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미술
·
세계 각국 아트토이 모인 '아트토이 컬처 2015' 17일 개막
세계 각국의 아트토이를 한 데서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2014년보다 큰 규모로 2회를 맞이하는 '아트토이 컬처 2015'(이하 ATC 2015)가 서울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에서 17~19일 열린다.이 행사엔 국내-해외 각 35개 팀을 포함한 총 70여 팀 150여 명 아티스트가 참여한다. 허영만, 쿨레…
여성 신체에 스토리 입힌 아트누드쇼 '크레이지호스 파리' 27일 공연 시…
아트누드쇼 '크레이지호스 파리(Crazy Horse Paris)'가 2월 27일 영상물등급위원회(이하 영등위)의 정식 허가를 받아 4월 27일 국내에 첫 선을 보인다.'크레이지호스 파리'는 여성의 신체에 빛과 조명, 스토리가 있는 안무만을 입힌 섹슈얼 퍼포먼스 공연이다.이번 공연의 주최를 맡은 더블유…
삶까지 아름다웠던 '오드리 헵번'전, 부산에서 이어진다
아름다운 여배우이자 유니세프 친선대사로 활동하며 나눔의 삶을 실천한 오드리 헵번의 인생을 조명하는 전시가 5월 9일~9월 6일 부산 영화의전당에서 열린다.이번 전시는 지난해 11월 29일~올해 3월 8일 서울 DDP(동대문 디자인 플라자)에서 열린 '오드리 헵번, 뷰티 비욘드 뷰티(Audrey He…
제주도 만들었다는 '설문대할망' 주제 글-그림 공모전 '할망을 부탁해'
(CNB저널=왕진오 기자) 바다 속의 흙을 삽으로 떠서 제주도를 만들었다는 키가 크고 힘이 센 제주 여신(女神)에 관한 설화 '설문대할망'을 주제로 가족공모전 ‘할망을 부탁해’가 4월 13∼20일 제주돌문화공원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된다.이번 공모전은 제주도의 정체성을 관통하는설문대할망 신화…
추신수 아내 하원미의 ‘부창부수 세월호 추모’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 추신수 선수가 지난 11일 열린 홈경기에서 세월호 1주기 추모 리본을 달고 출장한 것과 맞춰, 그의 미모 아내 하원미 씨도 한인 단체 응원단 속에 섞여 추 선수 응원을 나온 팬들에게 세월호 추모 리본을 달아주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혀 화제다.하 씨는 이날 1루 쪽 외야 3층에 마련…
안재욱-서범석, 조정래 소설 원작 뮤지컬 '아리랑' 무대 선다
소설을 원작으로 뮤지컬화 되는 '아리랑'이 공연 일정과 배우 캐스팅을 발표했다.공연제작사 신시컴퍼니는 7월 16일~9월 5일 LG아트센터에서 창작 뮤지컬 '아리랑'을 공연한다고 밝혔다.뮤지컬 '아리랑'은 작가 조정래의 대하소설을 뮤지컬화한 작품으로 일제강점기, 파란의 시대를 살아냈던 민초…
화가 정연연, 그림과 함께 하는 '오늘 그녀가 웃는다' 펴내
10년 넘게 여성의 다양한 욕망과 내면을 깊이 있게 표현해온 화가 정연연이 에세이 '오늘 그녀가 웃는다'를 펴냈다.곱게 빗은 머리카락과 깔끔하게 올라간 속눈썹, 탐스러운 입술 등 아름다운 여자의 모습이 사랑받는 시대다. 하지만 저자가 주목하는 건 화려함 속 감춰진 본래의 맨얼굴이다.책에서 저…
오션어스 아트홀, 대한적십자 110주년 기념 '한국 현대 미술의 비전' 특…
(CNB저널=왕진오 기자) 한국 현대 미술을 선도하는 90대부터 20대까지의 역량 있는 초대 작가 40명의 60여 작품들이 4월 15일부터 부산 해운대구 오션어스 아트홀(대표 김정연) 전시장을 가득 메운다.'2015 OCEANUS K-ART : 한국 현대 미술의 비전'이란 타이틀로 진행되는 전시는 대한적십…
민화 속 전통의 아름다움, 유영숙의‘아름다운 우리그림 민화잔치’전
(CNB저널=왕진오 기자) 우리 고유의 멋을 나타내는 민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유영숙 작가의 '아름다운 우리 그림 민화잔치'전이 4월 15∼22일 수원문화재단 기획전시실에서 펼쳐진다.여류 민화 작가 유영숙은 특유의 정성과 섬세함으로 우리 민화를 새롭게 창조하고 있는 창작자이자 민…
[현장 - 플라토 ‘그림, 그림자’전]변방으로 밀린 그림의 반격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왕진오 기자) 디지털 스트리밍과 SNS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불규칙하고 파편화된 이미지의 혼돈 속에서 세상을 인식하는 데 익숙하다.뉴미디어와 대형 설치작업이 대세를 이루는 최근 미술의 중심에서 오랜 시간 변방으로 밀렸다고 치부되던…
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1217
1218
1219
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