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갤러리 아트파크, 김용진 개인전 '매체의 초상' 열어
삼청동 갤러리 아트파크는 5월 20일~6월 17일 김용진의 개인전 ‘매체의 초상(Portrait of the Media)’을 연다. 이번 전시는 2년 만에 선보이는 개인전으로 인물, 도자기, 소나무를 주제로 한 작품 10여 점을 전시한다. 작가 김용진은 캔버스에 철심을 꽃아 형상을 완성하는 그만의 유일하고 독…
대표이미지
[포토] '2016 서울오픈아트페어(SOAF)' 현장
'2016 서울오픈아트페어(SOAF)'가 서울 삼성동 코엑스 1층 홀A에서 5월 14일까지 열린다. 100여 개 갤러리, 국내외 작가 4000여 명이 참여해 회화, 조각, 사진, 판화, 설치,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5000여 점 선보인다.아트 프로젝트도 마련됐다. 지난해 12월까지 공모를 통해 선발된…
대표이미지
가족-사랑-자연 주제로 그림 그리는 데니스 드옹, 미공개 신작 공개
시카고 작가 데니스 드옹이 갤러리엘르에서 초대전 '리빙 앤 브리딩(Living and Breathing)'을 5월 16일~6월 2일 연다. 작가는 모험, 사랑, 가족 그리고 자연을 주제로 캔버스 위에 가죽과 페브릭을 오려붙이는 오브제 작업을 한다.미국 오클라호마 출신인 작가는 영국의 사치갤러리 산하 사…
대표이미지
장은선갤러리, 사군자 조각에 고전미-현대미 담는 김광호 작가 초대전
장은선갤러리가 사군자를 주제로 현대 안목의 재해석 작업을 펼치는 조각가 김광호의 초대전 '사군자(四君子) - 조각과의 조우'를 5월 18~28일 연다.작가는 사군자와 그림자의 관계를 연구하며 고전미와 현대미를 동시에 나타내는 작업에 몰두해 왔다. 일반적으로 사군자는 그림으로 표현되는 경우…
대표이미지
소피스갤러리, 캐나다 교포 캐스퍼 강 '요(瑤) 지(池) 경(鏡)'전 열어
소피스갤러리가 캐나다 교포로 2004년부터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캐스퍼 강의 개인전 '요(瑤) 지(池) 경(鏡)'을 5월 21일~6월 23일 연다.캐나다에서 건축학을 전공한 후 한국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하던 작가는 자신이 한국 생활을 하면서 경험한 의문들과 한국 문화에 대한 애착을 건축학도답게 섬…
대표이미지
[리뷰 - 연극 '킬 미 나우'] 죽을 권리에 대한 솔직-담백 이야기
(CNB저널 = 김금영 기자) 상당히 민감한 소재다. 이를 미리 예감했다는 듯 오경택 연출도 입을 열었다. “지난해 이 작품을 처음 보고 주저했습니다. 소재가 매우 민감했기 때문입니다. 잘못 표현되면 굉장히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이내 또 말했다. “그래도 이 이야기는…
대표이미지
[딱맞는 집 ③ 크래프트 하우스] 신도시 탈출해 '3대 서울집' 지으니 새…
(CNB저널=안창현 기자) 주거비가 높을수록 출산율이 낮아지고 아이 낳는 연령은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다. 그만큼 집 문제는 우리 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서울 지역 전셋값은 연일 고공행진 중이고, 그마저도 물량이 없어 난리다.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빠져…
대표이미지
[화제 전시] 한국 사진이 '공적기록'에서 '사적예술' 되기까지
디지털 기술로 작업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된 현대미술에서 사진이라는 매체는 예술의 한 표현기법으로 당연시 되곤 하지만, 사실 ‘예술 사진’이라는 명칭이 붙었을 때 느끼는 괴리감은 여전한 것 같기도 하다.한 폭의 추상표현주의 그림처럼 보이는 사진은 추상화 앞에서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모를…
대표이미지
[이색 전시] 5월에 일제히 꽃핀 '캐릭터 미술', 누가 최고?
(CNB저널 = 김금영 기자) 미술관 앞에 거대한 쿵푸팬더가 등장했다. 또 다른 갤러리에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 받는 미피 캐릭터의 조각상들이 나란히 줄지어섰다. 그런가 하면 또 다른 전시장에는 배불뚝이 아이언맨에 담배 피우는 스파이더맨 등 묘하게 다른 영웅들의 모습도 눈길을 끈다.5월 가정의…
대표이미지
삶과 죽음 그 사이에서 류인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직접 작품을 보기 전 자료 이미지로 먼저 접한 류인(1956~1999)의 작품 인상은 매우 강렬했다. 몸 한가운데 나무가 관통한 듯한 인물의 모습이 보였다. 자세히 보니 상반신은 인간의 모습이지만, 하반신으로 내려갈수록 나무의 모양새다. 인간인지 나무인지 알 수 없는 느낌이 묘하면서도 강렬했다. 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