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4년 새 50% 올랐다

  •  

cnbnews 이병훈⁄ 2014.12.11 15:05:03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4년 50%포인트 가까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전세가율이 70%를 넘은 자치구가 8곳으로 집계됐다.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보다 45%가량 감소할 전망이어서 전세가율은 내년에도 더욱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1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25개 자치구의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은 63%로, 4년 전인 2010년 12월(42.1%)보다 49.6%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를 들어 1억 원짜리 아파트 전세를 구하기 위해 2010년에는 평균 4210만 원이 들었다면, 올해는 6300만 원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해에는 전세가율이 70%가 넘는 자치구가 한 곳도 없었지만 올해는 8곳으로 늘어났다. 성북구 아파트 전세가율이 73.7%로 가장 높았으며, 동대문(72.1%), 관악(70.9%), 금천·서대문(70.7%), 성동(70.5%), 구로(70.4%), 중랑(70.4%)구 순으로 뒤를 이었다.

강동구의 경우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이 2010년 36%에서 지난달 58.1%로 4년간 61.4%포인트 상승했다. 강남 3구도 상승 폭이 커졌다. 강남구의 아파트 전세가율은 2010년 36.1%에서 지난달에는 53.8%로 49%포인트 상승했다. 서초구 48.8%포인트(38.7%→57.6%), 송파구는 52.3%포인트(38.4%→58.5%) 각각 올랐다.

내년에도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2만418가구로 올해(3만6860가구)보다 44.6%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5년간 입주 물량이 가장 적었던 2012년(1만9088가구)과 비슷한 수준이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아파트 수급 불균형이 예상되는 데다 대규모 재건축 단지 이주 수요까지 겹치며 전세난이 가중될 것”이라며 “전세가율 상승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