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커버스토리)‘이화영·안희정·이호철’ 대북채널의 전모

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에서 ‘다자정상회담’으로 선회

  •  

cnbnews 제11호 ⁄ 2007.07.03 10:52:53

노무현 대통령의 최측근인 안희정 씨가 지난 해 중국 베이징에서 북한 당국자를 비밀리에 접촉할 당시 정부에 일체의 신고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통일부 당국자는 27일 “안 씨가 북한주민 접촉사실을 사전에 신고하지도 않았고 사후에 신고하지도 않았다”고 밝혔다. 현행 남북교류협력법 제 9조 2항에 따르면, 남한주민이 북한주민을 직접 만나거나 전화·우편·이메일 등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통일부 장관에게 사전 신고를 하도록 돼있다. 부득이한 경우라도 접촉 후에는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 그러나 안 씨는 사전 신고는 물론, 사후 신고도 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신고하지 않고 북한 주민을 접촉할 경우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리도록 돼있다”며 “안 씨에게 과태료를 부과할지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는 “이화영 열린우리당 의원의 경우 지난해 10월 ‘북한 어린이 돕기’ 명목으로 북한주민 접촉신고를 사전에 했다”며 “지난해 북한 당국자를 만난 것이 애초 신고한 접촉 목적에 맞는지는 재단할 수 없다”고 밝혔다. ■ 안희정, “북측 인사 베이징에서 만났다” 시인 이와 관련해 안희정 씨는 “지난해 10월 중국 베이징에서 북측 인사를 만났다”고 시인했다. 안희정 씨에 따르면, “북한 핵실험 이후 남북관계가 냉각됐던 지난해 10월 26일 코트라(대한무역진흥공사) 출신인 권오흥 씨의 소개로 리호남 북측 참사를 만났다”는 것이다.

안희정 씨는 당시 “북측에서 ‘정부 공식 라인으로 할 수 없는 얘기가 있다’는 제의가 들어와 북측 인사를 만났지만 남북정상회담 관련 얘기는 없었다”고 밝혔다. 안희정 씨는 다만, “북측이 공식 라인에서 해야 할 쌀과 비료 지원재개 문제를 꺼내 대화가 30분 만에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또 북측에서 ‘평양에 와 달라’는 제안도 있었지만 “단호히 거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안희정 씨의 만남을 주선한 권오흥 씨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안 씨가 특사교환과 남북정상회담 추진의사를 밝히며 ‘공식 라인을 살리려 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권오흥 씨는 또 “이해찬 전 총리의 최근 방북도 안희정 씨의 제안으로 성사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호철 청와대 국정상황실장도 28일 “북한 핵실험 이후 모 주간지 기자로부터 ‘북한이 핵실험을 했지만 6자회담 복귀 의사는 물론 한반도 비핵화 의지가 있으며, 북한이 특사를 원한다’는 내용의 일종의 보고서를 받았다”며 “안희정 씨의 북측 인사 접촉은 노무현 대통령의 지시였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그런 보고서 말고라도 여러 루트를 통해 북한이 대화를 하고자 한다는 얘기가 당시 돌았다”며 “즉시 노 대통령과 비서실장에게 보고했고 그 채널이 신뢰성이 있는 건지, 북한의 생각이 뭔지 확인해 보라는 지시가 내려졌다”고 전했다. 이 실장은 이런 과정을 거쳐 안희정 씨와 이화영 열린우리당 의원이 작년 10월 20일 베이징에서 북측 리 참사를 만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실장은 “이 과정에서 나와 안 씨와 이 의원은 북한이 실제로 특사를 요구할 경우 실무적으로 누가 가는 것이 좋은 지를 논의했으며, 대통령 생각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이해찬 전 총리가 거론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0월 베이징 접촉 당시 남북정상회담이 논의됐을 거라는 관측과 관련해 이 실장은 “당시는 북한이 10월 9일 핵실험을 한 직후 한반도 긴장이 극도로 고조됐던 때로, 그런 국면에서 정상회담을 꺼낼 수 있는 처지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이어 “당시 만남에서는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의사와 한반도 비핵화 논의 의사 여부가 핵심이었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10월 베이징 접촉 시 북한의 리 참사는 쌀과 비료만 거론해서 얘기 진전이 안됐다고 들었고, 9월 접촉도 성과가 없었다고 들었다”고 덧붙였다. ■ 이화영 의원, ‘이화영-안희정-이호철’ 대북채널 가동의 전말 공개 이와 관련해 이화영 열린우리당 의원은 지난달 28일 CBS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이화영-안희정-이호철’ 대북채널 가동의 전말을 공개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채널 가동의 시발점은 지난해 2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화영 의원은 ‘남북청년정당인’ 수석대표 자격으로 청년 정당인 80여명과 함께 평양을 방문했다. 당시 노 대통령의 386 측근인 백원우 의원도 동행했다. 이들의 대화의 파트너는 ‘김일성 사회주의청년동맹’의 김경호 제 1비서였으며, 방북단은 북측 민화협 관계자들도 두루 만났다. 이후 북측은 이 의원이 노 대통령과 교감이 가능한 인물이란 점을 알고 6자회담 등 현안을 놓고 꾸준히 접촉을 가졌다고 이 의원은 밝혔다. 이화영 의원은 “자신은 주로 노무현 정부에 대한 북측의 오해를 푸는 데 주력했다”며 “대북송금특검 등을 계기로 북측이 참여정부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던 중 지난 해 7월 발생한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는 남북관계를 경색국면으로 몰고 갔다. 이종석 당시 통일부 장관의 ‘대북 인도적 지원 중단’ 조치가 뒤따랐고, 남·북한 간 공식 대화채널은 거의 단절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비공식 대북채널의 가동은 이런 상황과 맞물려 본격화 됐다고 이 의원은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10월 9일 북한이 전격적으로 핵실험을 강행한 당일, 북측은 이화영 의원에게 중국 심양에서 만날 것을 제안했다고 한다. 북측 아태 고위 관계자는 이날 회동에서 “북의 핵실험은 남한에 대한 선제공격용이 아니라 대화를 위한 자위적 수단”이라는 입장을 이화영 의원에게 전달했다. 핵실험을 전후로 북측 인사들과의 만남은 시시각각 이호철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에게 보고됐다고 이 의원은 밝히고 있다. 이 의원은 핵실험 이후 1~2차례 더 북측 관계자와 접촉을 가졌는데, 이런 와중에 이호철 상황실장에게 제3의 인물로부터 새로운 제안이 들어왔다고 말했다. 이화영 의원에 따르면, 국내 중견 언론인 N모씨가 이 실장에게 걸어 “북이 남의 특사를 받을 준비가 돼 있다. 6자회담에도 복귀할 의사가 있다고 하더라. 그런데 북이 만나고 싶은 사람은 안희정 씨다”라고 전했다는 것이다. ■ “안희정 씨는 작년 10월 접촉 이후 손 뗐다” 핵실험 이후 북한의 대화의지가 복수의 인물로부터 전달되자 이호철 실장과 안희정씨, 이화영 의원 3자는 회동을 갖고 북한 관계자와의 접촉에 나서기로 결정한다. 안희정 씨의 등장은 이렇게 시작됐다. 안 씨와 이화영 의원은 지난해 10월 20일 중국 베이징에서 북측 리호남 참사와 비밀리에 회동을 갖고 6자회담 복귀와 대북특사 파견 문제를 논의하려 했으나, 회동은 사실상 30분 만에 성과 없이 결렬됐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같은 부정적 결과가 발생한 것에 대해 이 의원은 “사전에 들은 얘기와 북측 리호남 참사를 만났을 때의 분위기가 180도 달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북측과 안희정 씨 사이를 연결해 준 중개인을 거치면서 양자 사이에 무언가 왜곡이 있었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당시 이들의 만남을 주선해 준 중개인은 남측의 중견 언론인인 N모씨와 북경에 있는 KOTRA 출신 권오홍 씨, 그리고 권 씨와 북측 리호남 참사를 연결하는 이 모 씨 등 3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화영 의원은 “당시 북측과의 회동에서 (남북대화의 대가로) 달러 보따리를 풀라는 식의 분위기가 살짝 있어서 30분 만에 자리에서 일어섰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중개인들이 북한과의 접촉을 매개하면서 과거의 방식으로 문제를 접근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후 북측은 안 씨에게 비선 라인으로 재접촉을 제의했으나, 안 씨는 공식라인으로 하자며 대북 채널에서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안 씨가 빠진 상황에서 이후 이 의원은 베이징을 10여 차례 오가며 대북 교착상태를 풀기 위한 메신저 역할을 계속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에 따르면, 북핵실험 이후 첫 평양방문은 12월 18일 이뤄졌다. 이 의원은 이 자리에서 김성혜 민화협 참사 등을 면담하면서 “6자회담에 복귀하면 특사를 파견할 수 있다”는 노 대통령의 뜻을 전달했고, “특사의 수준은 이해찬 총리급으로 할 수 있다”는 제안도 했다. 이에 대한 북한의 반응은 “긍정적이었다”고 이 의원은 밝혔다.

이후 올 1월 북한의 6자회담 복귀가능성이 흘러나오면서 기존의 비공식 라인은 이해찬 전 총리 중심의 공식라인으로 넘어갔다고 이 의원은 설명했다. 특히 지난 1월 말 이 의원은 자신이 이사장으로 있는 한국방정환재단 초청으로 북측 관계자 8명을 베이징으로 초청한 자리에서 북측 관계자로부터 “이해찬 전 총리가 개인 자격으로 평양에 왔으면 좋겠다”는 공식 제안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 노 대통령 ‘남북정상회담’에서 ‘다자정상회담’으로 선회 이 의원은 이날 방송인터뷰에서 “북한의 6자회담 복귀가 확정되면서 남북정상회담 보다는 북미관계 개선이 먼저라는 노 대통령의 뜻에 따라 대북채널이 공식라인으로 정리됐다”고 밝혔다. 또 열린우리당이 당내에 동북아평화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이해찬 전 총리가 당 차원의 방북을 희망함에 따라 정세균 당의장과의 협의에 따라 이뤄진 것이라는 게 이 의원의 설명이다. 한편, 이화영 의원은 지난달 25일부터 27일까지 중국 선양에서 북측 아태 관계자를 만나 “향후 고위급 인사가 자주 왕래하는 게 남북문제를 푸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했으나, 이해찬 전 총리의 방북 시기를 확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유성호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