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정치
·
대통령실 공사 다누림건설 관련해 대통령실 “조사해봤지만 특정인과 관…
대통령실 관계자는 13일 최근 용산 대통령실 청사 리모델링 공사에 수의계약으로 참여한 경기도 포천 소재 신생 소규모 업체 다누림건설과 관련, 특정인과 연관이 있다는 지라시가 돌았다는 취재진 질문에 그런 연관성이 전혀 없다고 답했다.이 관계자는 저희가 다 정확하게 (사실관계 확인을) 해봤지…
5월까지 57만 명 다녀간 청와대 관람 이렇게 바뀐다!
청와대 하루 관람 인원이 현행 3만 9000명에서 4만 9000명으로 1만 명 늘어나고 예약 창구도 단일화된다.문화재청 청와대국민개방추진단은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새로운 청와대 관람 정책을 2일 발표했다.청와대국민개방추진단은 오는 12일부터 일일 관람 인원을 기존 3만 9000명에서 4만 9000명…
“3년 만에 거리로” 퀴어축제, 서울광장 사용 여부 불투명…서울시, 또…
3년 만에 오프라인에서 열리는 거리 축제를 기획 중인 서울퀴어문화축제가 서울광장 사용 여부를 두고 또다시 서울시와 부딪혔다.26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올해 퀴어퍼레이드를 비롯한 오프라인 행사를 열고자 오는 7월 12~17일 서울광장을 사용하…
확진자 7일 의무 격리, 해제냐 유지냐... 최종 결정 향방에 네티즌 갑론을…
코로나19 확진자를 7일간 의무적으로 격리하는 조치가 한 달가량 더 유지되는 쪽으로 결정될 전망이라는 보도가 나왔다.17일 중앙일보는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이 15, 16일 잇따라 열린 회의에서 이 같은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한 최종 결정은 오는 20일 중앙재난안전대책…
문 대통령, 환한 얼굴로 ‘검찰 개혁법’ 공포안 의결 … “촛불정부 소명…
문재인 대통령이 이른바 '검찰 개혁 법으로 불리는 두 법에 대한 공포안을 3일 오후 4시 열린 집권 마지막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이로써 검찰의 수사권을 제약하고자 하는 문재인 정권의 검찰 개혁 입법행정 절차가 일단락됐다.문 대통령은 3일 오후 청와대에서 임기 마지막 국무회의를 주재하…
우크라이나 갔던 탈영 해병, 귀국편 ‘비즈니스석’ 요청 논란에 네티즌…
우크라이나 국제의용군에 합류하겠다며 휴가 중 무단 출국했던 해병대 소속 A일병이 출국 한 달여 만에 귀국해 체포됐다.26일 연합뉴스 등 국내 매체 다수의 보도에 따르면 해병대 수사단은 전날 지난 3월 21일 해외로 군무이탈한 A일병의 신병을 확보해 오늘 귀국조치 후 체포했다며 향후 군무이탈…
최성 코로나 위기관리 정책평가위원장, 윤석열 차기 정부에 10가지 정책…
코로나위기관리 글로벌평가단의 정책평가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성 전 고양시장은 4월 25일(월)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윤석열 정부에 바란다: 코로나 위기극복을 위한 새 정부 혁신정책 제안 컨퍼런스에서 위기관리 시스템 혁명이 답이다!라는 요지의 기조발제를 통해 윤석열 차기 정부에 1…
‘코로나 위기관리 글로벌평가단’, 오늘 ‘새정부 정책 컨퍼런스’ 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코로나 위기 관리 대상 수상기관이 모여 오미크론의 확산 속에서 어떻게 하면 코로나 위기극복이 가능한지 모범사례를 발표하고, 윤석열 차기 정부에 대한 혁신 정책을 제안을 하는 컨퍼런스가 25일(월) 오전 9시 30분 ~ 오후 6시 서울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열린다.이…
2년 멈췄던 예비군 훈련 다시 시작한다…소집훈련 기간은 하루로 축소
코로나19로 2년간 중단됐던 예비군 소집훈련이 6월부터 재개된다.국방부는 6월 2일부터 예비군 소집훈련을 재개하며 소집훈련 1일과 원격교육 1일을 혼합해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예비군 소집훈련이 재개되는 것은 2년 만이다. 국방부는 2020년 3월부터 시작될 그해 예비군 훈련을 코로나19 확…
[기획특집: 새 정부에 바란다①] 재계와 노동계 새 정부 향한 상반된…
새 정부 출범이 한 달도 남지 않았다. 인수위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 초안을 마련하고, 세부 이행방안을 수립하는 단계로 넘어갔다. 여기에는 윤석열 당선인의 대선 공약이 상당수 반영되고, 대선 전부터 진행되어 온 논쟁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도 많다. 문화경제는 우리 경제의 주체인 기업 및 여러 이해…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