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ART-IN
·
[동정] 현대차그룹, ‘제2회 VH 어워드’ 수상작으로 김형규 작가의…
현대차그룹은 7일 열린 미디어아트 작품 공모전 ‘제2회 VH 어워드(VH Award)’ 시상식에서 김형규 작가의 작품 ‘바람을 듣다_경계의 저편(Hear the Wind_Across the Border)’을 그랑프리 수상작으로 선정했다.VH 어워드는 현대차그룹 인재개발원 마북 캠퍼스에 위치한 미디어…
'블랙리스트' 박근형 공연, 남산 무대에 다시 올라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에 올랐던 연극인인 박근형 연출의 작품 '모든 군인은 불쌍하다'가 올해 남산예술센터 무대에 오른다. 서울문화재단 남산예술센터는 오는 3월부터 12월까지 드라마센터 무대에 오르는 시즌 프로그램 10편의 작품을 7일 공개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동시대…
"미인도는 위작이고 가짜" 천경자 화백이 생전에 남긴 공증서 발견돼
고 천경자 화백의 유족 측 공동 변호인단은 오늘(7일) 위작 논란의 ‘미인도’에 관해 천 화백이 공증 확인서를 남겨뒀다는 사실을 밝혔다. 공개된 공증서에 의하면, 천경자 화백은 ‘1991. 12. 26. 자 공증인가 중앙합동법률사무소 동부 1991년제4699호 인증서(확인서)’를 통해, “국립현대미술관…
나무 깎으며 우주의 법칙 탐구하는 작가 리장뽈의 개인전 '씨앗', 가나아…
인사동 가나아트 스페이스는 2월 8~13일 조각가 리장뽈 개인전 ‘SEED(씨앗)’을 개최한다.리장뽈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품은 나무 조각이다. 그는 그의 삶이 스며든 자연 속에서 발견한 재료인 나무와 함께 놀며, 자연스럽게 자연과 세상의 법칙에 대해 탐구한다.무게감 있고 단단하게 보이…
[알림] ‘조각’ 분야 대상 제4회 CNB저널 표지작가 공모에 3명 당선
CNB저널이 1월 9~22일 진행한 제4회 표지 작가 공모의 결과, 조각 분야의 작가 3명이 표지 작가로 선정됐습니다.CNB저널은 이번 표지작가 공모를 현대 미술에서 주목받는 장르의 편중을 완화하고자 장르별로 진행했습니다. 독자에게는 더욱 다양한 예술의 모습을 소개하고 작가에게는 작업을 선보…
스페이스선+ 갤러리에 등장한 '뱅크시 월 아트 체육관'
증강현실을 이용한 게임 ‘포켓몬고’가 열풍이다. 그리고 한국에서 포켓몬고 열풍이 일기 전 앞서 증강현실을 자신의 작업에 끌어들인 작가가 있다.서울 스페이스선+ 갤러리가 재능 있는 젊은 작가들의 작업을 소개하는 ‘청춘몽(夢) 프로젝트’전으로 주다인 작가의 전시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명은…
[이문정의 요즘 미술 읽기 - 혐오스러운 재료] 고개돌렸지만 또 되돌아…
(CNB저널 = 이문정(미술평론가, 컨템포러리 미술연구소 리포에틱 소장)) 지난 칼럼에서 버려진 쓰레기, 눈에 보이지 않거나 없어지는 것들처럼 요즘 미술에서 새롭게 부상한 재료(매체)들을 살펴보았다. 아직 익숙한 것이 아니기에 이러한 재료들로 만들어진 작품들 앞에 선 관객들은 당황하거나 황…
[커버스토리] 벤처가 미술을 만나니 ‘아트웨이브’가 일렁
서울의 대표 상권으로 이름난 홍대 인근에 재능 있는 작가들에게 무상으로 작업실을 제공하는 레지던시가 있다. 아직 ‘아트 웨이브’란 이름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부터 입주 작가들이 ‘(벌써 떠나기) 아쉬운 레지던시’로 불렀을 정도로 전폭적인 지원을 자랑한다. 쾌적한 공간에 월세는 물론 공과금…
[주목 전시] '죽은 비평의 미술계'에 비평 읽는 전시회
신문·잡지 기사는 물론 소설책까지 스마트폰으로 읽는 오늘날, 긴 글의 입지가 점점 줄고 있다. 어쩌면 ‘긴’ 글이 문제가 아니라 ‘글’ 그 자체가 사라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미지 콘텐츠가 범람하는 시대에, 미술계 내부에서도 비평의 위기가 대두된 지 오래다. 비평 글을 과연 누가 읽겠느냐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2017년 예술인복지 사업설명회 개최
한국예술인복지재단(대표 박계배)은 오는 6일(월) 오후 2시 서울 대학로에 위치한 동숭아트홀 동숭홀에서 ‘2017년 예술인 복지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5번째 진행되는 이번 설명회는 예술인과 협회 및 단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2017년도에 추가·수정된 예술인 복지사업의 신…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