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이미경의 부동산 만화경 24]박근혜 정부 1년, 부동산 정책 평가는 과…
출범한지 1년이 지난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부동산 전문가들의 평가는 거래 활성화를 위한 부동산 정책의 방향성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아직까지 성공적이거나 낙관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평가가 주를 이른다.작년까지만 해도 정부의 부동산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컸지만 반대로 부정적…
대표이미지
[이호영의 내 집 장만 이야기 24]소형주택, 앞으로는 양보다는 질로 승…
이제는 건축물을 건축하는 건축주는 물론 설계자, 시공자 그리고 부동산개발업자도 건축은 물론 설계, 인테리어, 디자인, 선호도, 입지환경 등 모든 입주조건을 사용자 중심으로 하여 입주자들의 편리성과 주변 환경에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주거환경을 건축초기단계인 설계계획시부터 충분히 고려해…
대표이미지
‘여행과 박물관’주제, 국립중앙박물관 창조적 경영 지도자 최고위 과…
(CNB=왕진오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이 우리나라 사회 각계의 최고 경영자를 대상으로 ‘제8기 창조적 경영 지도자 최고위 과정(Creative CEO Course)(이하 최고위 과정)’ 수강생을 모집한다. 제8기‘최고위 과정’은 문화의 다양성·보편성·특수성을 이해함으로써 세계인…
대표이미지
[이한성의 옛절터 가는 길 46 - 상]천마산 봉인사~광해군묘~관음봉
근래 영화와 TV사극을 통해 광해군(光海君)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연전(年前) 상영된 영화 광해는, 그간 영창대군과 인목대비의 아픔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해 왔던 여러 이야기들의 틀에서 벗어나 광해군을 다른 시각에서 보고 있다. 이런 작업이 긍정적 이미지의 광해군을 보여 주는데 성공한 것 같…
대표이미지
[김영두 골프 세상만사]그대의 시선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미국작가 윌리엄 피터의 글에 이런 대목이 있다.‘길을 가던 한 청년이 100달러짜리 지폐를 주웠다. 너무도 기분이 좋아진 그는, 길을 갈 때마다 길바닥만 보며 걸었다. 10년 후, 그는 2만9000개의 핀, 12달러, 구부러진 자신의 등을 얻었다. 그가 잃은 것은 눈부신 찬란한 햇빛, 보석처럼 빛나는 밤하늘…
대표이미지
[커버 아티스트 - 고영훈]복제된 물신(物神), 일루젼의 새 방향
우리가 아는 고영훈 작가에게는 으레 그의 예술의 외표 하나가 떠오른다. ‘일루젼’이라는 말이 그것이다. 그래서 새로운 작품을 선보이면 또 어떤 일루젼의 진면목을 보여줄까 하는 데 관심을 갖게 된다.우리 미술용어로 ‘환영(幻影, illusion)’이라는 말로 번역되는 ‘일루젼’은 아직도 세계…
대표이미지
[미리 보는 2014 제32회 화랑미술제]미술계 도약 발판
(CNB=왕진오 기자) 글로벌 경기 침체와 미술품을 둘러싼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미술시장이 얼어붙은 지 오래됐다. 이런 난관을 극복하고 건전한 미술시장 육성과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화랑들이 똘똘 뭉쳤다. 미술시장 반등과 업그레이드의 발판을 만들려는 큰 장이 오는 3월 5일 오후 5시 서울 삼성…
대표이미지
[장수종의 공공미술이 미래다]공공 프로젝트 병폐, 간과해서는 안 된…
지난주 12일 부터 사흘간에 걸쳐 ‘HCI KOREA 2014’가 사단법인 한국HCI학회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동 주최로 강원랜드에서 ‘공감의 근원’이라는 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됐다.올해로 25번째를 맞이하는 ‘HCI KOREA’는 정보통신과 디자인, 예술 그리고 인문 사회를 아우르는 다양한 분…
대표이미지
[김연희 큐레이터 다이어리]아티스트, 비극적 현실에서 탈출시켜 줄…
미술을 공부하고 그림 그리는 사람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이들이 해가 거듭 될수록 많아지면서 어느덧 미술 시장은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지는 과잉 상태에 이르렀다.이 같은 현상이 더해지면서, 작가들은 서로의 역량과 대중의 시각적 머무름을 의식하여 자신의 그림을 인식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대표이미지
[이 사람 - 강요배의 30년 작품세계]제주바람이 빚은 날것을 기록하다
(CNB=왕진오 기자) 바람의 섬 제주의 생활이 곧 그의 삶이 된 작가 강요배(62)에게는 탐라인, 민중미술작가란 수식어가 그림자처럼 따라다닌다. 1980년대 민중미술 운동을 활발히 했던 ‘현실과 발언’미술동인에 참여했다. 1989년부터 3년간 4·3 제주항쟁 연구자들과 함께 연구논문, 인터뷰, 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