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칼럼
·
테스트…
ㅈㅈㅈㅈㅈ
[안명옥 ‘사랑의 정치학’ - 39]모성애와 사랑의 정치
10월 10일은 법정기념일인 ‘임산부의 날’이다. 새 생명을 정성과 사랑으로 기르는 생명의 화신인 임산부를 존귀하게 대하고, 생명의 환희를 함께 느끼는 날이다. 생명 존중의 날이며, 사랑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모성애을 기리는 날이다. 2000년 이래로 이 날이 제정되기를 염원했고, 20…
[김홍순 건강 칼럼]아파도 참아? 통증 방치하다 큰 병 된다
‘통증’이라는 제목의 영화가 9월에 개봉했다. 가족을 잃은 죄책감으로 어떠한 통증도 느끼지 못하는 남자와 혈우병 때문에 작은 통증도 몸에 치명적인 여자의 애틋한 만남을 그린 영화다. 주인공들은 통증에 무감각하거나 또는 극도로 예민하다. 현실에서는 어떨까? 평범한 이들은 때때로…
[조윤선의 문화산책 ⑦]큐레이팅의 묘미 국립 중앙 박물관의 ‘초상화…
역시 위대한 예술은 매번 새롭게 태어나기를 거듭한다. 영원불멸의 오페라작품은 작곡가의 시대, 연주자의 시대, 지휘자의 시대를 지나 연출자의 시대에 돌입했을 정도로 하나의 작품이 재창조를 거듭해 왔다. 미술도 다르지 않다. 요즘 미술관의 전시를 보면, 이제 미술은 원작자의 시대, 관객…
[설준희 교수의 메디컬 40년 에세이 - 19]박정희 시대엔 병원에서도…
1970년대 중반 전공의 시절 유신 독재가 시작되면서 데모가 끊이질 않았다. 그 당시 우리나라는 정부뿐만 아니라 가업을 비롯한 모든 기관의 ‘장’ 권력이 대단했다. 이승만 대통령 시절 이 대통령이 방귀를 뀌자 어느 장관이 “각하, 시원하시겠습니다”라고 했다는 말을 듣고도 웃지 않는 사람이 많…
이상훈 예술 감독 “다시 태어나도 지휘봉을 잡겠습니다”
- 국립합창단 상임 지휘자이자 예술 감독으로 부임했는데 간단한 인사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7월 13일부로 국립합창단 상임 지휘자로 임명 받은 이상훈입니다. 저는 국립합창단원 출신으로서 1984년부터 1989년까지 근무했습니다. 그 뒤 독일로 유학을 가서 독일 음대에서 합창 지휘와…
‘50cm 퍼트도 한 타다’
스포츠나 삶에서나 끝맺음이 좋아야 성공적인 결과가 나온다. 골프도 마찬가지다. 마지막 단계인 짧은 거리 퍼트를 잘해야 스코어도 좋아지고 우승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골프의 특징은 날리고 굴리는 두 요소가 합쳐진 운동이어서 힘만 좋다고 모두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강약의 완급조절과 담대하면…
38. “거저 받았으니 거저 줘라”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가 췌장암으로 미국 시간으로 2011년 10월 5일 타계했다. 놀라운 창조력으로 많은 사람의 영감과 열정에 불을 지핀 불꽃같은 삶이었다. 다시 한 번 이 자리를 빌려 삼가 조의를 표하고 싶다. 그의 2005년 스탠포드 대학 졸업식 연설은 대단히 감동적이다. 역경도 결과적으로 그…
37. 공유경제의 숨어 있는 주주
오늘로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사랑의 경제인 공유경제에 대한 맺음을 한다. 우리가 살아가며 일하는 것은 단지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니다. 공동선을 위해 모두가 각자의 몫을 일하고자 함이다. 가치를 창출하고, 대가로 얻은 돈은 저절로 내게 와서 내 행복하고 윤택한 삶의 일부가 된다. 또한…
35. 거듭난 사람들이 만드는 공유경제
안명옥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교수, 전 국회의원 저축은행 사태를 보며 하염없이 울적하다. 사회가, 서민들이 더욱 더 애달프고 고통스러운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일생 모은 재산을 노후대책으로 조금이라도 더 높은 이자를 받기 위해 믿고 맡긴 돈이라며 눈시울을 붉히는 70대 할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