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전국/사회
·
“소중한 아기의 탄생을 축하합니다” 강동구, 출산 가정에 축하 용품 지…
서울 강동구(이수희 구청장)는 올해 강동구에 주소를 두고 2025년생 아기를 출생신고 한 가정에 출산 축하 용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이번에 제공하는 축하 용품은 신생아용 기저귀 1팩과 20L 종량제 봉투 30매로 구성됐다. 특히, 종량제 봉투 지급은 서울시 자치구 가운데 최초로 시행하는 사업으로…
"동작구를 빛낸 ‘모범 구민’을 모십니다” ... 2025년 자랑스러운 구민…
서울동작구(구청장 박일하)가 지역공동체의 자부심을 높이고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품격 행정의 일환으로 구정 발전에 기여한 모범 구민을 발굴 포상한다.구는 타의 귀감이 되는 관내 개인단체에 수여하는 2025년(제32회)자랑스러운 구민상 후보자 추천 접수를 시작했다고 13일 밝혔다.본 상은 올해…
마포구, ‘킥보드 없는 레드로드’ 캠페인 펼친다
서울 마포구(구청장 박강수)는 2월 14일 오후 3시, 킥보드 없는 거리가 될 레드로드에서 킥보드 금지 구간과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 수칙 등을 알릴 캠페인을 진행한다.레드로드는 마포구의 대표 명소로 유동 인구가 많고 핼러윈과 연말연시에는 안전관리가 필요할 정도로 인파가 몰리는 구간이다. 많은…
서초구, KCC글라스 'Dream 홈씨씨' 업무협약 체결
서울 서초구(구청장 전성수)는 12일 구청 5층에서 ㈜KCC글라스(대표 정몽익)와 자립준비청년 및 복지사각지대 청년의 자립역량 강화를 위한 「Dream 홈씨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식에는 전성수 서초구청장, ㈜KCC글라스 김명주 이사, 그리고 반포종합사회복지관과 방배…
휠체어도 있고 차도 있는데 탈 수가 없네... 노원구, ‘서울시 최초‘ 중증…
서울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서울시 최초로 중증장애인의 이동에 필요한 차량용 보조기기 지원 사업을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지원대상인 개인 차량 보조기기는 리프트, 경사로(램프), 이동(회전) 시트 등을 말한다. 가까운 거리는 휠체어나 전동보장구로, 먼 거리는 차량으로 이동해야 하는 장애인…
“청소년 외모 가꾸기, 함께 이해해요” 마포중앙도서관 특별강연 개최
서울 마포구(구청장 박강수)는 2월 19일 오후 2시 마포중앙도서관 세미나실에서 청소년과 성인 5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과 외모 가꾸기라는 주제의 특별 강연을 개최한다.청소년의 외모 가꾸기는 기성세대의 가치관과 충돌하는 흔한 문제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과제였다. 여기에 다양…
“유아기 발달이 평생 성장 좌우”… 송파구, ‘드림스타트 유아 발달 프…
서울 송파구(구청장 서강석)가 2025년부터 드림스타트 대상 아동의 균형 잡힌 발달을 돕는 행복 성장 더하기 지원을 새롭게 추진한다.올해 구는 드림스타트 최초로 유아기의 신체, 인지, 정서적 발달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도입, 발달 초기에 적절한 자극과 경험을 적시 제공키로 했다. 초등학생 중심…
도봉구 어르신 500명 새 일자리 찾았다
서울 도봉구(구청장 오언석) 지역 내 어르신 500명이 새 일자리를 찾았다. 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도봉형 어르신 일자리 사업 참여를 통해서다.'도봉형 어르신 일자리 사업'은 일자리 참여 의사가 있는 어르신들께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여타 어르신 일자리 사업과 다른 점은 참여 어…
영등포구 1인가구 청년, 무료 건강검진 실시...예약 없이 검진 가능, 보건…
서울 영등포구 보건소가 지역 내 1인가구 청년을 대상으로 무료 건강검진을 실시한다고 밝혔다.2023년 기준, 영등포구의 1인가구는 77,900여 가구로 전체 가구의 40.9%를 차지하며, 그중 19~39세 청년층이 43,800여 가구(56.2%)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1인가구 청년은 간편식 위주의 불규…
강북구, 주민 손으로 지역 문제 해결… 2025년 마을공동체 사업 공모
서울 강북구(구청장 이순희)는 주민 주도로 지역사회 현안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2025년 강북구 마을공동체 사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강북구 마을공동체 사업은 주민 주도의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강북구에 거주 또는 근무, 학습 등의 활동을 하는 3인 이상…
931
932
933
934
935
936
937
938
939
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