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영국 작가 톰 안홀트, 학고재청담서 아시아 첫 개인전

회화-드로잉 등 근작 총 18점 전시

  •  

cnbnews 김금영⁄ 2019.05.22 16:59:44

톰 안홀트 작가.(이미지 제공=학고재)

학고재청담은 5월 22일~6월 30일 영국 작가 톰 안홀트의 개인전을 연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아시아 첫 개인전이기도 하다.

현재 베를린에서 활동하는 작가는 독일 표현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모더니즘 미술사와 작가의 가족사를 한 화면에 중첩시키는 작업을 펼쳐 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최근 완성한 크고 작은 회화와 드로잉 등 총 18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작가의 작업은 마티스, 세잔, 피카소, 그리고 샤갈 등 모더니즘 계열 작가들의 영향과 서아시아 삽화의 한 장르인 ‘페르시안 미니어처’의 특징을 융합한 것이 특징이다. 그는 서구 문예의 정점인 모더니즘과 이슬람 문화의 요소를 한 화면에 조화시킨다. 미술사와 가족사 등 모든 종류의 역사에서 작업의 영감을 얻으며, ‘문제적인’ 작업을 추구한다. 작가는 “내 작업 과정은 열정과 두려움 그리고 영감을 주는 모든 것들로 이뤄진 공을 영원히 쫓는 것과 같다”고 말한다.

 

톰 안홀트, ‘바디 이미지(Body Image)’. 판넬에 유채, 60 x 50cm. 2019. ©Tom Anholt and courtesy of Galerie EIGEN + ART Leipzig/Berlin.(이미지 제공=학고재)

특히 작가는 미술사와 자신의 가족사 연구를 통해 독자적인 화면을 구축한다. 그는 열네 살 때 런던 테이트 브리튼에서 열린 막스 베크만의 전시를 본 뒤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이후 매일 화실에서 작업을 했으며 졸업 후에는 베를린에 정착해 피카소와 마티스, 세잔을 비롯해 샤갈과 독일 표현주의, 청기사파 등 유럽의 모더니즘 작가들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서구 문화와 역사적으로 갈등 관계에 있는 서아시아의 페르시안 미니어처도 작업 세계로 끌어들였다. 이는 아일랜드계 어머니와 터키계 유대인 조상을 둔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작가의 정체성과도 연관이 있다.

 

톰 안홀트, ‘지나가는 배들(Passing Ships)’. 판넬에 유채, 50 x 60cm. 2019. ©Tom Anholt and courtesy of Galerie EIGEN + ART Leipzig/Berlin.(이미지 제공=학고재)

안홀트 가문의 조상은 16세기 말 유럽으로 이주했던 터키계 유대인이다. 페르시안 미니어처는 몽골의 정복 전쟁 시기 중국으로부터 전파돼 13세기에는 페르시아의 주요한 회화 장르 중 하나로 자리 잡았고, 이후 터키의 오토만 제국의 삽화 장르에도 영향을 끼쳤다. 안홀트 가문이 수 세기에 걸쳐 서쪽으로 이동한 것과 마찬가지로, 페르시안 미니어처 또한 중국에서 출발해 서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남쪽으로는 인도, 서쪽으로는 터키에까지 전파됐다. 페르시안 미니어처가 거쳐 온 이주의 역사는 유럽 내에서도 이주를 거듭했던 유대계 가족이었던 안홀트 가족의 역사와도 닮아 있다.

학고재 측은 “‘재약이 곧 창조’라는 피카소의 말을 즐겨 인용하는 작가는 작업세계에도 금기는 없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신념이 기독교에 뿌리를 둔 서구의 문화와 이슬람교를 바탕으로 한 서아시아 문화를 한 화면에 조화시키는, 금기에 가까운 이질적인 시도로 이어졌다”며 “작가의 캔버스는 충돌이나 반목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이 둘을 한 화면에 자연스럽게 조화시킨다”고 밝혔다.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