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미술
·
문화재청, 문화재를 위한 방재시설 디자인 무료 배포
문화재청은 문화재와 그 주변에 설치하는 소화기함 등 방재시설 22종의 디자인을 문화재 경관에 조화되도록 개발해 디자인 특허 출원 등록을 완료하고 일반에 무료로 배포한다.화재 예방 등을 위한 방재시설은 문화재를 안전하게 지키고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시설물이나, 그간 문화재의 역사문화…
갤러리세인, '스토리텔러 - 콘셉트로 말하다' 1부 전시 열어
갤러리세인이 기획 초대전 '스토리텔러 - 콘셉트로 말하다' 1부를 1월 25일~2월 5일 연다. 김진우(조각, 드로잉), 김쥬쥬(도자), 이규원(회화) 작가가 참여해 작품 20여 점을 선보인다.갤러리세인은 매해 첫 전시 때 신진작가와 역량 있는 작가의 작품을 선보이는 데 주력해 왔다. 이번 전시도 그 일환…
아트선재센터, 김영나 디자이너 타이포그래피 작업 소개
아트선재센터가 두 번째 '아트선재 웹 프로젝트(Art Sonje Web Project)'로 김영나의 타이포그래피 작업 '임의의 기억'을 소개한다.'아트선재 웹 프로젝트'는 아트선재센터 홈페이지의 인트로 페이지를 활용해 웹기반의 작업을 소개하는 프로젝트다. 2014년 11월 홈페이지 리뉴얼과 함께 기획…
[핫 리노베이션 ④ 이음빌딩] 30년 전 연남동을 현재와 잇다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금영 기자) 연남동 골목길은 요즘 드릴 소리와 먼지로 가득하다. 개발의 눈길을 받지 못했던 이 지역의 새로운 가능성이 주목 받으면서 최근 새 건물 또는 리노베이션 건물(낡은 집을 새 집으로 변경하는 작업)이 많이 들어서는 추세다. 이런 가운데…
[자생 예술동네 ①] 문래당 1063 “굶지 않고 예술 해요”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연수 기자) 홍대 앞 ‘주차장길’이라고 알려진 거리에 아스팔트가 깔리기 시작한 것은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시작되고도 한참 지난 90년대 초중반이다. 그 거리는 원래 주차장이었기에 그런 이름이 붙었다. 주차하려는 차 뒤로 뽀얀 흙먼지 구름…
[표지 작가 - 풀즙그림 김태권] 어둠 그린 그림에서 빛이 나네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연수 기자) 갤러리에는 화려하지 않은 색으로 소박하게 그려진 그림들이 멋도 부리지 않은 채 얌전히 걸려 있었다. 고뇌하는 사람의 형상과 촛불, 커피 잔 하나, 사발 하나, 새 한 마리…. 소재의 선택에서부터 작가의 성격이 드러났다.김태권은 삼…
[유억윤의 골프만사] 첫 올림픽 골프 금메달, 한국 올까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유억윤 골프칼럼니스트협회 이사) 2016년 LPGA(미국여자프로골프) 대회에서는 골프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승부전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골프가 여러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112년 만에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다시 채택됐기 때문이…
[전형구 독서경영] ‘처신(處身) - 나의 진가를 드러내는 힘’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전형구 전박사의 독서경영연구소 소장) 이 책은 자신이 있어야 할 자리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실천해, 단순한 생존을 도모하는 것을 넘어 더 나은 기회를 노릴 수 있는 훌륭한 발판을 만들 지혜를 고전에서 찾고 있다.‘처신’이라는 말은 얼핏…
[이문정의 요즘 미술 읽기] 미술가가 발레하면 미술인가 아닌가?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이문정(조형예술학 박사, 미술평론가, 이화여대/중앙대 겸임교수))1. 장르 해체 (장르의 경계 넘나들기)미술관이나 갤러리를 즐겨 다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것도 정말 미술 작품인가?”라는 질문을 해보거나 들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
[아트 북] 카를레스 브로토 ‘거리의 디자인’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연수 기자) 이 책은 공공의 공간에서 사람들과 소통하는 디자인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현장 보고서다.디자인의 순기능이 그렇듯, 공공 디자인은 이제 심미적인 측면을 넘어 지속 가능성과 사회 공동선을 중요한 가치로 삼게 되었다. 현재…
1181
1182
1183
1184
1185
1186
1187
1188
1189
1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