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이종구 박사의 건강 클리닉 ⑧

돌연사의 주범 관상동맥질환
<1>협심증은 어떤 병인가

  •  

cnbnews 제80호 편집팀⁄ 2008.08.19 16:18:37

독자들은 평소 건강하던 사람이 길을 걷거나 운동을 하다가 또는 잠을 자다가 급사했다는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의학적으로 아무런 예고가 없거나 증상이 나타난 지 1시간 이내에 사망할 때 ‘돌연사’ 또는 ‘급사’라고 한다. 이런 돌연사는 대부분 관상동맥질환에 의해서 발생한다. 통계적으로 보면, 10명 중 8명은 심근경색증 같은 관상동맥질환으로 사망하며, 1명은 심장판막증이나 심근증 등의 심장병으로 사망하고, 나머지 1명은 과로사나 원인불명의 사망이다. 우리의 심장은 매일 약 10만 번 이상 뛰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끊임없이 수축을 하기 위해 심장은 혈액순환을 통해 지속적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한다. 이 혈액순환은 우리 심장 표면에 있는 왕관 모양의 관상동맥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우리의 관상동맥에는 좌측과 우측 동맥이 있으며, 좌측은 전하행선지와 좌회전지로 갈라지고 또 다시 작은 가지로 갈라진다.

심장이 필요로 하는 혈액의 양은 자주 변한다.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는 심장근육이 해야 할 일이 많지 않기 때문에 소량의 혈류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심한 운동을 할 때는 휴식 때보다 몇 배가 넘는 혈류를 공급해야 한다. 이렇게 다양한 조건에서 혈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려면 관상동맥의 크기가 적절하게 변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좁아지면 필요할 때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게 되며, 그 결과 심장근육은 허혈상태에 빠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협심증이 발생한다. 그리고 관상동맥이 혈전으로 인해 완전히 막히면 심장근육에 심근경색증이 발생하거나 치명적인 부정맥(심실세동)이 발생하여 급사를 할 수도 있다. 이렇게 관상동맥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들을 포괄적으로 ‘관상동맥질환’ 또는 ‘허혈성 심장병’이라 부른다.

■ 이런 증세가 보이면 협심증 1772년에 영국의 허버든 박사가 처음으로 협심증에 대해 자세히 보고하였다. 그러나 당시 그는 이 병이 관상동맥질환이라는 것을 알 수 없었으며, 흉부의 근육에서 발생하는 통증이라고 생각했다. 협심증이란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 즉 콜레스테롤 같은 이물질이 쌓여 혈관이 좁아짐에 따라 생기는 병이다. 혈관이 좁아지면, 휴식상태에서는 이상이 없지만, 운동을 할 때 심장근육에 혈액공급이 부족해지면서 허혈상태가 발생하여 흉통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협심증은 안정성(노작성) 협심증, 변이형(경련성) 협심증, 불안정성 협심증(급성 관상동맥증후군)의 3가지로 분류된다. 안정성 협심증 = 안정성 협심증은 속보로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또는 등산을 할 때 나타난다. 이때 앞가슴에 통증을 느끼는데, 이 증상은 휴식을 취하면 1~2분 내에 사라지는 특징이 있다. 이 통증은 환자들이 다양하게 표현한다. 짓누르는 듯하다, 뻐근하다, 아리다, 가슴이 벌어지는 듯하다, 또는 고춧가루를 뿌린 듯하다 등의 표현을 많이 쓴다. 이 통증은 목·턱·등 또는 팔(안쪽)로 퍼질 수 있다. 가슴 통증은 날씨가 춥거나 배가 부를 때 또는 아침시간에 잘 발생한다. 그리고 운동을 시작할 때 잘 나타나지만, 잠시 쉰 후에는 더 심한 운동을 해도 통증을 느끼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안정성 협심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운동할 때 앞가슴의 중앙부위가 아프다. 이 통증은 턱 또는 좌측 팔로 퍼질 수 있다. - 휴식을 취하면 2~3분 이내에 없어진다. - 추운 날씨, 아침시간, 과식, 정신적 불안증이 증상을 악화시킨다. - 흉통은 흔히 호흡곤란을 동반하며, 때에 따라서는 통증 없이 호흡곤란만을 경험할 수도 있다. 변이형 협심증 = 변이형 협심증은 백인에게는 아주 드물지만 한국인과 일본인에게 많은 병이다. 변이형 협심증은 주로 아침시간에 발생하는데, 이 시간에는 화장실에 가는 등 가벼운 운동으로도 발생한다. 그러나 낮이나 저녁에는 심한 운동을 해도 흉통이 발생하지 않는다. 일부 변이형 협심증 환자는 과음을 하면 그 다음날 아침에 협심증이 나타난다. 술을 많이 마시면 동맥이 확장하며 얼굴이 빨개진다. 그러나 반대로 술이 깰 때가 되면 관상동맥이 수축하여 변이형 협심증이 생기는 것이다. 협심증이 없어도 과음을 하면 위 또는 식도에 염증이 생겨 가슴에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이런 사람은 물이나 우유를 한 잔 마시면 가슴의 통증이 완화될 수 있으나, 변이형 협심증은 그렇지 않다. 협심증과 식도염을 구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의 하나는 니트로글리세린을 혀 밑에서 녹이는 것이다. 이 약을 사용했을 때 가슴의 통증이 1분 이내에 확실히 좋아지거나 없어진다면 협심증이라고 확신할 수 있다. 불안정성 협심증 = 불안정성 협심증은 안정성 협심증보다 더 심각한 병으로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이라고도 한다. 이 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기회에 하겠다. 죽종은 산화된 LDL콜레스테롤이 주성분이지만, 여기에 염증세포·거품세포·섬유질·칼슘이 축적되어 만들어진다. 오래 되고 크면서 경고(硬固)한 죽종은 잘 파열하지 않지만, 오히려 비교적 새로 생긴 작은 불안전한 죽종이 파열하여 혈전을 만들어서 불안전성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을 유발한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