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박주현 의원 “고소득자 연금 세액공제 축소”…소득세법 개정안 발의
박주현 국민의당 국회의원은 고소득자에 대한 연금 세액공제 혜택을 줄이는 내용을 담은 소득세법 개정안을 10월 10일 대표 발의했다.현행법은 연금 계좌에 대해 납입액의 12%(종합소득 4000만 원 이하 또는 근로소득 5500만 원 이하인 자에 대해서는 15%)를 연간 400만 원 한도에서 세액공제 해…
대표이미지
이케아-한샘, AR 기술로 가구업계 선점…경쟁사에 영향 미칠까
가구점에 찾아가지 않고도 가구를 미리 배치해보고 쇼핑하는 시대가이케아, 한샘 등 가구업계를 중심으로 펼쳐지고 있다.이케아, iOS 기반 AR 선보여가구 제조업체 이케아 코리아는 가상으로 가구를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증강현실(AR) 앱 ‘이케아 플레이스’를 10월 5일 출시했다.이는 지난 6월…
대표이미지
[광고&기업: 셀트리온·메디톡스] 그냥 달리기만 한 광고 vs 신화까…
최근, 일부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이례적으로 공중파에 기업 PR 광고를 방영하기 시작해 광고계 관계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코스닥 최강자 셀트리온과 보톡스 전문기업인 메디톡스가 그 주인공이다. 두 회사의 기업 광고는 언뜻 비슷한 콘셉트로 보인다. 하지만 광고 전문가는 상반된 평가를 내놓았…
대표이미지
“모든 교통, 이 손안에 있소이다” - 카카오와 SKT 교통앱 경쟁
분사 1달 카카오모빌리티 급성장…앱으로 폭스바겐 신차 판매까지SKT, 업계 1위 ‘티맵’에 음성비서 ‘누구’ 결합으로 300만 다운로드스마트폰의 교통 관련 앱(App. 응용프로그램)들이 진화하고 있다. 스마트폰이 차량용 내비게이션을 대체하기 시작한 것은 이미 오래된 이야기다. 이젠 택시…
대표이미지
보수 정비 필요한 문화재 30%가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
지난 2014년 '문화재 특별 종합점검' 이후 3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보수정비가 필요한 문화재가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송기석 의원은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문화재 특별 종합점검 후속 조치 자료를 검토한 결과, 보수 정비가 필요한 문…
대표이미지
정세균 의장, 호주 상원의장 만나 “北 핵 미사일 규탄" 한 목소리
정세균 국회의장이 9월 27일 오후(현지시간) 터키에서 스티븐 페리(Stephen Parry) 호주 상원의장을 만나 한반도 안보 현안 및 양국 교류 증진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이 만남은 정 의장이 현재 제3차 믹타(MIKTA) 국회의장회의 참석 차 터키 이스탄불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이뤄졌다.…
대표이미지
[재계] 길고도 긴 도시바 인수전 ‘237일 풀스토리’
(CNB저널 = 황수오 기자) 반도체 낸드플래시 부문 세계2위 기업인 도시바가 9월 21일 우여곡절 끝에 메모리사업부문의 최종인수자로 한미일 연합을 선택한 가운데, 그동안 인수전이 여러 굴곡을 겪게 된 사연이 주목받고 있다. 도시바는 올해 초까지만 해도 국민정서와 기술유출 문제 등을 인수합병…
대표이미지
[재계] 이해진 네이버 창업주는 왜 ‘총수’가 싫은 걸까
(CNB저널 = 도기천 기자) 문재인 정부 들어 재벌개혁이 화두로 부상하면서 대기업 총수가 되기를 스스로 꺼리는 회장님들이 하나둘씩 늘고 있다. 재벌이 편법증여, 일감몰아주기, 문어발식 확장, 정경유착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면서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 이미지가 더 커졌기 때문. 70년 역사의…
대표이미지
[금융] 혜성처럼 등장한 ‘인터넷전문은행’…꼬인 스텝 3가지
(CNB저널 = 이성호 기자) ICT기업이 주도하는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를 출현시킨다는 목적으로 올해 혜성처럼 등장한 케이뱅크(K뱅크)·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금융소비자들의 반응은 가히 폭발적이다. 하지만 국정감사 시즌을 맞아 K뱅크 인가 특혜 의혹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고, 활성화…
대표이미지
[노동] 한전산업개발·인천공항공사…문재인 정부 일자리 창출 파열…
(CNB저널 = 손강훈 기자) 문재인 정부가 국정화두로 ‘일자리’를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밀어붙이기식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로 인해 기존 정규직이 밀려나는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이로 인한 정규-비정규직 간의 갈등도 커지고 있는 상황. 정책의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