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뮤지컬 '시카고' 오리지널팀, 12년 만에 내한 공연
뮤지컬 '시카고' 오리지널팀이 12년 만에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6월 20일~8월 8일 내한 공연을 가진다.1975년 초연, 1996년 리바이벌된 뮤지컬 '시카고'는 19년간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공연되며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 공연되고 있는 뮤지컬로 기록되고 있다. 미국 브로…
대표이미지
[현장포토] 인기만화 '원피스' 해적단이 전시장에
'원피스 메모리얼로그 정상결전 완결편 ver 2.0' 전시가 홍익대 대학로아트센터에서 열리고 있다.'원피스'는 일본에서 1997년 처음 발행돼 올 1월 단행본 76권이 발매된 작품으로, 넓은 바다에 숨겨져 있는 보물 원피스를 찾아나서는 해적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인기에 힘입어 체험 전시 '원피스 메모…
대표이미지
[미술경매 라이벌: 서울옥션 vs K옥션 ①]이옥경 서울옥션 대표 “…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왕진오 기자) 미술품 거래시장의 갑은 전통적으로 대형 화랑들이다. 대그룹 회장 부인들에게 수백억 원대의 초고가 미술품을 은밀하게 팔아온 서미갤러리 사건(2011년)에서도 이런 사정이 일부 드러난 바 있다. 그런데 미술 시장의 이런 ‘갑’…
대표이미지
[미술경매 라이벌: 서울옥션 vs K옥션 ②] 서울옥션, 후발 K옥션이…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왕진오 기자) 삼성 스마트폰의 성공은 흔히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 전략의 성공’으로 설명된다. 먼저 나서는 부담을 지지는 않지만, 특정 업종 또는 상품의 시장성이 확인되면 온 힘을 쏟아 부어 선두주자를 따라잡으면서 시장을 장…
대표이미지
[미술경매 라이벌: 서울옥션 vs K옥션 ③]이상규 K옥션 대표 “품…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왕진오 기자) “경매 횟수를 제한한다고 침체된 미술시장이 살아난다는 주장에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횟수 제한보다는 젊은 작가들의 출품을 자제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미술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K옥션 이상규(54) 대표…
대표이미지
[미술경매 라이벌: 서울옥션 vs K옥션 ④] K옥션, 시작은 선발주자…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왕진오 기자) 서울옥션 단일 체제로 운영되던 미술품 경매시장에 2005년 K옥션이 출범하면서 본격적인 경쟁 시대가 시작됐다. K옥션의 초대 수장으로는 서울옥션 대표 출신의 김순응 대표가 자리를 옮겨 앉았다.김 대표는 하나은행 자금본부…
대표이미지
[미술경매 라이벌: 서울옥션 vs K옥션 ⑤] 경매 양대산맥, 소더비와…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왕진오 기자) 현대적 의미의 미술품 경매는 네덜란드에서 16세기 후반 시작됐다. 18세기 중반에는 소더비와 크리스티가 탄생했고 이들은 현재 전 세계 미술품 경매 거래액의 2/3를 차지하는 양대 산맥 역할을 하고 있다. 2014년 소더비와 크리…
대표이미지
[미술경매 라이벌: 서울옥션 vs K옥션 ⑥]경매 외에 다양한 부대사…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왕진오 기자) 국내 양대 경매업체는 미술품 경매 이외에 다양한 부대 서비스도 운영 중이다. 서울옥션서울옥션은 인사 아트 스토리지, 장흥 아트 스토리지, 평창 스페이스 3곳에 아트 스토리지(저장소)를 운영한다. 서울에서 편리하게 미술품 및…
대표이미지
[문화]‘울림, 안중근을 만나다’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왕진오 기자) “동풍이 점점 차가운데 장사의 의기가 뜨겁도다.”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 의거를 3일 앞두고 안중근(1879~1910년) 의사가 읊은 ‘장부가’의 한 구절이다. 그가 이토록 강렬한 마음으로 이토 히로부미에게 총을 겨눈 까닭은…
대표이미지
배우 성두섭-정원영, '베어 더 뮤지컬'서 갈등 청소년으로 변신
강렬한 락 음악과 파격적인 소재로 주목받은 '베어 더 뮤지컬'이 한국 초연을 앞두고 캐스팅을 공개했다.'베어 더 뮤지컬'은 보수적인 카톨릭계 고등학교에서 벌어지는 청소년들의 성장기와 인간애를 다룬 작품이다. 성장의 아픔을 수면 위로 꺼내 정체성에 대한 고민, 방황, 불안한 심리 등을 강렬한 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