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미술
·
[아트인 선정 전시]장은선 갤러리 ‘박용인 초대전’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장은선 갤러리가 박용인 작가의 초대전을 12월 3일부터 9일까지 연다. 원로화가 박용인은 50년의 세월을 그림으로 채워왔다. 작가는 사물이든 눈에 닿는 모든 것 또는 비가시적인 것들까지 그림의 주제로 삼는다. 풍경에서 비롯되는 소재에서 때로는 정물이…
김환기·천경자·단색화 등 해외시장 블루칩 대거 출동, 서울옥션 12월…
(CNB=왕진오 기자) 해외 컬렉터들의 인기를 얻고 있는 김환기, 김창열, 이우환 등 한국 근 현대 작가들의 작품과 '단색화'로 주가가 급상승한 정상화, 박서보, 윤형근 등 205점 90억 원 규모의 미술품 경매가 12월 17일 서울옥션 '제134회 미술품 경매'에 나온다.2014년 마지막 경매인 이번 경매 최고…
일상 속 발견되는 삶의 중요한 순간, 나빈 작가의 '리추얼'
(CNB=왕진오 기자) 널어둔 빨래에 비치는 햇빛, 한강 다리를 지나가는 지하철의 푸른 궤적, 산책길 발밑에 널려있는 다양한 나무열매 등 너무 익숙해서 주목하지 않았던 대상들이다.하지만 어느 누군가에게는 세상의 전부일 수 있고, 그 상황을 접할 수 있다는 것에 커다란 기쁨을 만끽할 수 있다.나빈…
2만 1000 송이 LED장미로 변신한 DDP, 시민들 명소로 각광 받아
(CNB=왕진오 기자) '디자인·창조산업의 발신지'라는 비전에 발맞추어 전시, 공연, 포럼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통해 지식과 즐거움을 동시에 선사하고 있는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대표 백종원)에 2만 1000송이 LED 장미정원이 꾸며져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이 LED 장미정원은 지난…
[커버 아티스트 - 김일해]서정성이 내재된 안식의 풍경 이미지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김일해(60)는 여러 개의 수식어를 지니고 있다. 미술계의 가수, 색채의 마술사, 의리의 사나이, 힘이 넘치는 작가. 기교의 작가 등…. 몇 개의 수식어가 있는데 그 수식어들을 보면 의리가 있고, 노래도 잘하는 만큼 작품도 좋으며, 작품이 잘 팔리는 인기 작가라…
[이색 전시]시대의 아이콘 헵번, 진솔한 휴머니즘 조명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영화 ‘로마의 휴일’(1953)에서 딱딱한 왕실을 벗어나 거리로 뛰쳐나와 천방지축 뛰놀던 공주를 기억하는가? 이 공주를 연기하던 여배우는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1961)에서는 웃음기 없는 시크한 표정으로 변신했다. 그리고 이후엔 영화배우가 아…
[신민 큐레이터 다이어리]갤러리 변신은 무죄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팔색조 같은 여자, 매력이 넘친다는 의미이다. 때마다 새로운 면모를 드러내는 여성은 왜 주목을 받는가? 다양한 색감을 표출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틀에 가두지 않는 도전정신이 있어야 가능하다. 그녀는 자신을 개발하는 즐거움을 아는 자다. 당연히 보는 이…
[현장 - 필립스컬렉션 ‘앵그르에서 칸딘스키까지’]서양미술 걸작,…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왕진오 기자) 파블로 피카소를 비롯해 프란시스코 호세 데 고야, 장-오귀스트-도미니크 앵그르, 외젠 들라크루아, 오노레 도미에, 에두아르 마네, 에드가 드가, 폴 세잔, 클로드 모네, 빈센트 반 고흐, 바실리 칸딘스키 그리고 한국의 김환기 등 68명 거…
[아트인 선정 전시]갤러리 세인 ‘담음의 의미’전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갤러리 세인이 김준용, 장호승, 정용현 작가의 3인전 ‘담음의 의미’를 12월 2일부터 12일까지 연다. 담음을 본질로 하는 그릇을 작품으로 승화시킨 작가들의 작품 30여점이 전시된다.김준용의 작품은 기(器)의 형상은 고유하게 유지하지만 내용적 측면에…
[아트인 선정 전시]학고재 갤러리 ‘송현숙 개인전’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학고재 갤러리가 송현숙 작가의 개인전을 11월 14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연다. 2008년 이후 한국에서 6년 만에 다시 열리는 이번 전시에는 몇 번의 붓 놀림으로 이제는 기억의 한편에 사라져 버린 항아리 그림을 비롯해 횃대에 걸린 하얀 천, 장독 등의 이미지…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