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
·
[이종구 음악 에세이]미국 공연 문화의 메카 ‘링컨센터’
뉴욕의 링컨센터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문화 예술 교육기관이다. 링컨센터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뉴욕 필하모니, 뉴욕시 오페라와 발레 극장, 실내음악 협회, 미국발레 학교, 줄리아드 음악원 등 모두 12개의 음악 단체를 수용하고 있는 거대한 조직이다. 2010년 2월에 필자…
[화제의 신간]‘결정적 순간에 써먹는 선택의 기술’
‘덜 정상적’이고 이성적인 소수가 돼라! ‘결정적 순간에 써먹는 선택의 기술’ 크리스토퍼 시 지음, 양성희 옮김 이 책은 사람들이 일상 혹은 직장에서 결정을 내릴 때 흔히 범하는 과오들을 보여준다. 그리고 선택행동학을 바탕으로 비합리적인 행동을 치밀하게 분석해 그 이면에 숨…
13명이 삼각관계로 꼬이면?…연극 ‘갈매기’
러시아의 소설가-극작가인 안톤 체홉이 “700년을 더 산다고 해도 다시는 희곡을 쓰지 않겠다”는 극단적 결심을 하게 만든 동시에 그에게 희곡 작가로서 큰 영광을 안겨 준 작품 ‘갈매기’가 무대에 오른다. 극단 맨씨어터는 연극 갈매기를 서강대학교 메리홀 대극장 무대에 11월 25일~12월 11일…
[이종구 음악 에세이]철의 장벽에 금을 낸 클라이번
번스타인 외에도 미국의 자존심을 살려준 음악인이 있다. 1958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우승한 밴 클라이번이다. 그는 1934년에 석유와 축산업의 본고장인 텍사스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유전 사업가였으며 어머니는 피아니스트였다. 1958년은 구소련과 미국은 냉전의 절정기였으며 사…
[화제의 신간]‘동해와 만나는 여섯 번째 길’
20대의 끝없는 방황 속에서 희망을 주었던 시 ‘동해와 만나는 여섯 번째 길’ 손정순 지음 손정순 시인이 등단 10년 만에 첫 시집 ‘동해와 만나는 여섯 번째 길’을 선보인다. 저자의 첫 시집은 유년기의 성장통, 젊은 날의 방황, 삶의 깊은 자각 과정 등을 두루 온축(따뜻하게 간직함)…
남자끼리 스릴 계속 추구하면? 뮤지컬 ‘쓰릴 미’…
동성애, 유괴, 살인…. 모두 자극적인 단어들이다. 그런데 이 단어들이 모두 포함된 사건이 있다면? 1924년 시카고를 떠들썩하게 한 흉악한 유괴 살인 사건이 있었다. 비상한 두뇌를 지닌 소년들이 잔혹하게 어린 아이를 살해한 이 충격적인 사건은 여러 창작자들에게 모티브가 됐고, 2003년…
백인 살해한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인종차별이 많이 사라졌다고는 하지만 아직 남아 있는 게 사실이다. 최근에는 축구 선수 존 테리가 인종차별 발언 논란으로 구설수에 올랐고, 1960년대 초반 미국 남부에 만연했던 인종차별 문제를 다룬 영화 ‘더 헬프’도 개봉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처럼 인종차별 문제는 민감하고도 계속되는…
[이한성의 이야기가 있는 길 - 30] 의주대로 따라 용미리 마애불로
오늘의 이야기 있는 답사 길은 시내버스로 떠나 보려고 한다. 용미리 용암사에 가면 낮은 고갯마루에 남쪽을 바라보며 어깨를 겯고 계시는 거대한 두 마애불을 만나게 된다. 보물 93호인 이른바 ‘파주 용미리 석불입상’이다. 그 너머에는 윤관장군의 묘가 있고, 근처에는 영의정을 지낸 심지…
비극이 이렇게 유쾌했던가? 뮤지컬 ‘햄릿’
세익스피어의 비극 ‘햄릿’.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라는 문구로도 유명한 이 작품은 슬픔과 처절한 고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뮤지컬 ‘햄릿’도 다소 우울하고 고리타분하지 않을까 했다. 하지만 웬걸? 박장대소하며 눈물 콧물을 찔끔 빼놓는다. 하지만 그 비극의 뼈대는 유지…
소극장에서 즐기는 ‘제1회 대학로 오페라 페스티벌’
청춘과 문화가 살아 숨쉬는 대학로에서 신선하고도 젊은 감각을 지닌 오페라 공연을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제1회 대학로 오페라 페스티벌’이 클래식 전용극장 오씨어터에서 11월 17일부터 12월 11일까지 열린다. 이번 행사는 폭스캄머앙상블(대표 최강지)이 주최하고, 클래식타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