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사들이 지분 비중이 높은 외국인 주주들에게 다른 상장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배당을 유지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우리·신한·하나·SC·씨티 등 6개 금융지주사는 지난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4조4645억 원을 주주들에게 현금으로 배당했다. 이들 지주사들이 같은 기간 거둔 순이익은 28조5039억 원(연결 기준)으로 평균 배당성향이 15.7%에 달했다.
특히 SC와 씨티는 외국인 지분율이 100%다. 또 하나(70.1%), 신한(64.5%), KB(63.5%) 등도 외국인 지분율이 60~70%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금융지주사들의 4년 간 배당금 가운데 2조8283억 원(63.4%)이 외국인 주주에게 돌아간 셈이다.
금융지주사들은 은행을 주력으로 대부분 국내 소비자를 상대로 이자 차익을 내 순익을 올렸지만, 이러한 순익의 과실을 결국엔 외국인 주주들이 약 3분의 2를 가져간 것이다.
따라서 자본시장 활성화와 시장 자율성을 고려해 배당을 막을 수 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금융업의 특성상 자본건전성을 고려해 무분별한 배당을 적절히 규제해야 하는 반론이 맞서고 있다.
아울러 외국인 지분 비중이 높은 금융지주사를 중심으로 매년 고배당 시도를 둘러싸고, 이들 금융사들과 감독당국 간의 갈등이 반복되는 상황이기도 하다.
한편, 일각에서는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금융사들의 높은 배당 성향에 대해 국부 유출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국부유출 규제 차원에서라도 특히 해외 본사에 대한 비정상적인 용역비 지급이나 과도한 배당 시도를 하는 것에 대해 금융당국이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