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전국/사회
·
성북구, 어린이날 단체복 1,800장 제작…아이·지역·청년 모두 웃었다
서울 성북구(구청장 이승로)가 서울패션섬유봉제협회(회장 유지용)에 위탁 운영 중인 성북스마트패션산업센터를 통해 성북구 국공립 어린이집연합회와 협력, 2025년 어린이날을 기념한 단체 티셔츠를 제작해 관내 47개 어린이집에 공급한다.티셔츠는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공룡 캐릭터 디자인으…
강북구, 음식물쓰레기 감량 나선다...우수 공동주택에 인센티브 지급
서울 강북구(구청장 이순희)는 음식물쓰레기 감량을 위해 오는 5월부터 음식물쓰레기 감량 우수 공동주택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이번 사업은 관내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음식물쓰레기 배출 감량률을 평가해, 우수 단지에 보상품 및 감량 인증 현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
서초구, 전통악기 ‘소금’ 제작 체험하는‘국악기 탐구생활’운영
서울 서초구(구청장 전성수)는 오는 6월부터 7월까지 매주 토요일마다 전통 국악기 소금(小笒)을 직접 제작해보는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 국악기 탐구생활을 운영한다고 밝혔다.국악기 탐구생활은 바이올린활을 직접 만들어보는 서초구의 인기 프로그램 클래식악기 탐구생활의 국악 버전으로 기획된…
구로구, 중장년 1인가구 대상 정리수납 자문 ‘틈새 수납’ 참여 가구 모…
서울 구로구(구청장 장인홍)는 중장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정리수납 자문(컨설팅) 지원사업 틈새 수납」에 참여할 15가구를 모집한다고 밝혔다.구는 정리와 수납에 어려움을 겪는 40세부터 67세 사이의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환경 개선과 정서적 안정을 돕기 위해 정리수납 자문 프로그…
강북구, 노인일자리 참여 어르신 대상 응급처치 교육 실시
서울 강북구(구청장 이순희)는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처치를 시행할 수 있도록 노인일자리 참여 어르신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교육은 지난 18일 오전과 25일 오전오후 총 3회에 걸쳐 북서울종합사회복지관에서 진행됐으며, 응급처치 전문 강사가 직접 방문…
성북구, 저소득층·장애인 대상 ‘2025 평생교육 이용권’ 지원 시작
서울 성북구(구청장 이승로)가 교육 소외계층의 지속적인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4월 24일(목)부터 2025년 평생교육 이용권 지원사업을 본격 시작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총 852명에게 1인당 연간 35만 원씩, 약 3억 원 규모의 교육 이용권이 제공된다.1차 모집은 오는 5월 14일(수)까지 진행되며, 성…
성북구 중화요리 맛집 ‘천안문’,윤택·육중완과 함께 어르신 300명에…
서울 성북구(구청장 이승로) 길음1동에 위치한 중화요리 맛집 천안문(대표 이용현)이 지난 25일, 지역 어르신 300여 명을 초청해 따뜻한 짜장면을 대접하는 훈훈한 행사를 열었다.이날 행사에는 방송인 윤택 씨와 가수 육중완 씨가 자원봉사자로 참여해 배식은 물론 어르신들과 정겨운 이야기를 나누…
“문학이 이렇게 재밌다고?“ 성북구, 「달밤의 청포도」체험프로그램…
서울 성북구(구청장 이승로)가 가정의 달을 맞아 성북근현대문학관과 문화공간이육사에서 체험형 문학 교육 프로그램 달밤의 청포도 : 태준과 육사, 서로를 찾아가다를 오는 5월 1일부터 5일까지 운영한다.성북을 대표하는 문인 이태준과 이육사의 문학세계를 주제로 기획된 이번 가족 참여형 행사…
“이제 안심하고 달리세요”... 금천구, 전동보장구 사고 대비 보험 지원
서울 금천구(구청장 유성훈)는 전동보장구를 이용하는 장애인, 어르신,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전동보장구 안심보험에 가입했다고 밝혔다.전동보장구는 도로교통법상 자동차가 아닌 보행자로 분류돼 인도로 통행해야 한다. 이로 인해 사고 발생 위험이 높고, 개인 보험 가입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공…
은평역사한옥박물관, 소장품전 ‘수집과 수집_비교의 미학’ 개최
서울 은평구(구청장 김미경)는 운영하는 은평역사한옥박물관에서 오는 30일부터 10월 12일까지 소장품전 수집과 수집_비교의 미학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지난해 개관 10주년을 맞은 은평역사한옥박물관은 개관 이전부터 지금까지 구입, 기증, 기탁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4천6백여 점의 소장품을 수…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