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벗는 연극, 性의 상품화에 대한 더러움을 통해 우리시대 자화상을 그리다
[서울=CNB]왕진오 기자= 돈을 위해서라면 변절도, 거짓말도 마다하지 않는 현실의 모습을 보면서 '자본은 사람을 어느 정도까지 추악하게 만들 수 있을까?'하는 질문에서 시작된 연극 '헤르메스'.'과연 돈을 좇아가는 인물의 내면 풍경은 어떤 것일가? 그런 사람들은 과연 자기합리화만 하고 살아갈…
대표이미지
KTV도 개그프로그램 신설, '패러디팟! 라디오정책쇼' 첫 방송
[서울=CNB]왕진오 기자= KTV(원장 김관상)가 딱딱한 정책을 웃음으로 풀어내는 '정책개그 패러디쇼'를 신설하고 오는 1월 24일 첫 전파를 내보낸다.'패러디팟! 라디오정책쇼'(연출 이찬구)는 실생활에 꼭 필요하지만 딱딱하고 복잡하게만 다가오는 정책을 위트있고 재미있게 소개하자는 취지로…
대표이미지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3월 18일 대단원의 막 올라
[서울=CNB]왕진오 기자= 20일 오후 서울 중구 흥인동 충무아트홀 대극장에서 열린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제작발표회에 함께한 출연진과 제작진들이 취재진들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이날 제작발표회에는 유준상, 류정한, 이건명, 박은태, 한지상, 리사, 안시하, 서지영, 안유진, 이희정, 김재동…
대표이미지
유준상, "빅터 프랑켄슈타인 역 맡았습니다"
[서울=CNB]왕진오 기자= 20일 오후 서울 중구 흥인동 충무아트홀 대극장에서 열린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제작발표회에 함께한 유준상이 배역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이날 제작발표회에는 유준상, 류정한, 이건명, 박은태, 한지상, 리사, 안시하, 서지영, 안유진, 이희정, 김재동 외 출연진과 왕용…
대표이미지
[인터뷰 - 역사기행가 허우범]중국 100번 넘게 방문…삼국지 영웅의…
어린 시절부터 삼국지를 읽으며 꿈을 키운 한국인들은 많지만, 직접 그 현장을 찾아 영웅들의 숨결을 느낀 사람은 많지 않다. 서점에 무수한 삼국지 관련 서적들이 범람하지만, 그 현장을 찾아 제대로 소개하는 책은 찾기 힘들다. 역사기행가 허우범이 5년 전 ‘길 위에서 읽는 삼국지-삼국지 기행’을…
대표이미지
[이상주 작가의 ‘세종의 독서와 공부’ ]도대체 술을 어찌하랴?
“신민(臣民)들이 술 때문에 덕을 잃는 일이 가끔 있는데 이를 고려의 풍조가 다 없어지지 않은 탓이다. 이는 매우 민망한 일이라는 생각을 밝혔다.” 세종실록/15/10/28조선의 주신(酒神) 중 한 명이 세종 때의 학자 윤회다. 열 살의 어린 나이에 통감강목을 외운 그는 총명함과 민첩함으로 태종과 세…
대표이미지
[심원섭 대기자가 만난 사람 - 정세균 국정원개혁특위 위원장]“국정…
“정부 각 부처 장관들은 국회도 있고, 총리도 있고, 대통령도 있고, 국무회의도 있어 서로 견제하고 감시할 수 있다. 그러나 국정원은 아무 것도 견제기능이 없이 대통령한테만 보고한다. 따라서 유일한 보고자이자 상관이 대통령이기 때문에 과거에 국정원의 일탈행위가 있었다면 그것은 무조건 대통…
대표이미지
[최창석의 파워컬쳐]한국-몽골-일본 전통씨름 어떻게 다를까?
우리 전통의 씨름은 샅바를 잡고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경기이다. 이와 비슷한 경기는 몽골, 일본, 중국, 베트남 등 세계 각지에 분포해 있다. 그 중에서도 동북아시아에 있는 한국, 몽골, 일본의 씨름은 형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전통을 지키며 오늘날까지 성행하고 있다. 이들의 형태는 어떤 면에서 다를…
대표이미지
[화제의 신간]왕자 이우(조선왕조의 마지막 자존심)
왕자 이우(조선왕조의 마지막 자존심)김종광 지음 / 1만3500원 / 다산책방 펴냄 / 380쪽1945년 8월 6일 원폭이 투하된 히로시마. 그곳엔 일본 군복을 입은 한 조선인 남자가 쓰려져 있었다. 조국의 군복을 간절히 입고 싶어 했던 그의 이름은 이우. 그는 고종의 5남 의친왕 이강의 아들로 태어나, 흥선…
대표이미지
[화제의 신간]공연의 탄생(대한민국 제1호 예술경영 CEO의 자전 에세…
공연의 탄생(대한민국 제1호 예술경영 CEO의 자전 에세이)이종덕 지음 / 1만8000원 / 숲 펴냄 / 376쪽이 책은 이종덕 충무아트홀 사장의 자전적 에세이다. 올해로 80세인 그가 기억을 더듬어 지난 50년간 걸어온 무대인생과 인생무대를 재구성했다. 저자는 1963년 문화공보부 예술과 공무원으로 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