF는 △테슬라 △엔비디아 △팔란티어 등 AI 기술력과 자본력을 갖춘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핵심 기업에 투자하며, 주력 기업 비중을 높여 퀄리티 높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적극적인 분기 리밸런싱을 통해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지난 6월에는 NXP반도체, 서브로보틱스가 편출되고 암페놀,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 등 5종목이 새로 편입됐다.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 투자하는 ‘KODEX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 ETF’도 최근 1개월 수익률 13.6%를 기록하며 반등세를 보였다.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과 유비테크, 유니트리, 도봇 등 기업들의 신제품 출시가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한동훈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기술적으로 완성형에 가까워졌지만, 양산과 상업화는 초기 단계이므로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 중심으로 투자하는 것이 적합하다”며 “휴머노이드 테마를 넘어 피지컬 AI 시대 새로운 테크 투자의 표준으로 자리잡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천비즈니스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2023년 약 24억 달러에서 2032년 약 660억 달러로 10년간 약 27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테슬라는 3세대 옵티머스를 양산 체제에 진입시켰으며,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피지컬 AI를 향후 AI 최대 시장으로 언급한 바 있다.

<문화경제 김예은 기자>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