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전국/사회
·
성동구 송정보건지소, '마음을 잇고 기억을 더하다' 운영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지역주민의 만성질환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해 지난 6월 송정보건지소에서 마음을 잇고 기억을 더하다 프로그램을 총 6회 운영했다고 밝혔다.송정보건지소는 2023년 9월에 개소한 송정동공공복합청사 내 3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자가건강관리능력 향상을…
휠체어도, 유모차도, 망설임 없이 걷는 길! 마포 무장애길 조성 완료
서울 마포구(구청장 박강수)는 구민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한 무장애길 사업(턱 낮춤 사업)을 최근 완료했다.이번 사업을 통해 마포구는 관내 횡단보도 247개소에 대한 턱 낮춤 정비를 마치며, 보행환경 개선에 큰 전환점을 마련했다.횡단보도 턱 낮춤이…
강동구, 동주민센터 방문복지인력 대상 안전교육 실시…“현장 안전부터…
서울 강동구(이수희 구청장)는 지난 11일(금), 찾아가는 보건 복지서비스 확대와 복지 민원 다양화로 인한 위험 노출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동주민센터 방문복지인력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이번 교육은 동주민센터에서 복지건강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 약 100명을 대상…
혼자여도 외롭지 않도록…마포구, 1인 가구 실태조사 실시
서울 마포구(구청장 박강수)는 사회적 고립 위험이 큰 1인 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체계적인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해 10월 10일까지 실태조사를 시행한다.조사 대상은 50세 이상 전월세 취약 1인 가구 약 1400가구로, 2024년 7월 1일부터 2025년 6월 9일까지 신규로 지정된 기초생…
“악취 차단, 침수 예방” 중구형 스마트 빗물받이로 똑똑하게 관리한다
서울 중구가 중구형 스마트 빗물받이를 도입해 제일평화시장, 광희패션몰, 광희초등학교 일대 총 20곳에 시범 설치했다. 빗물받이 악취 문제를 해결하고 집중호우에 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다.중구형 스마트 빗물받이는 기존 빗물받이와 달리 평소에는 덮개가 닫혀 있어, 하수관로에서 올라오는 악…
“즐거운 여름방학, 여기 어때?” 중구청소년센터, 방학맞이 특강 풍성
서울 중구가 다가오는 여름방학을 맞아 코딩놀이부터 농구, 스케이트보드에 이르기까지 초등학생 및 중학생을 위한 다양한 특강을 마련했다.중구청소년센터는 7월 28일(월)부터 8월 14일(목)까지 약 3주간 특강을 진행하며, 관내 청소년들이 방학 기간에도 즐겁고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
1900년대와 현재를 잇는 철도 디오라마 전시... 용산역사박물관, ‘과거…
서울 용산구(구청장 박희영)는 용산역사박물관(한강대로14길 35-29) 1층 상설전시실에 1900년대와 현재의 용산역을 재현한 철도 실사 모형(디오라마, Diorama)을 설치하고 7월 15일부터 일반에 공개한다고 밝혔다.이번 디오라마는 철도교통의 중심이 된 용산 전시 코너에 조성되었으며, 3월부…
배움에는 끝이 없다! 용산구, 2025 용산 YES 아카데미 수료식 개최
서울 용산구(구청장 박희영)가 지난 10일 숙명여자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2025년 용산 YES 아카데미 수료식을 개최했다.이날 수료식에는 수료생들을 축하하기 위해 박희영 용산구청장, 문시연 숙명여대 총장, 유종숙 숙명여대 미래교육원장이 참석했다. 행사는 수료증 수여, 우수 참여자 시상, 활…
내년도 사업, 구민이 직접 고른다! 송파구 2026년 주민참여예산 온라인…
서울 송파구(구청장 서강석)가 오는 25일까지 2026년 주민참여예산 사업 선정을 위한 구민 대상 온라인 투표를 실시한다고 15일 알렸다.주민참여예산제는 투명하고 책임 있는 예산 운용을 위해 예산편성부터 주권자인 구민 의견을 반영해 구정 참여를 보장하는 제도다.내년도 주민참여예산 편성 규…
“재산세, 잊지 말고 납부하세요”…영등포구, 7월 정기분 재산세 부과
서울 영등포구(구청장 최호권)가 2025년 7월 정기분 재산세 229,982건, 1,215억 원을 부과했다고 밝혔다.이는 지난해 같은 달 정기분 재산세 1,143억 원 대비 약 72억 원이 늘어난 수치로 개별주택과 공동주택의 공시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재산세는 매년 7월과 9월에 부과된다. 7월에…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