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예술감독 겸 단장 김종덕)은 <거장의 숨결>을 12월 17일(수)부터 18일(목), 12월 20일(토)부터 21일(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한국무용의 기틀을 다진 거장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무대다.
그간 한국춤의 외연을 확장해 온 국립무용단은 이번 무대를 통해 창작자들이 딛고 선 뿌리이자, 한국무용의 근간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마련했다. 국립무용단 역대 단장을 역임한 4명의 안무가 조흥동·배정혜·김현자·국수호의 대표작을 더블빌(Double Bill) 형식으로 재구성해, 오랜 시간 축적된 춤의 깊이와 장인의 숨결이 깃든 한국무용의 정수를 선보인다.
<거장의 숨결 I : 배정혜, 국수호>(12월 17~18일)에서는 한국 무용사에 중요한 전환점을 이룬 두 작품을 무대에 올린다. 배정혜 안무 ‘Soul, 해바라기’는 컨템포러리 한국춤의 새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2006년 초연 이후 2010년 독일, 2011년 네덜란드, 벨기에에서 전석 매진을 기록한 작품이다. 2016년까지 재공연되며 관객과 평단의 끊임없는 호평을 받아 국립무용단의 대표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이번 무대에서는 전통춤 살풀이로 풀어낸 1막을 선보인다. 이어지는 국수호 안무 ‘티벳의 하늘’은 1998년 초연작으로 당시 파격적인 구성, 철학적 사유가 담긴 몸의 움직임으로 주목받았다. 탄생과 죽음, 환생을 아우르며 인간 존재와 생명의 본질을 동양적 시선으로 사유해 한국무용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거장의 숨결 Ⅱ : 김현자, 조흥동> (12월 20~21일)에서는 한국무용의 여성성과 남성성이 대비되는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다. ‘매화를 바라보다’는 2011년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재직 당시 초연한 작품으로, 외형적 장치를 최소화한 채 무용수의 호흡과 움직임만으로 전통의 품격을 표현한다. 수묵화 같은 담백한 무대에 김죽파류 가야금산조의 선율이 더해지며 깊은 울림을 전한다. 조흥동 안무 ‘바람의 시간’은 이번에 선보이는 신작으로, ‘군자의 길을 걷는 삶의 자세’를 한국 남성춤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절제된 동작과 깊은 호흡을 통해 전통과 현대를 잇는 남성춤의 정수를 보여준다. 연출·시노그라피는 국립무용단 <향연>에서 협업했던 정구호가 맡아 시간과 공간의 흐름을 조화롭게 구성했다.
한편, 공연 전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국립무용단과 관객이 만날 수 있는 참여이벤트를 준비했다. 12월 2일(화) 전 단원이 출연하는 <거장의 숨결> 연습 현장을 미리 만나보고, 무용수로부터 직접 설명을 들을 수 있는 특별한 오픈리허설이 마련된다. 오픈리허설 티켓 오픈은 11월 20일(목) 오후 2시에 진행된다.
또한 국립무용단은 이번 공연과 연계해 ‘세계 속의 국립무용단, 미래를 향한 창작 발전 방안’이라는 주제로 12월 19일(금) 국립극장 별별실감극장에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무용인류학자 최해리와 무용평론가 김예림이 각각 <국립무용단 역사 속 정체성><국립무용단 미래의 방향성>을 발제하며 다양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