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금융지주의 저축은행 인수 초읽기

저축은행 부실 간과 못해…삼화저축은행 등 6곳 물망

  •  

cnbnews 제206호 성승제⁄ 2011.01.24 14:07:29

금융지주사들이 저축은행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로 인한 인수-합병(M&A) 전쟁에 나서고 있다.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은 최근 삼화저축은행 인수전에서 일단 빠지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앞으로 금융감독 당국 주도의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M&A가 봇물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주사들의 불꽃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금융지주사들의 저축은행 인수전은 지난 14일 삼화저축은행이 금융당국으로부터 영업정지를 당하면서 본격화됐다. 금융위기에 따른 부동산 침체로 잠재적 부실저축은행들이 급증했고, 공적자금을 투입할 경우 여론의 따가운 비판이 예상되는 만큼 금융지주사들이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한 것. 또 과거에 부실 저축은행을 또 다른 저축은행에 떠넘기는 방식으로 해결했다가 ‘부실의 대형화’를 초래했던 아픈 경험을 재현하지 않기 위해서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처럼 금융당국이 새해 들어 저축은행들을 수술대에 올린 이유는 지난 2008년 말 발생한 금융위기로 2009년에는 수습에만 매달렸고, 한숨 돌릴 시점인 2010년에는 G20 정상회의가 있어 잡음 많은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단행하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G20 전에는 국가 이미지 문제가 있었고 G20 회의가 끝난 후에는 금융위원장을 바꾸느니 마느니 하는 이야기가 나돌기 시작해서 큰 문제를 결정하기가 어려웠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업계 내부에서는 결단의 시점이 너무 빠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금융계 내부에서는 별다른 반응이 없는 실정이다. 더 기다리면 안되는 이유가 부실이 커지기 때문이 아니라 엄밀하게 말하면 부실하지 않은 것으로 숨겨온 부실이 수면 위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실제로 PF 사업장들의 ‘돌려막기’가 어려워지자 지난해 하반기 저축은행의 PF대출 연체율은 급등했다. 지난해 6월말 8.7% 수준이었던 연체율은 지난해 연말에 와서는 20%대로 뛰어 올랐다. 이대로 내버려두면 12월말 실적이 공개되는 2월경에는 BIS(자기자본비율)가 크게 떨어져 예금인출 대란이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캠코의 구조조정기금을 동원해 부실채권을 임시로 사주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이는 문제를 뒤로 미루는 것에 불과하다.

금융당국 의지 확인…금융지주 인수전 본격화 이처럼 금융당국의 저축은행 부실 문제 해결 의지가 강해지면서 국민-우리-신한-하나 등 4대 금융지주회사들 역시 부실 저축은행 인수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현재 유력 후보군으로 6곳이 물망에 올랐다. 지난해부터 M&A 시장에 나와 있는 삼화, 중앙부산, 전주저축은행 외에도 자산부실화로 인해 국제결제은행(BIS)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A, B, C, D, E저축은행 등이 거론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역시 대형 금융지주회사들이 인수할 부실 저축은행을 6곳으로 확정해 지주사와 협의를 진행중이다. 이 중 상장사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에서는 우선 유력 후보로 지난해 매물로 나온 삼화-중앙부산-전주 등 3곳을 꼽고 있다. 삼화저축은행은 KB금융지주를 제외한 우리-신한-하나금융지주에서 눈독을 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중앙부산과 전주는 부산저축은행 계열사로 지난해 9월 M&A 시장에 나왔지만 아직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중앙부산은 지난해 6월말 기준 BIS 비율이 3.9%로 금융당국의 경영개선권고(BIS비율 3~5%) 대상에 해당한다. 삼화는 BIS 비율이 -1.4%로 가장 강력한 조치인 경영개선명령(BIS비율 1% 미만) 대상이다. 이 외에도 추가 인수 후보 3곳에 대한 예상도 속속 나오고 있다. 금융권 및 저축은행업계의 복수 관계자에 따르면 A, B, C, D, E저축은행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중 자산규모 1조원 이상인 곳은 4곳이다. 비교적 우량한 것으로 알려진 B저축은행의 경우 과도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A은행은 BIS비율이 -3.1%로 최하위권이다. 지난해 6월말 기준으로 105개 저축은행 가운데 총자산 1조원 이상인 저축은행은 28개에 이른다. 이 중 상위 10개사와 나머지 18개사를 각각 1군과 2군으로 나눠 조사한 결과, BIS비율은 1군이 9.4%, 2군이 7.6%로 집계됐다. 28개 저축은행 중 금융감독당국의 자산 건전성 지도 비율(BIS 비율 5% 미만)을 충족시키지 못한 곳은 모두 4곳이었다. 증권업계 한 애널리스트는 “대부분 부실 저축은행의 원인이 부동산 PF 부실인 만큼 4대 금융지주가 이들을 인수해 PF가 정리될 수 있다면 ‘건설 시장 리스크 해소→건설 시장회복→미승인 PF 사업 개시→저축은행 PF 건전성 개선’의 선순환고리를 만들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