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아르코(ARKO))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극장장 강량원, 이하 예술극장)이 무용분야 제작공연 <아르코 댄스 UP:RISE> 4개 작품 4개 무대를 예술극장에서 선보인다.
서울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11월 5일부터 11월 12일까지 열리는 <아르코 댄스 UP:RISE>는 예술극장이 무용 창작자들의 예술적 성장과 터닝포인트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이다. 2024년 <아르코 댄스&커넥션>에서 출발해, 올해 그 취지를 더욱 분명히 하고자 <아르코 댄스 UP:RISE>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단장했다.
<아르코 댄스 UP:RISE>는 창작 초연 작업을 지원하는 ‘스테이지 1’과 그 초연작을 1시간 분량의 완성작으로 발전시키는 ‘스테이지 2’로 나뉜다. 일시적인 제작 지원을 넘어, 지속적인 예술 성장의 발판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올해 ‘스테이지 1’에는 금년 5월 공개 모집을 통해 최종적으로 김영찬, 정찬일, 박유라, 민희정 네 명의 안무가가 선정됐다.
첫 공연은 안무가 김영찬의 작품 <감각의 분모(11월 5일,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이다. 청각의 부재를 출발점으로 감각의 다양성과 차이를 탐구하는 실험적 무대예술이다.
두 번째는 안무가 정찬일의 작품 으로 전시와 공연 사이에 위치하며 프로젝트에 따른 적합한 표현 방식과 매체로 작업한다.
세 번째 작품은 박유라의 <스턴트(11월 9일,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로 몸과 장면, 환상과 상황의 경계를 탐구한다.
네 번째는 민희정의 <체화(體化)(11월 12일,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작품으로 보이지 않는 것을 믿어온 몸의 태도를 불러낸다.
<아르코 댄스 UP:RISE>는 신진을 포함한 중견 무용 창작자들의 창작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2년간의 로드맵으로 우수한 무용 창작 작업이 지속될 수 있도록 창작지원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창작 초연을 지원하는 ‘스테이지 1’ 중 일부가 그다음 해 1시간 분량 완성작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스테이지 2’를 선정하여 2년간 창작 작업이 이어질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지난 3월부터 ‘스테이지 1’에 참여할 안무가를 선정하는 <아르코 댄스 UP:RISE> 오픈콜 공모를 통해 총 76건의 신청에서 4건을 선정했다.
작년 ‘스테이지 1’을 참여하여, 올해 ‘스테이지 2’로 선정된 이해니 안무가와 전혁진 안무가의 공연도 올해 11월 8일~9일과 12월 5일~7일에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과 소극장에서 각각 진행될 예정이다.
강량원 예술극장장은 “<아르코 댄스 UP:RISE> 사업을 통해 안무가들의 창작영역이 확대될 수 있도록 예술극장이 함께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