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CNB화랑]몽환적 詩로 피어나는 꽃·꽃·꽃
글·김병호 작가 김종준의 그림은 어떤 기억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것은 잃어버려서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과거의 존재, 즉 대기의 향기와 빛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화석처럼 굳어 있던 자신의 내재됨에 관한 것이다. 예전의 평이하고 객관적인 느낌의 이미지에서 많은 부분 탈피해 좀…
대표이미지
[CNB화랑]배빈아, 하늘이야기
서성록(안동대 미술학과 교수) 아무 것도 눈에 치이지 않는 곳에서 위를 올려보면, 하늘이 의외로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잠시 응시하고 있으면, 하늘만치 오묘하고 광활한 것도 없다는 사실을 직감하게 된다. 바다 속 같은 고요 속에 침몰하여 있는 하늘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된다. 그…
대표이미지
[CNB화랑]단순성과의 교감 새로운 추상정신을 찾아서
김성호(미술평론가) 추상, 뜨거움과 차가움의 사이 작가 강경구는 구상과 비구상의 편 가름과 그에 대한 논의가 이 땅의 미술 현장에서 활발하던 시대에 학업기를 거쳤다. 구상회화의 최전선에서 수년의 세월을 활동했던 경험이 있고, 이후 추상의 본질 탐구에 대한 갈증으로 최근까지 오랜…
대표이미지
[CNB화랑]장순업, ‘자연의 코러스’
서성록 안동대 미술학과 교수 장순업의 작업실은 경기도 광주 곤지암에서 가까운 평화스런 도척면 산기슭에 자리를 잡았다. 작업실 뒤쪽으로 통유리로 된 대형 창문이 나 있는데, 큰 광주리처럼 산의 모습을 그 널찍한 품으로 담아내고 있었다. 속절없이 바뀌는 계절의 변화를 창문을 통해 바라…
대표이미지
[CNB화랑]음양오행사상과 한국적인 정서의 조화
신항섭 미술평론가 이두식이 추구하는 조형세계의 원칙 또는 큰 틀은 생동감을 포함하여 동양사상 그리고 한국적인 정서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연물상에서 받아들이는 형태미와 생기 넘치는 공간 또는 여백, 그리고 오방정색으로 함축되는 음양오행사상 및 한…
대표이미지
[CNB화랑]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
글ㆍ구연주 작가는 캔버스를 마주하고 앉는 순간 어쩔 수 없이 이런 질문에 부닥치게 된다. 무엇을 그려야 할 것인가?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어떤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까? 작가들은 이런 의문을 해소하기 위하여 붓을 잡고 그림을 그리는 시간보다도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된다.…
대표이미지
[CNB화랑]삶의 에너지 응축한 현란한 선의 유희 - 이두식
신항섭 미술평론가 인간의 삶의 동력은 무엇인가? 그것은 말할 것도 없이 건강한 신체이다. 신체가 강건하면 그를 집으로 삼는 정신 및 감정 또한 건강하게 마련이다. 예술이란 정신 및 신체의 조화로써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그렇다. 예술은 신체적인 행위를 통해 구체화되며, 그 신체적인 행위…
대표이미지
[CNB화랑]“내가 인물화에만 전념하는 이유는…”
글·오광섭 오랜 기간 동안 인체는 미술의 표현 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 역사가 증명하듯 인체에 대한 관심은 영원한 화두임을 잘 나타낸다고 하겠다. 인체의 표현을 배움의 한 과정으로만 생각했었다가, 언제부터인가 내 작업에 있어 진정한 대상물이 되어버린 것 같다. 인체는 사…
대표이미지
[CNB화랑]자연과의 묵시적 교감으로 인간주의 실현 - 손영선
손영선의 작품세계를 굳이 양식상으로 분류한다면, 인상파 계열에 속하는 화풍을 천착하고 있다. 빛과 강렬한 색채가 어우러진 자연미의 극치를 화폭으로 끌어들였다. 그는 감수성이 예민했던 꿈 많은 소년시절에도 자연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자연 속에 묻혀 묵시적인 교감을 하면서 자연과…
대표이미지
[CNB화랑]드러나지 않는 幻影과의 숨바꼭질 - 정애경
최근 작가가 즐겨 그리고 있는 소재는 스페인이나 지중해 등지에서 볼 수 있는 언덕 마을 풍경들이다. 처음 이러한 소재의 풍경이 시작된 것은 담담한 사생(寫生)으로부터 시작하여, 이제는 어느 정도 이상화되고 추상화되는 정제된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대상에 대한 경험이 축적되고 시간을 통…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