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미술
·
[컬렉터 시리즈 ② 충북대 김웅규 교수] “르네상스맨을 꿈꾸다”
‘미술 작품이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는 곳은 과연 갤러리나 미술관일까?’ 가정집에 편안히 안착한 작품들을 보고 가장 먼저 든 생각이다. 소파 뒤, 텔레비전 옆, 방문 앞 복도 등 보통 가정집에선 죽어 있는 공간들이 작품들과 함께 감상과 사색의 공간으로 살아난 모습을 보고서다. 자신의 별 '소행성…
[인터뷰 - 이현욱] 내집짓기 대중화에 나선 ‘땅콩집 주인’
(CNB저널=안창현 기자) 한국의 건축가들 중에서 이현욱 소장만큼 많이 주택을 지은 건축가도 많지 않을 듯하다. 단독주택은 비쌀 것이란 통념을 깨고 ‘땅콩집’으로 실용적인 집짓기 열풍을 불러온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도심의 아파트 전세 값으로 한 필지에 주택 2개를 뚝딱 짓는 땅콩집은 세간의…
게임 속 공간이 허구? 김서진의 '랜드이스케이프'전
안국약품(대표이사 어진)이 운영하는 비영리 문화공간 갤러리AG가 김서진의 개인전 '랜드이스케이프(LandE-scape)'전을 6월 30일까지 연다. 유년기 시절 갑작스러운 미국 이주로, 이국과 모국 사이에서 혼란을 겪어야 했던 작가는 반복적인 이별과 재회 속에서 끊겨진 시간과 분절된 공간…
누크갤러리, 터질 듯한 마음을 빈 공간으로 표현하는 김미경·김시연 2인…
두 화면이 보인다. 복잡하지 않고 텅 빈 공간이 있다.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을 것 같은 이 공간엔 사실 두 작가의 마음이 넘쳐 흐르고 있다.누크갤러리가 내면에 꼭꼭 쌓은 이야기를 화면에 담는 김미경·김시연 작가의 2인전 '텅 빈 채움'을 7월 6일까지 연다.두 작가는 사실상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다…
[아트人 - 홍학순 작가] "윙크토끼가 행복 찾아주는 본능미용실로 가요…
(CNB저널 = 김금영 기자) 2016년 6월, 롯데백화점 잠실점 에비뉴엘 6층 아트홀에 특별한 미용실이 오픈했다. 홍학순 작가의 ‘윙크토끼 본능 미용실’이다. 전시장 입구 쪽에 설치된 미용실의 물결무늬 간판에 자리 잡은 토끼가 방문객을 향해 귀엽게 윙크를 던진다. 바로 ‘윙크토끼’다. 본능 미용…
[커버 공모 당선 ⑨ 김봉경] 1천번 흔들려도 버틸 주체성을 위해
(CNB저널 = 김금영 기자) 2008년. 김봉경 작가에게는 매우 잔혹한 해였다. 기자를 꿈꿨던 그는 2006년 큰 낙상 사고를 당하고 2008년 심각한 후유증을 앓으며 꿈을 접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에 꾸준한 관심을 가졌다. 잘 걸을 수 없어 치료 기간 동안 집에서 신문과 책, TV로…
[주목전시] 정조가 사랑한 '책거리', 200년만에 부활하다
(CNB저널 = 김금영 기자) 200년 전 국민 예술이 2016년 현재에 부활했다. 예술의전당이 서예박물관 재개관 기념 두 번째 전시로 ‘조선 궁중화·민화 걸작 - 문자도(文字圖)·책거리(冊居里)’를 8월 28일까지 서예박물관 전관에서 연다.이번 전시에는 조선시대 궁중화, 민화 등 문자도와 책거리 등…
법원 "김정희 교수, 천경자 화백 친딸 맞다"
고(故) 천경자 화백의 차녀인 김정희(63) 미국 메릴랜드주 몽고메리대 교수가 법원에서 천 화백의 친자로 인정됐다.서울가정법원 가사3단독 김수정 판사는 10일 김 교수와 그의 동생 김종우 씨의 아들 등이 낸 친생자관계확인 소송에서 "정희 씨 등과 천 화백에 사이에 친생자 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한…
[동정] 건축가 최욱, 옛 백남준 집터를 기념관으로 리모델링
(CNB저널=안창현 기자) 백남준 서거 10주기를 맞아 백남준이 성장기를 보낸 서울 종로구 창신동의 옛 집터가 ‘백남준 기념관’으로 재탄생한다.백남준이 1937~1949년 12년의 성장기를 보낸 창신동 197번지 소재 한옥은 그간 음식점으로 쓰였다. 지난해 10월 서울시는 백남준 기념관 조성사업을…
[동정] 김수근 30주기 추모 특별전 ‘지금 다시 김수근’
(CNB저널=안창현 기자) 국립청주박물관(관장 윤성용)과 김수근문화재단(이사장 김도훈)은 ‘한국 현대건축의 거장’ 고 김수근 건축가의 30주기를 추모하며 특별전 ‘지금 다시 김수근 - 김수근과 박물관 건축’을 개최한다.이번 특별전은 김수근 건축가의 대표적인 작품인 국립청주박물관을 비롯…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1108
1109
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