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3월 프로그램

전시품의 다양한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시간

  •  

cnbnews 안용호⁄ 2025.02.27 22:01:41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와 원석탁본 전경. 사진=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큐레이터의 상세한 전시품 해설과 함께 전시품을 관람하는 프로그램이다. 3월에는 새 단장을 마치고 성황리에 운영되고 있는 선사고대관(2.14.)을 비롯한 다양한 상설전 전시품의 이야기를 풍성하게 즐길 수 있다.

먼저, 지난 2월 재개관한 선사고대관은 인류의 등장부터 고대 국가의 출현에 이르는 긴 역사를 삶의 흔적이라는 주제 아래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어 관람객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고 있다. 특히 새로운 발굴 자료 공개와 고도화된 연출 기법은 관람객의 전시품 이해도를 한층 높여주었다. 이에 3월 첫째 주에는 <청동기시대 지배자의 출현>과 <고구려를 바라보는 창, 무덤벽화>를, 셋째 주에는 <고구려 사람들의 집>을, 넷째 주에는 <선사인의 도구-돌도끼 이야기>라는 주제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큐레이터의 친절한 전시 설명을 통해 인류의 기나긴 역사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집모양토기 고구려.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이와 함께 역사의 길에 자리한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와 경천사 십층석탑에 대한 큐레이터와의 대화도 들을 수 있다. 둘째 주에 진행되는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에서는 광개토대왕릉비의 표면 질감과 비문까지 생생하게 복원한 과정에 대해 만나볼 수 있다. 더불어 <또 다른 전시 탁본>에서는 최대 높이 6.39m의 돌 4면에 1,775자가 새겨진 광개토대왕릉비의 탁본에 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전시품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주에 마련된 <경천사 십층석탑>에서는 탑의 조성 배경과 수많은 조각의 아름다움, 석탑의 수난사 등을 접할 수 있어 전시품의 이모저모를 살펴볼 수 있다.

이른 시기 비파형 동검  청주 학평리 유적 출토. 사진=국립중앙박물관

그 외에도 다양한 주제들을 마련했다. 서화관에서는 3월 5일 <새해 송축용 그림, 세화>를, 3월 19일 <조선시대 산수화>를, 3월 26일 <조선시대 초상화>를 진행한다. 박물관에 소장된 다양한 화목의 회화들을 만나볼 수 있다.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에서는 3월 12일 <양산 출토 반가사유상>을, 3월 19일 <불복장과 불상>에 대해 들을 수 있다. 3월 5일 세계문화관 일본실에서 <일본 회화 감상>을, 3월 26일 기증관 기증 2실에서는 <기증의 가치와 문화유산>을 진행한다. 선사·고대관에서 <박물관의 역사, 시간 속 이야기>가 진행되어 박물관의 소장품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을 것이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

관련태그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대화  김재홍  광개토대왕릉비  집모양토기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