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미술
·
플레이스막, 그림 같은 도예 작업하는 황재원의 ‘FF'전 열어
플레이스막이 황재원 작가의 개인전 'FF'를 3월 12~26일 연다. 도예를 전공한 황재원의 작품은 얼핏 보면 일반적인 캔버스 위에 그려진 회화 작품처럼 보인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캔버스처럼 보이는 작품은 사실 도자기(스톤웨어) 위에 유약으로 그려진 세라믹 작업이다. 도예의 특성과 인간이 가진…
UNC갤러리 소속 작가 김종숙, 홍콩 아트 센트럴서 작품 선보여
수십만 개의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이 한껏 빛을 머금고 내뱉으며 순백의 영롱함을 내뿜는다. 캔버스에 구현된 크리스털 풍경의 자태는 이내 초현실적 정경의 공간을 구현한다. 스와로브스키 보석을 이용해 평면 작업을 해온 작가 김종숙의 작품 '화이트 머티리얼(White Material)'의 설명이다.U…
아트스페이스 풀, 김정헌 개인전 '생각의 그림·그림의 생각' 열어
아트스페이스 풀이 김정헌의 개인전 '생각의 그림·그림의 생각: 불편한, 불온한, 불후의, 불륜의,…그냥 명작전'을 3월 17일~4월 10일 연다.이번 전시는 민중미술의 중심에 있던 미술 단체 '현실과 발언'의 핵심 동인 김정헌의 12년만의 개인전이기도 하다.작가는 민중미술, 교육, 문화 예술 행정, 시…
장은선 갤러리, 김기택 작가의 '봄의 전령 - 매화'전 선보여
장은선 갤러리가 김기택 작가의 개인전 '봄의 전령 - 매화'를 3월 14~22일 연다.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봄의 향기를 가득 담은 매화 작품을 선보인다. 아침이슬을 머금은 탐스러운 매화 주변에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매화 사진을 찍거나 자전거를 타고 맴도는 이들은, 봄을 몰고 온 매화에 대한 설렘을 전…
승효상 건축가, ‘Seung H-Sang Document’ 발간
(CNB저널=안창현 기자) 한국의 대표적인 건축가 승효상이 자신의 건축 세계를 담은 저서 ‘승효상 도큐먼트’의 영문판을 발간했다.이로재를 설립한 1989년부터 2015년까지 중요 프로젝트를 엄선했다. 앞서 몇몇 작품집이 나오긴 했지만 이번 책은 승효상 건축의 전체를 아우르는 첫 책이나 다름없…
[레지던시展 탐방 ③ 인천아트플랫폼] 세월호 세대의 “우린 살아날까…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윤하나 기자) 인천 차이나타운과 인천항 사이에 개항기 때의 향수를 품은 창작 공간이 숨쉬고 있다. 1호선의 끝, 인천역을 빠져나와 차이나타운의 소란스러움을 뒤로 하고 5분 여 걸으면 그곳에 인천아트플랫폼이 있다.현재의 복합문화공간은 인천…
[미대추천 작가 ⑥ 가천대 고재인] 정착하지 못해 멈추지 않는 관찰자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윤하나 기자) 고재인의 호기심어린 눈만 보면 마냥 앳된 여대생으로 보일지 모른다. 하지만 그녀가 숨 고르듯 마음에서 골라낸 말들은 세상을 이미 오래 산 노인 같은 구석이 있다. 발랄한 동시에 조숙한 면모가 돋보이는 작가는 인터뷰 내내 명쾌하…
[유억윤 골프 세상만사] ‘골프 황제’ 다시 군림하면 골프 인기 살아…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유억윤 골프칼럼니스트협회 이사) 봄이 벌써 눈앞에 와 있다. 이제 꽃샘추위가 물러가면 겨우내 동면하던 골프 마니아들은 기지개를 켜며 지면을 뚫고 올라오는 파란 잔디의 환상에 젖게 된다.골프 관련 산업의 추세도 그렇지만, 경제도 여건이 호전…
[전형구 독서경영] ‘퍼펙트워크 - 열심히 일하지 말고 완벽하게 일하…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전형구 전박사의 독서경영연구소 소장) 이 책은 “‘1퍼센트의 실수는 100퍼센트의 실패다!’라는 생각으로 무결점 경영을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주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이나 조직을 막론하고 발전을 이루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일에 대…
[공간 디자인 - S.L.Y 하우스] 멋진 정원을 내부에 감춘 뜻은?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안창현 기자)경기도 용인의 한적한 동네에 들어선 전원주택 ‘S.L.Y 하우스’. 이 주택 이름은 가족의 성을 따서 붙여졌다. 부모와 아들 세대가 함께 사는 주택은, 화려하진 않지만 가족을 세심하게 고려했다. 두 세대가 사는 만큼 정원은 공유하면…
1151
1152
1153
1154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