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미술
·
갤러리탐 전시 작가들 한 자리에 모여
탐앤탐스가 7월 1일, 탐앤탐스 블랙 이태원점에서 갤러리탐 ‘작가의 밤’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2013년부터 추진해온 탐앤탐스 갤러리탐의 중간 결실의 자리로, 1기부터 10기까지 작가 27명이 참석했다.이번 ‘작가의 밤’ 행사는 탐앤탐스와 갤러리탐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작가 개인별 자기…
[강명식 골프 세상만사]어려워 외면받는 골프를 행복하게 하라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강명식 한국골프칼럼니스트협회 이사(푸른요양병원장)) 며칠 전 4대 메이저의 하나인 US 오픈이 끝났다. 조던 스파이스가 마스터스에 이어 우승했다. 대회가 열린 체임버스 베이(Chambers Bay) 골프장은 영상으로만 보더라도 공포의…
[이상면의 세계 뮤지엄 ③ 토리노 영화박물관]역시 이탈리아! 건물도…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이상면 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 연구교수) 이탈리아 토리노(Torino)에는 아주 특별한 영화박물관이 있다. 공식 명칭은 국립영화박물관(Museo Nazionale del Cinema/National Museum of Cinema)으로, 거창…
[전형구 독서경영]‘내가 고전을 공부하는 이유’는?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전형구 전박사의 독서경영연구소 소장) 고전이 오래된 글이나 책을 이르는 말이지만 그저 오래된 것을 모두 고전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적어도 고전이라면 오랜 기간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읽히고 모범이 될 만한 옛사람들의 글 또는 책을 뜻하고…
[문화] '심야식당' 등 문화콘텐츠 “우리… 소통 좀 하면 안되나요?”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금영 기자) 하루에 가족, 친구, 연인과 실제 대화하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최근 화제가 된 광고에서 가족과 같은 밥상에 앉아 마주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스마트폰으로 대답을 하고, 길을 걸을 때 스마트폰에 빠져 앞의 친구를 보지 못하고 머리…
[커버 아티스트 - 김경민]행복 찾는 경쾌한 조각의 행진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윤섭 (미술평론가·한국미술경영연구소장)) 누구나 행복(幸福)을 꿈꾼다. 과연 행복이란 무엇일까? 흔히 사전적 의미로는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함 또는 그러한 상태’라고 정의한다. 김경민의 조각이 지닌 중심 키워…
[아트 뉴스 - ‘도시’전 2선] 메르스 재난 맞은 도시는 차가운가, 그래…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금영 기자) 우리가 사는 도시는 재개발로 흥청대기도 하지만, 메르스 같은 재난 폭탄을 맞으면 재앙의 현장이 되기도 한다. 네온 불빛 요란한 가운데 소소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이 있는가 하면(장원영 ‘이야기를 담은 풍경’전), 원전 폭발이…
[아트인 선정 전시]유진 화랑 ‘팔공팔오’전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금영 기자) 유진 화랑이 역량 있는 젊은 청년 작가 8인(김해진, 박주호, 박진성, 배남주, 신대준, 정문식, 정안용, 한충석)과 함께 ‘팔공팔오’전을 6월 19일~7월 5일 연다. 이번 전시는 80년생부터 85년생까지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진 미술계…
[아트인 선정 전시]슈페리어 갤러리 ‘정성원 개인전’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금영 기자) 슈페리어 갤러리가 은은하게 반짝이는 파스텔 톤의 몽환적 배경 위에 온순해 보이는 동물들의 모습을 담는 정성원 작가의 개인전 ‘블루밍 이노센스(Blooming Innocence)’를 6월 3일~7월 24일 연다.작품에서 토끼…
[아트인 선정 전시]한미사진 미술관 ‘나, 나를 심다’전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금영 기자) 한미사진 미술관이 김인숙, 안준, 장태원 작가의 작업을 소개하는 ‘나, 나를 심다’전을 6월 13일~8월 15일 연다. 이번 전시의 주제는 ‘자화상’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젊고 참신한 작업으로 주목 받아온 작가 3명이 지난 몇 년…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