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미술
·
EBS'만나고 싶습니다' 박동규 교수의 '사랑하는 나의 제자여!'
(CNB=왕진오 기자) 우리나라 대표 문학가이자, 부친인 시인 박목월에 이어 문학계의 큰 별 박동규(75) 교수의 이야기가 27일 오전 9시 40분 EBS를 통해 방송된다.서울대 교수 재직 시절, 박동규 교수에게는 특별한 기억을 남긴 제자가 있다. 1985년 폭압 정치에 맞서겠다며 뛰어 들었다가 구속된 그…
이방인의 시선으로 본 낯선 도시, 장 줄리앙 푸스의 '동방견문록'
(CNB=왕진오 기자) 프랑스 영화 제작자인 장 줄리앙 푸스(jean-Julien Pous)가 이방인으로서 아시아의 낯선 도시들을 여행하면서 느낀 순간 순간의 감성 등을 표현한 영상과 사진을 가지고 오는 5월 1일부터 24일까지 서울 회현동 금산갤러리에서 '동방견문록'전을 펼친다.장 줄리앙은 "이…
자유롭고 행복한 삶의 꿈을 그리다, 홍미림 개인전
(CNB=왕진오 기자)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현대의 삶 속에 자신을 적응하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살아가기 위해 그 속도에 맞추려고 부단히 노력을 경주하지만, 마음 속 한 켠에는 여유롭고 자유로운 삶을 갈망하는 것이 현실이다.이러한 변화에 주목한 작가 홍미림(36)이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이야기…
환상의 숲을 여행하는 입체 공간의 사진, 킴 보스케 개인전
(CNB=왕진오 기자) 영화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드넓은 초원과 숲속의 요정 아라곤이 바로 튀어나올 듯 한 나무숲의 모습이 입체적으로 드러나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강렬한 색채도, 특이한 무늬도 없다. 우리 일상에서 보던 뒷동산이나 소풍을 떠나 만났던 푸른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옮겨다 놓…
'무량수불, 극락에서 만나다' 국립중앙박물관 서화관 테마전
(CNB=왕진오 기자) 의식용 궤불전시인 '무량수불, 극락에서 만나다-한미산 흥국사 괘불'전이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불교회화실에서 5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진행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이 2006년 청곡사 괘불 공개 이후 석탄일에 맞추어 진행되는 여덟 번째 자리이다.한미산 '흥국사 궤불'…
[이한성의 옛절터 가는 길 49 (上) 공주 기행]수원사지~월성산 봉수~…
공주행 버스에 오른다. 공주로 가는 차편은 고속터미널이나 남부터미널에서 수시로 있기에 예약이 필요하지 않다. 버스는 두 시간이 걸리지 않아 경부고속도로 천안에서 논산 방향 고속도로를 타고 공주에 닿는다. 이렇게 가볍게 백패킹길에 오르면 휘파람 불듯 가벼운 일탈감(逸脫感)을 즐길 수 있다…
[최창석의 문화파워 - 한국인의 과시욕]한국인은 왜 중대형차 선호하…
『한국인은 과시욕이 강하다고 한다. 왜 강해졌을까? 특히, 중대형 승용차와 명품의 소비에서 과시욕이 잘 드러나 있는 것 같다.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왜 승용차와 명품은 과시욕을 드러내는 수단이 됐을까? 우리나라의 승용차와 명품 소비성향을 일본, 미국 등의 주요선진국, 중국…
[김재화 골프 세상만사]인생에서의 ‘되고법칙’을 아시나요?
그 옛날, 논산에서 신병훈련을 받던 필자는 당시 철조망통과 과목을 설명하던 교관에 대해 무척이나 답답했던 기억이 있다. ‘왜 이런 식으로만 가르칠까?’라며 교육방식의 아둔함이랄까, 그런 것에 가슴을 쳤던 것이다.교관 “에~!, 철조망은 장애물을 말한다”, 필자 ‘(속)그럼 철조망이 장애물이…
[커버 아티스트 - 김형률]‘달빛무대’ 통해 인생무대 승화
김형률은 ‘여인’, ‘꽃’, ‘공작’, ‘말’을 그림의 주된 소재로 삼고 있다. 자유롭고 굵은 필선에 의해 그려진 그의 그림 특징은 어느 누가 보아도 드로잉적 요소가 매우 강하게 전달된다. 시각적으로 전달되고 있는 형상과 색채는 현실적으로 느낄 수 없는 요소들로 화면에 채워져 있으면서, 자유…
[이색 현장 - ‘트로이카’]과학에 감성을 입혀 예술로 만나다
(CNB=왕진오 기자) 구름을 움직이는 소리, 빛의 수면 위를 걷는 상상 과학의 언어로 표현된 시적인 아름다움이 전시장 곳곳에 펼쳐진다.영국이 주목하는 천재 아티스트 트리오, 트로이카(TROIKA)의 조각과 드로잉, 설치 등 다양한 영역을 넘나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전시가 서울 통의동 대림미술관…
1361
1362
1363
1364
1365
1366
1367
1368
1369
1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