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경제
·
한화그룹, 인천에 미세먼지 방지숲 '한화 태양의 숲 7호' 조성
한화그룹이 미세먼지를 줄이는 숲을 조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한화그룹은 27일 인천광역시 서구의 수도권 제2 매립지에서 '한화 태양의 숲 7호: 미세먼지 방지숲' 조성을 위한 식수 행사를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이날 행사에는 한화커뮤니케이션위원회 최선목 사장, 사회적기업 트…
손태승 우리은행장, ‘2018년 한국전문경영인 대상’ 수상
우리은행은 손태승 우리 은행장이 지난 26일 서울대 관악캠퍼스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열린 한국전문경영인 대상 시상식 및 추계학술대회에서 한국전문경영인(CEO) 학회가 선정한 2018년 한국전문경영인 대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손행장은 지난해 12월 은행장 취임 이후 소통과 화합의…
현대홈쇼핑, 여성 청소년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 접종 지원
현대홈쇼핑이 지난 27일 충청남도 태안군청을 방문해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 접종 지원금 5000만 원을 전달했다.현대홈쇼핑은 태안군 소재 유일한 여고인 태안여고 1학년에 재학 중인 180명 학생의 자궁경부암 예방 접종비를 전액 지원한다.자궁경부암 예방 접종은 지난 2016년부터 국가예방접종사…
SK텔레콤 "와이브로, 정상적 운영 어려워… 올해 말 종료 계획"
SK텔레콤이 올해 말까지 와이브로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를 시작했다고 29일 밝혔다. 현재 SK텔레콤 와이브로 가입자 수는 1만 7000명 수준이다.SK텔레콤은 ▲LTE5G 등 대체 기술 진화 ▲와이브로 단말장비의 생산 및 공급 부족 ▲해외 사업자 및 국내 가입자 지…
이케아 코리아,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중단… 지속 가능한 종이 소재로 대…
홈퍼니싱 리테일 기업 이케아 코리아가 오는 11월 1일부터 광명점과 고양점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종이 소재의 빨대로 대체한다고 29일 밝혔다.이케는 2020년까지 전세계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생산을 전면 중단하고 잉카 그룹이 운영하는 전세계 모든 매장 내…
[인터뷰 - ‘김해 첫 대학병원’ 세우는 김상채 이사장] “의료 나누고…
(CNB저널 _ 김해 = 강성태 기자) 김해 시민들의 오랜 숙원 사업인 대학병원 설립이 사실상 확정됐다. 지역 민선단체장들이 앞 다퉈 공약 사업으로 내걸었지만, 정치적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 20여 년을 답보 상태에 머물던 이 사업은 지역 시민들에게 사랑의 의술을 펼치고자 했던 한 의사의 집념과 뚝…
[물류 코리아 (2)] 해외직구·역직구에 국제물류까지 ‘롯데글로벌로…
(CNB저널 = 이성호 기자) 대한민국은 좁다. 앞으로는 세계다.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한진 등 빅3 택배사들이 약 5조원 규모로 포화 상태에 이른 국내 택배시장에서 눈을 돌려 해외로 향하고 있다. CNB는 아마존, 알리바바 등 글로벌 물류기업들이 버티고 있는 해외시장에서 고군분투하고 있…
[재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AI에 올인하는 3가지 이유
(CNB저널 = 도기천 기자) 삼성전자가 채 1년이 되지 않는 기간에 세계 곳곳에 인공지능(AI) 연구센터 7곳을 설립해 눈길을 끌고 있다. 삼성은 포화상태에 이른 반도체 시장의 돌파구로 바이오, 전장, 5G와 함께 AI를 4대 미래성장사업으로 내세워 시장 선점에 나선 상태다. CNB가 이재용 삼성전자 부…
[3분기 핫 실적 (1)] 대형건설사들, 일단 웃었지만…앞날은 ‘안개속…
(CNB저널 = 손강훈 기자) 코스피코스닥 지수가 연중 최저점을 갱신하고 있는 가운데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기업들의 표정이 밝지 않다. 건설금융업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이 제자리걸음 내지는 내리막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 환율금리, 국제유가 등 글로벌 상황 또한 편치 않다. CNB가…
[3분기 핫 실적 (2)] 코스피 흔들리지만 ‘어닝 서프라이즈’는 있다
(CNB저널 = 손정호 기자)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되면서 코스피지수가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올해 코스피는 순조롭게 출발했다. 1월 29일 올해 최고점(2598.19)을 보였다. 하지만 이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 미중 무역분쟁 등 외부 악재로 줄곧 하락세를 보였다.이중에서도…
4151
4152
4153
4154
4155
4156
4157
4158
4159
4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