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연재
·
교육 기반 붕괴되는데, 웬 무상급식 논란?
최영태 편집국장 오는 6월 2일 지방선거는 ‘복지선거’란다. 포스터 등을 보니 여야를 불문하고 ‘복지’란 문구를 경쟁적으로 쓰고 있어 역시 복지가 최고 쟁점인 것 같다. 그리고 야당은 전면 무상급식을 복지 쟁점 중 으뜸으로 삼겠다고 했다. 궁금한 것은 지금 이 시점에, 고려대…
‘추노 이후 시대’에 드라마 달라져야 한다
는 한국 드라마사에 획을 그은 작품이다.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인물의 성격 규정이다. 이 드라마에 나오는 인물들은 한마디로 꼭 집어 선인-악인으로 나누기 힘들다. 도망 노비를 괴롭히는 잔악스런 추노꾼 이대길은 때로는 잡은 추노를 풀어주기도 하고, 돈만 아는 시장…
가르치고 배우자, 동물처럼…
최영태 편집국장 사람과 동물은 여러 모로 다르지만, 가르치고 배우는 방식만큼 다른 분야도 드물다. 사람은 말로 가르치고, 동물은 몸으로 가르친다. 수십 명을 50분 동안 붙박이로 앉혀놓고 말로 가르치는 교육은 인간만이 할 수 있다. 동물 세계에서 이런 방법은 불가능하다. 동물은…
‘심판이 이러면 안 되죠’ 남발하는 한국 언론
국제적인 경기를 한국 방송으로 보면 경험하게 되는 특이한 현상이 있다. 바로 심판에 대한 불신의 멘트들이다. “오늘 심판이 이상합니다” “아, 심판이 저러면 안 되죠” 등등. 근본적으로 심판의 자질을 의심하거나, 또는 심판이 매수당했다, 어느 한쪽 편만을 든다는 의혹을 표현하는 발언들이다.…
‘물건’ 잘 만드니 한국은 아무 문제 없다?
‘지는 해가 가장 아름답다’는 말이 있다. 망하기 직전에 최고의 광휘를 구사하지만, 시대에 뒤진 기업이나 나라는 곧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는 말이다. 미국의 사진 평론가 마이크 존스턴은 카메라 렌즈로 이런 현상을 말했다. 4×5인치나 되는 대형 필름으로 사진을 뽑아내는 대형 카메…
이렇게 서로 못 믿으면서 선진국 될 수 있나②
최영태 편집국장 지난 호 글에서 ‘아포스티유’라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없는 문서를 한국 대학들이 외국에서 대학을 다닌 편입 지원 학생에게 강요한다는 사례를 얘기했다. 외국에서 학교를 다녔다는 기록을 ‘무조건 불신하고 보는’ 한국인의 일상적인 태도의 한 사례였다. 이런…
이렇게 서로 못 믿으면서 선진국 될 수 있나 ①
한국이 이미 선진국이 됐다는 소리가 많지만, 이런 얘기를 들을 때마다 “정말로?”라는 의문이 든다. 한국이 선진국이 되기 힘든 이유 한 가지만 들어 보자. 한국인의 대정부 신뢰도는 세계 최저 수준이다. 얼마 전 여론조사에서는 ‘처음 만난 사람’에 대한 신뢰도보다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더 낮았…
‘추노’식 자막처리 필요한 한국인의 영어 사용
시청률 30%를 돌파해 최고 인기라는 드라마 에는 가끔 대사에 별난 자막이 따라붙는다. 이런 식이다. 대사: 반노(叛奴) 일로 심상(心傷)하여 분루(忿淚)가 종횡무진(縱橫無盡)하더니, 이리 추쇄(推刷)하여 만분다행(萬分多幸)일세. (자막: 도망 노비 때문에 열 받아서 눈물 날 지경이었는…
걷는 사람을 멸시하는 사회
“건강해지려면 BMW를 하라”는 말이 있다. 버스(Bus) 타고 전철(Metro) 타면서 걸으라(Walk)는 뜻이다. 서울처럼 BMW 하기 좋은 곳도 드물다. 전철·버스·마을버스가 실핏줄처럼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BMW 체계는 잘 돼 있지만, 이 체제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무섭다…
정 총리의 세종시 수정안, 경제학자 맞긴 맞나
최영태 편집국장 새해 벽두인 지난 2일. 미국의 경제지 에 재미있는 기사가 실렸다. ‘구두쇠 경제학자’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미국 경제학회(AEA)는 3일 애틀랜타에서 정기총회를 열었다. 신년 시무식을 할 시간에 이들이 애틀랜타에 몰려들어 총회를 한 이유는 딱 한 가지, 애틀랜타의 메리…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