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이철호 복지 칼럼]식품사(食品史)에서 보는 한국고대사

  •  

cnbnews 제388호 이철호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이사장⁄ 2014.07.24 11:18:49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

우리나라의 고대사는 통일신라 이후 오랜 기간 동안 받아온 중국의 영향과 가깝게는 일본의 식민지 침탈 과정에서 크게 훼손되고 왜곡 되었다는 게 역사학자들의 공통적인 견해이다. 중국 고전에 나오는 고대 동이족(東夷族)에 대한 기록들은 대체로 한족(漢族)보다 앞선 문화민족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그 구체적인 근거나 맥락을 찾을 수 없어 동이는 변방의 오랑캐로 전락되어 있다.

특히 오늘날 통설로 인정받고 있는 한국 고대사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내물왕(AD356-402) 이전의 기록을 사료로 인정하지 않는 식민사관의 잔재를 안고 있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한해협 주변의 한반도 동남해안과 일본 규우슈 북서해안에서 기원전 1만-8천년경에 만들어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원시 토기들이 출토되고 있다. 기원전 6000년경에는 이들 토기와 조개무덤이 한반도 전역에 퍼져 사용된 흔적이 발굴되고 있다.

식품학자의 눈으로 볼 때 토기의 사용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물을 포함한 젖은 음식을 담고 가열할 수 있는 용기의 개발이며, 이것은 필연적으로 끓임(boiling)문화와 발효기술의 태동을 의미한다. 토기의 사용으로 마른 곡식을 물에 끓여 밥을 짓고, 바닷물에 수산물과 채소를 함께 넣어 찌개를 끓였을 것이다.

밥과 국 또는 찌개로 구성된 한국인의 기본 밥상은 기원전 6천년대부터 내려온 음식문화인 것이다. 지금도 투박한 뚝배기에 부글부글 끓는 찌개를 밥상에 올려놓고 먹는 한국인의 유별난 식습관은 이처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토기에 젖은 음식을 담아두면 미생물이 자라게 되고 사람이 먹을 수 없으면 부패이고 먹을 수 있으면 발효이다. 토기에 담은 젖은 낟알에 곰팡이가 자라 누룩이 되고 술이 된다. 토기에 담긴 바닷물에 시들은 채소를 넣어 두면 유산균의 작용으로 김치가 되고, 여기에 소금과 조개, 멸치, 새우를 넣어두면 젓갈이 된다.

발효기술의 발전으로 식품을 장기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그 시대 사람들의 영양상태는 크게 좋아졌을 것이며, 끓이는 조리 기술로 음식에서 오는 각종 질병이 크게 감소하였을 것이다. 이와 같이 토기의 사용은 동북아시아인들의 위생과 영양상태를 호전시켜 기골이 장대하고 인구수가 크게 늘어 초기 국가형성기를 선도하는 엘리트 그룹으로 발전시켰을 것이다.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 새롭게 존재가 확인된 경남 함안군 가야읍 말이산 고분군내 100호분. 무덤 내에 각종 토기류가 보인다. 사진 = 연합뉴스


이러한 식품사적 발전 연대는 우리 사학계에서 위작으로 경시하고 있는 ‘한단고기(桓檀古記)’의 연대와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한단고기는 동이족의 첫 번째 국가인 한(환)국(桓國)이 하늘의 신에 의해 기원전 7197년에 백두산과 흑룡강에 세워졌다고 전한다. 그후 3300년간 투쟁이나 전쟁이 없이 7명의 황제에 의해 통치되었다고 하는데, 이는 성경 창세기에서 아브라함을 비롯한 고대인들이 천년을 살았다는 내용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기원전 3897년에 환웅이 두 번째 나라 신시개천(新市開天)을 세운다. 환웅의 제국은 1565년간 18명의 황제에 의해 지속되는데. 기원전 2707년 14번째 황제인 치우(蚩尤)는 삼황오제(三皇五帝)로 알려진 중국신화에도 등장한다. 기원전 2333년에 단군은 세 번째 나라인 단군조선(檀君朝鮮)을 건국한다. 단군조선은 한국(桓國)신화에 나오는 마지막 전설의 국가이다.

한반도 원시토기문화의 시작을 기원전 8000년대로 본다면 동이족의 첫 씨족국가의 형성 시기를 이 시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기원전 6000년경에 한반도 전역에서 토기가 사용되었다고 하는 것은 동북아 군장사회의 형성과 연관 지을 수 있다. 신화의 내용을 사실로 믿기는 어렵지만 고고학적 유물과 연계하여 신화를 사실화 할 수 있다. 특히 기원전 8000년부터 기원전 2000년 사이의 잃어버린 동이족 역사를 복원하려면 동북아 원시토기문화시대의 식품사를 더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이철호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이사장,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