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경제
·
[정치] 한나라당 괴담, “이명박·박근혜 둘 중 하나는 죽어야 산다”
한나라당 공천 갈등의 불길이 갈수록 거세질 전망이다. 그 동안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던 박근혜 전 대표측도 더 이상 이명박계의 독주를 좌시하지 않겠다며 선전 포고를 하는 등 본격적인 대결 태세에 돌입했다. 특히 지난 10일의 한나라당 총선기획단 발족을 계기로 양측은 ‘둘…
[정치] 盧, “MB, BBK 갖고 죽이기 힘들다”
‘이명박 특검법의 동행명령제 조항에 대해 위헌이지만, 특검법 자체의 효력에는 영향이 없다.’ 지난 10일 헌법재판소가 이명박 특검법 헌법소원사건 선고공판에서 이같이 결정함에 따라 정호영 특별검사는 지난 14일부터 수사에 들어갔다. 제17대 대통령 취임식 이틀 전까지 진행…
[커버스토리] 대통합신당 어쩌려고 손학규 뽑았나
쇄신위가 출범하면서부터 불거진 ‘손학규 추대론’을 몰아온 대통합민주신당은 결국 한나라당 수뇌부 출신 손학규 경기도 전 지사를 새로운 당의 총수로 뽑고야 말았다. 손학규 대표는 14년간 한나라당을 지키며 한때 당 경선후보로 거론될 정도로 유력인사였으나, 지금은 첫 취임사로 “생…
[커버스토리] ‘독재’ 시도하다 민심에 버림 당하나
‘이명박 정부’의 민심잡기가 연이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바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특유의 밀어붙이기식 추진이 갈수록 과하다는 평가다. 심지어 독재정치라는 비난도 거세게 일고 있어 민심에서 ‘팽’ 당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한반도 대…
[커버스토리] 총선, ‘네가 죽느냐, 내가 죽느냐’
10년만에 정권을 되찾고 치러지는 이명박 정부의 18대 총선. 진보세력은 퇴색하고, 보수진영간의 총선 영토 싸움이 시작됐다. ‘이명박-한나라당’ ‘손학규-대통합민주신당’ ‘이회창-자유신당’, 이를 이끄는 3인은 모두 한때 한나라당이라는 지붕에서 한솥밥을 먹은 지도자다. 그러나 이명박은…
[이슈] 인수위원회 월권행위 종착역은?
"인수위가 법률상 없는 정책 기능을 대신한다는 일부 비판과 오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 한나라당은 지난 7일 당 최고위원-인수위 연석회의에서 인수위가 본연의 업무를 넘어선 정책 결정에 대해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인수위에 대한 제동발언은 이후에도 그치지 않았다. 9일 이형…
[이슈] 이명박 정부, 중앙지 보수언론으로 언론권력 대이동 中
이명박 정부의 권력집중화 시도는 언론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기성언론의 터부를 깨고 참여정부에서 인터넷의 발전을 발판으로 신매체로 등장한 인터넷 언론은 그 숫자와 컨텐츠면에서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언론관련법에 인터넷 매체가 정식으로 언론사로 규정되며 법제화 단계에까지 이르…
[이슈] 출범 앞둔 이명박호,‘절대권력화’꿈꾼다
“한나라당은 극복의 대상이 아니라 파트너로 인정해야 한다. 권력을 내놓으라면 통째로라도 내놓겠다.” 2005년 8월 노무현 대통령이 한나라당에 연정을 제안하면서 한 말이다. 지지자들로부터 혹독한 비판을 받아야 하는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한 말이다. 하지만 그로부터 3년이…
[메디컬] 컴퓨터 올바른 자세로 하시나요?
“컴퓨터를 오래 해서 목과 어깨가 아파요.” “컴퓨터를 오래 해서 허리가 아파요.” 필자가 운영하는 통증 클리닉에 내원하는 많은 환자들이 호소하는 내용이다. 1990년대 초반부터 보급되기 시작한 가정용 컴퓨터는 현재 가구당 보급률이 80%에 육박하며 3,000만명 이…
[경제] 치솟는 대출금리에 멀어져가는 내집 마련
새 정권도 시장금리 인상여파를 꺾지 못했다. 아니 오히려 차기정부의 성장 드라이브 정책으로 물가상승 속도가 빨라지면서 대출금리 인상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이를 입증하듯 올해 초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잇따라 상승되고 있다. 덩달…
4771
4772
4773
4774
4775
4776
4777
4778
4779
4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