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미술
·
2015년 전시방향 밝히는 이숙경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CNB=왕진오 기자) 30일 서울 대학로 아르코미술관에서 진행된 2015년 베니스비엔날레 미술전 한국관 커미셔너 기자간담회에 함께한 이숙경(45) 커미셔너(영국 테이트미술관 큐레이터)가 1995년 문을 연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이 지닌 의미와 지난 20년 간 베니스비엔날레를 통해 형성되는 동시…
이휘재, JTBC 스타 가족 퀴즈쇼 '빅스타 리틀스타' 단독 MC 맡아
(CNB=왕진오 기자) 스타와 그 자녀들이 함께하는 JTBC의 특집 파일럿 프로그램 '빅스타 리틀스타'가 5월 10일 저녁 7시 35분에 방송된다.'빅스타 리틀스타'는 영국 ITV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새로운 가족 게임쇼의 장을 열어 준 스타 퀴즈 프로그램이다. 영국에서 시청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
잊힌 역사와 시간에서 중요성을 찾는 작가 강소영릴릴
자신과 주변의 일상 등 현실과 경험을 통한 이야기에서 시작해, 사라진 역사와 시간성에 대해 범위를 넓히며 세상의 본질을 찾는 작업을 만들어가는 강소영릴릴 작가를 만났다. 그녀는 회화, 설치, 영상 등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는데 비디오설치가 주된 작업 방식이다.“대학원을 졸업하자마자 많은 전시에 참여했어요. 하지…
회화와 조각이 한 번에 어우러진 돌조각, 이세웅의 '돌에 핀 우담바라'展
(CNB=왕진오 기자) 서울 도심 천년고찰 봉은사(奉恩寺)에서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해 흥미롭고 색다른 전시가 4월 24일부터 5월 18일까지 펼쳐지고 있어 신도뿐 아니라 일반 관람객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전각(篆刻) 돌에 부처님 말씀이나 불화(佛畵)이미지와 함께 불성(佛性)에 관한 메시지를…
다양한 매체와 방식으로 새롭게 읽는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CNB=왕진오 기자)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원 줄거리에 저마다의 경험과 상상이 더해져 또 다른 이야기로 재탄생하는 '옛날이야기'가 첨단 LED 조명아트와 터치스크린 그리고 스톱애니메이션 영상으로 다시 태어났다.또 30여개의 다양하고 재미있는 체험물이 어린이 연령대에 맞춰 다양하게 구성…
[강명식 골프 세상만사]스크린골프에서도 골프예절이 필요하다
골프 관련 산업의 깊은 불황에도 불구하고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곳이 있다. 바로 스크린골프다. 그런데 이의 호황은 시기할 게 아니라 박수칠 만한 일이다. 스크린골프가 단순한 게임이나 놀이라고 여기는 사람들도 있지만, 이를 골프의 한 문화로 보는 엇갈린 시각도 존재한다. 하지만 스크린골프가 오…
[화제의 신간]이대로 가면 또 진다(손석춘과 지승호의 대자보)
이대로 가면 또 진다(손석춘과 지승호의 대자보)손석춘·지승호 지음 / 8500원 / 철수와영희 / 112쪽‘철수와 영희를 위한 대자보’ 시리즈는 보통 사람들인 ‘철수’와 ‘영희’를 위한 이야기꽃을 피워, 제대로 된 진보의 목소리와 기층 민중의 생생한 현실과 생각들을 전한다. 좀 더 나은 세상을…
[화제의 신간]동백꽃 외(김유정 중·단편소설)
동백꽃 외(김유정 중·단편소설)김유정 지음 / 1만2800원 / 재승출판 / 336쪽김유정의 집안은 고향인 춘천은 물론이고 서울에도 백여 칸 되는 집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부유했지만 일곱 살 때 어머니를, 아홉 살 때 아버지를 여읜 뒤로 가세가 급격히 기울었다. 김유정은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잃고 다…
[커버 아티스트 - 왕열]무릉도원은 있다
서양의 유토피아란 토마스 모어가 그리스어의 ‘없는(ou)’, ‘장소(topos)’라는 두 말을 결합해 만든 용어이다. 도연명도 이상향으로 도원경을 그리며 인간이 찾을 수 없는 곳이라는 곳을 무릉도원이라고도 한다. 이곳은 현대인들의 마음의 안식처인 것이다.이제까지 많은 시대, 많은 작가들이…
[이색현장 - 백자(白瓷)에 취하다]미술, 백자를 품다
(CNB=왕진오 기자) 도공의 손끝에서 빚어진 백자의 자연스러운 형태와 은근한 색채, 질박하면서도 우아한 매력은 한국적 아름다움의 표상으로 우리 미술가들의 작품에 재현되어 왔다.1930년대 도상봉(1902∼1977)을 비롯해 해방 이후 손응성(1916~1979) 등 아카데미즘 작가들이 백자정물을 선…
1361
1362
1363
1364
1365
1366
1367
1368
1369
1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