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
·
'이름 없는 영웅들'에게 듣는 감동 스토리 "당신이 주인공입니다"
(CNB=왕진오 기자) 정부수립 66주년인 올해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이 국민 개개인이었음을 공유하는 5부작 특별기획 시리즈 '대한뉘우스의 주인공을 찾습니다'를 방송한 KTV가 특집 공개방송 '당신이 주인공입니다'를 12월 19일 밤 8시부터 100분 동안 방송한다.'대한늬우스의 주인공을 찾습니…
단색화 열풍에 K옥션, 12월 경매 출품작 100% 낙찰
(CNB=왕진오 기자) 미술품 경매시장에서 단색화 인기의 절정을 보여주는 결과가 16일 오후 서울 신사동 K옥션에서 진행된 12월 경매에서 나타났다. 미술품 경매회사 K옥션(대표 이상규)은 16일 오후 5시부터 진행한 12월 메인경매에서 '단색화'거장 섹션에 출품된 정상화, 하종현, 박서보, 윤형근…
제12회 김종영조각상 수상작가 전윤조 작품전 개최
(CNB=왕진오 기자) 어려서 청력을 거의 잃은 조각가 전윤조(40)가 제12회 김종영조각상 수상작가로 선정되어 12월 12일부터 '머리가 알지 못하는 마음'전을 서울 평창동 김종영미술관 신관 사미루 전관에서 막을 올린다.작가는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전시장에 작품으로 전시해 관객과 공감대를…
포르쉐코리아, 덕수궁 보호를 위해 1억원 후원
(CNB=왕진오 기자)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포르쉐코리아(대표 김근탁)와 함께 12월 16일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덕수궁의 보존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후원과 자원봉사 참여를 위해 ‘한 문화재 한 지킴이’ 협약식을 개최했다.문화재청과 포르쉐코리아는 덕수궁의 지속…
고사한 나무에 새 삶을 불어넣는 데이비드 내쉬 내한
(CNB=왕진오 기자) 16일 서울 삼청로 국제갤러리 2관에서 조각가 데이비드 내쉬(69) 내한 간담회가 열렸다.이날 함께한 갤러리 1층에 설치된 코르크 나무로 만들어진 작품의 일부를 들고 재료를 구입하게 된 경위를 설명하고 있다.조각가 데이비드 내쉬(David Nash)가 12월 16일부터 서울 삼…
한국 뉴미디어아트의 흐름 한 자리서 조망 '미래는 지금이다!' 로마 전시
(CNB=왕진오 기자) 국립현대미술관(관장 직무대리 윤남순)의 뉴미디어 소장품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뉴미디어 아트의 흐름을 조망하고 소개하는 전시 '미래는 지금이다!'가 12월 19일부터 2015년 3월 15일까지 로마 국립21세기현대미술관(MAXXI)에서 개최된다.백남준, 박현기, 김수자, 정연두,…
조선 전기 ‘덕종어보’ 내년 3월 한국 반환 합의
(CNB=왕진오 기자) 조선 전기 어보로 판단되는 ‘덕종어보’가 내년 3월 한국으로 돌아온다.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미국 시애틀미술관(관장 Kimerly Rorschach)과 반환 합의에 따라 미국에 있는 ‘덕종어보’를 내년 3월에 우리나라로 들여온다고 16일 밝혔다.시애틀미술관은 ‘덕종어…
가수 솔비, 북한이탈청소년들을 위한 벽화그리기 재능나눔에 동참
(CNB=왕진오 기자) 지난 12일 가수 솔비(본명 권지안, 30)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나눔봉사단 벽화 전문가들이 경기도 안성시 소재 북한이탈청소년 특성화학교인 한겨레중·고등학교(교장 곽종문)를 직접 방문해 '예술나무와 함께하는 알록달록 꿈의 캔버스'실내 벽화작업을 펼쳤다.이번 벽화작업…
미리 만나는 양띠해의 모든 것 '행복을 부르는 양'특별전
(CNB=왕진오 기자) 2015년 을미년(乙未年) 양띠해를 맞아 양과 관련된 '십이지신도(十二支神圖)’, ‘기양동자도(騎羊童子圖)’, ‘양석(羊石)’, ‘양정(羊鼎)’과 근현대 문학작품 등 총 76점의 자료가 소개되는 전시가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기획전시실에서 12월 17일 막을 올린다.전시…
EBS 다큐프라임 ‘데스’, 올해의 방송 비평상 수상
(CNB=왕진오 기자) EBS 다큐프라임 생사탐구 대기획 ‘데스’가 ‘2014년 올해의 방송 비평상’을 수상했다.EBS 다큐프라임 ‘데스’는 ‘죽음’에 대해 역사학, 물리학, 심리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를 통해 심층적으로 다룬 다큐멘터리다. ‘데스’는 국내 최초로 죽음의 실체를 실험으로 증명…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