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아날로그가 주는 행복① 세월 지날수록 香 더 짙어지는 1980년대

그 당시 생활, 최근 들어 復古 주제로 쓰여

  •  

cnbnews 김응구⁄ 2025.05.08 16:39:35

1980년대는 각종 산업에서 소비되고 있다. 식음료로, 패션으로, 문화 콘텐츠로 다양하게 재생산되고 있다. LP는 그 시대를 추억하는 아주 좋은 도구다. 사진=김응구 기자
​​​​​

몸이 고된지 생이 버거운지, 문득 1980년대가 떠올랐다. 오십 중반인 지금으로부터 거슬러 오르면 어림잡아 40년 전이다.

생각나는 몇 가지가 있다. 아주 개인적인 것들이다. 82년 프로야구가 태동했고, 83년엔 마이클 잭슨이 ‘빌리진(Billie Jean)’을 부르며 문워크를 선보였다. 83년과 84년엔 이현세의 만화 ‘공포의 외인구단’ 때문에 밤잠을 설쳤다. 87년엔 영화 ‘백 투 더 퓨처’ 1편을 보고 “이게 바로 헐리우드구나”를 실감했다. 88년엔 전 세계 축제 ‘서울올림픽’이 열렸고, 89년엔 서울 잠실에 ‘롯데월드 어드벤처’가 개장했다.

한때 드라마의 배경으로 1980년대가 소비됐다. ‘응답하라 1988’이 그랬고 영국 BBC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라이프 온 마스’도 그 시절 감성이 그득했다.

그때의 1000원으로는 무얼 할 수 있었을까. 갑자기 궁금해졌다. 그래서 검색해봤다. 당시 택시 기본요금은 800원이었다. 소주 한 병 값은 200원이었고, 500원이면 짜장면 한 그릇을 먹을 수 있었다. 오락실 게임 한 판은 50원이면 됐고, 라면 한 봉지는 대략 100원대였다.

지금이야 껌 한 통 값밖에 되지 않지만 그 시대에는 참 많은 걸 할 수 있었다. 물론 그때와 지금의 물가를 단순 비교하는 건 의미 없는 일이다. 그래도 짜장면값 500원을 떠올리면 1000원을 내고 친구와 둘이서 배부르게 먹던 집 근처 중국집이 생각나고, 오락값 50원을 떠올리면 친구와 번갈아 가며 ‘갤러그’를 즐기던 중국집 근처 오락실이 기억난다.

1980년대의 ‘추억 보정’은 유난히 심한 듯싶다. 그 당시 생활 속 모든 것이 최근 들어 복고(復古)의 주제로 쓰인다. 소주병이 그렇고 맥주캔이 그렇다. 덜덜거리는 선풍기도 다시 모습을 드러내고, 드라마 속 스트라이프 패션은 다시금 주목받는다.

한 장에 5~6만원하는 LP는 날개 돋힌듯 팔리고, 1만원 넘는 카세트테이프도 소장용으로 팔려나간다. 더 디지털다운 것을 찾는 요즘, 필름 감성 충만한 디지털카메라는 없어서 못 판다. 간식거리가 부족하지도 않은데 굳이 그 시절 인기였던 라면이나 스낵을 찾아 먹는다.

‘오래된 사람’이면 예전의 그 맛, 그 감성을 느끼고 싶어 찾는다고 하겠다. 헌데, 젊은 세대는 왜 환호할까.

지난해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재밌는 조사를 했다. ‘복고(레트로) 문화 및 힙 트래디션 관련 인식 조사’(중복응답)인데, 전국 만 13~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복고문화를 향유(享有)하는 주 소비층은 ‘2030세대’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의 복고문화를 만들어나가는 세대를 묻자 20대(68.6%)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58.7%), 40대(26.0%), 10대(19.7%), 50대(8.9%), 60대(2.5%) 순이었다. ‘복고문화를 주로 즐기는 세대’ 역시 20대(71.4%)가 가장 많았다. 30대(57.2%), 10대(22.0%), 40대(21.8%), 50대(9.1%), 60대(3.0%)가 뒤를 이었다.

트렌드모니터는 “젊은 세대가 복고문화를 선도하는 ‘영트로(Young+retro)’ 현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며 “과거의 문화 요소들이 2030세대를 통해 새로운 문화적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하나, 복고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더니 ‘다양한 분야에서 복고 콘셉트가 등장하는 게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72.9%나 됐다. 복고문화의 유행 배경에는 행복했던 과거 시절이 주는 안정감과 따뜻함을 찾고자 하는 니즈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팍팍하고 불안한 지금에 비해 과거 행복했던 시절을 보며 편안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응답자들이 복고문화 중 가장 호감을 느끼는 분야는 ‘복고풍 옛날 노래’(40.4%)였다. 이어 △복고풍 식품(33.4%) △복고풍 시대 콘텐츠(28.8%) △복고풍 패션(26.1%) △복고풍 식당·카페(24.4%) 순이었다.

내 나이는 내 것이지만 과거는 나만의 것이 아님을 알게 됐다. 모두의 것이다. 그게 레트로로 활용되든 뉴트로로 사용되든 말이다.

달콤한 내일을 위해 어제는 오늘의 보약쯤으로 생각했다. 지나고서 보니 어제는 내일보다 더 달콤했고 아름다웠다. 다시 맛볼 수 없을 그 달콤함이 아주 소중해졌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

관련태그
아날로그  1980년대  복고  LP  영트로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