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경제
·
MB,‘집권 2년차’ 국정운영 구상
이명박 대통령은 1월 2일 가진 ‘신년 국정연설’에서 ‘2009년 국정운영 4대 기본방향’을 통해 강력한 이명박 정부의 체질 개선을 예고하는 등 자신의 집권 2년차 국정운영 구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관심을 끌었다. 이 대통령은 ▲비상경제정부를 구축해 경제위기 극복에 매진하겠다 ▲민생을…
한국경제 이제는 희망을 말하자
기축년 새해가 밝았지만, 우리 경제는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시장은 MB 정부와 강만수 장관을 신뢰하지 못한 채 거꾸로 돌아가는 모습이고,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MB 탄핵·강만수 사퇴론까지 거론되며 가뜩이나 불안한 한국경제를 더욱 어둡게 만들고 있다. 뉴스도 마찬가…
신성장동력…경제 살리기 키워드
2008년을 지나 2009년에 들어서도 가장 큰 화두는 경제다. 나라 전체가, 더 나아가 세계가 경제를 말하고 고민하고 있다. 이번 위기를 언젠가 극복한다고 해도, 위기는 분명히 또 반복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경제를 일으키고 이끌어 갈 유력한 후보로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 및 확보가 주목받고 있다…
녹색뉴딜, 21세기 미래한국 성장의 물길
“4대강 사업은 28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 4대강 유역을 친환경 공원으로 조성하고 전국 곳곳을 자전거길로 연결해 생태문화가 뿌리 내리게 할 것이다. 녹색뉴딜정책도 본격적으로 점화하고자 한다. 태양광·풍력·연료전지 등 신재생 에너지의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하는 동시에, 건물과…
“경인운하, 한국판 新뉴딜정책”
“한반도 대운하의 재추진과 관련해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것은 경인운하이다. 경인운하는 대운하의 본류가 되는데다, 운하의 시발점이기도 하다. 한반도 대운하가 되살아나느냐도 경인운하의 향배에 달려 있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중론이다.” 김문수 경기지사가 그 동안 중단됐던 경인운하…
“경인운하, 물류·문화·관광 중심지로 만들겠다”
5년여 동안 갈피를 잡지 못하던 경인운하 건설이 다시 시작됐다. 경인운하사업은 1995년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정됐으나 환경단체 등에서 경제성을 이유로 반발, 2003년에 ‘재검토’ 결정이 내려진 바 있다. 지금은 네덜란드 DHV사와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인정받은 경제성 평가를 토대로 재추…
새해 본격시동! MB 정부 100대 국정과제
이명박 대통령은 끊임없이 대두되는 도덕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일찌감치 경제 이슈를 선점하며 실용주의와 탈(脫)여의도 정치를 대선공약에 전면 배치하여 전통적인 한나라당 지지층뿐 아니라 수도권 표심(表心), 특히 20~30대층을 움직여 민주당 정동영 후보를 압도적인 표차로 제치고 제 17대 대…
실버산업, 한국을 먹여 살린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빨리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데 반해, 아직 고령화시대에 대비한 제품 개발이나 기술 수준이 미약하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2036년에 우리나라 노인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의 20%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50년에는 38.2%까지 치솟아 세계에서 가장 ‘늙은…
뉴 IT, 경제희망으로 떠오르다
# 첨단 IT 기술이 융합된 미래 자동차 = 세계 각국의 도시는 교통체증과 사고에 따른 기회비용과 대기오염에 몸살을 앓고 있다. 앞으로 등장할 첨단 IT 기술이 융합된 자동차는 탑승자에게 주변 지리와 교통정보는 물론이고 안전한 운행을 보장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차간 거리, 차선이탈 여부,…
MB, 설연휴 개각카드 ‘만지작’
이명박 대통령이 개각을 단행할지, 한다면 언제가 될지 새해 정치권의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 측의 연이은 부인에도 불구하고 여권 주변을 비롯한 정치권 전반에서는 지난해에 흘러나왔던 ‘연말 개각설’이 ‘연초 개각설’로 바뀌었다가 이제는 ‘설(1월 26일) 전 개각설’로…
4161
4162
4163
4164
4165
4166
4167
4168
4169
4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