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데스크 칼럼] 로컬의 가치가 뜬다! 로코노미 마케팅 열풍
공주 밤 라떼, 춘천 감자빵. 지역 특산물로 만들어져 지역 고유의 특색을 보여주는 먹거리입니다. 지역 특화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역명을 사용하는 가게나 제품은 물론, 지역 특산물을 주제로 만든 먹거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로코노미는 로컬(Local)과 이코노미(…
대표이미지
[로코노미의 진화①] 유통업계, 지역 특산물 소개로 매출·상생 ‘두…
로코노미가 진화하고 있다. 로코노미는 지역을 뜻하는 로컬(local)과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미(economy)의 합성어로, 도심이 아닌 지역 고유의 특성을 담은 상품과 가게를 만들고 소비하는 문화 현상을 말한다. 최근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유…
대표이미지
[로코노미의 진화②] ‘K-관광’ 열풍 속 서울시‧자치구, 지방과 상…
평일 낮 서울 지하철에서는 커다란 캐리어 가방을 끌고 어딘가로 이동 중인 외국인 여행객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공항과 연결된 지하철의 경우 외국인 여행객들이 더욱 자주 눈에 들어온다. 평일 저녁 경복궁 앞에도 외국인 여행객이 삼삼오오 모여 경복궁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표를 구매하기 위해…
대표이미지
[로코노미의 진화③] 지역을 품에 안으니 소주·맥주가 더 따뜻해졌다
해마다 11월 11일이면 사 먹는 국민 과자가 있다. 빼빼로다. 이 원조가 일본의 포키(Pocky)다. 역시 11월 11일이 타깃이다. 그래도 우리만큼 열렬하진 않다.이 일본 과자가 몇 해 전 한정판 포키를 출시했다. 이름은 지모토 포키(地元ポッキ)다. 지모토는 지역 또는 현지라는 뜻이다. 대충 감이 온다.…
대표이미지
[로코노미의 진화④] 모빌리티의 미래 ‘레벨4 자율주행차’ 로컬을…
#. 제주공항에 도착하면 공항-중문 호텔 간 자율주행 캐리어 배송 서비스를 이용해 무거운 여행 짐을 호텔에 먼저 보낸 뒤, 제주공항 인근의 주요 관광 거점을 연계하는 순환형 자율주행 관광 셔틀 서비스로 제주 해변의 아름다움을 만끽한다. 관광을 마치면 자율주행차를 이용해 중문 호텔에 안전하고…
대표이미지
[인터뷰] hy 서일원 플랫폼소싱팀 팀장 “속부터 겉까지 건강한 뷰티…
한때 먹지 말고 피부에 양보하라는 광고 카피가 뷰티업계를 휩쓴 바 있다. 그런데 여기에 먹는 것부터 피부에 바르는 것까지, 즉 속부터 겉까지 건강한 뷰티 케어를 위해 한쪽에 양보하지 않고 골고루 모든 제품을 선보이는 회사가 있다. 대표 제품 야쿠르트로 대변됐던 hy(옛 한국야쿠르트)가 최근 화…
대표이미지
[인터뷰] 삼성증권 이혁진 연구위원 “2024년 로봇주 원년…테슬라봇…
향후 로봇 시장의 폼팩터는 인간을 대체할 휴머노이드 로봇과 인간을 보조할 웨어러블 로봇의 양자구도가 될 것이며, 그 하이엔드 로봇 시장의 양대 강자는 테슬라와 삼성전자가 될 것이다.현재 태동기에 놓인 로봇 산업의 미래는 다음과 같이 발전 단계를 3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1차 태동기: 산업…
대표이미지
[인터뷰] 윤태영 프로티나 대표 ‘막단백질 비밀 벗겨 질병 정복 나선…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우리나라의 바이오 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진단키트는 전 세계 시장에서 호평받으며 없어서 팔지 못할 정도였고, 우리 바이오 기업들은 신약 개발에 성과를 보이면서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연구자들의 노력도 결실을 맺으며 바이오 스타트업에 뛰어드는 사람들…
대표이미지
현대차, 30조 원 규모 중고차 시장에 진출한 ‘진짜 이유’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국내 중고차 시장은 2020년 기준 판매량 약 252만 대로 신차 판매량보다 약 1.32배 많고, 거래 금액은 약 30조 원에 육박하는 거대한 시장이다. 하지만 대표적인 레몬 마켓(정보 불균형 시장)으로 분류돼 왔다. 레몬 마켓이란 소비자는 정보 부족으로 구매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대표이미지
다시 핫플로 부활한 명동, 더욱 바빠진 명동
명동이 완전히 예전 모습을 찾았다.11월 3일 부동산 컨설팅 업체 쿠시먼앤웨이크필드코리아에 따르면, 올 2분기 서울 명동의 공실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2% 감소한 14.3%로 집계됐다. 상권이 활기를 띠고 있다는 증거다. 엔데믹 후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한 것도 한몫했다.같은 날 한국관광공…
1 2


배너

포토뉴스

more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