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
·
2010 부산비엔날레 “일반대중과 거리감 좁힌다”
지역 미술인들의 창작의욕 고취와 해외진출의 발판 마련을 위해 (사)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가 부산지역 대안공간 2곳과 공동 기획해 8월부터 10월까지 대안공간 전시를 연다. 부산비엔날레 대안공간 전시는 일반대중과 예술과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2008 부산비엔…
[공연리뷰]두 괴물의 사랑과 비극…뮤지컬 ‘쓰릴 미’
어린 나이에 법대를 졸업할 정도로 비상한 두뇌를 가진 ‘나’와 ‘그’는 아무 이유 없이 어린 아이를 유괴해 끔찍한 살인을 저지른다. 그리고 34년 뒤 ‘나’는 감옥의 가석방 심의위원회에서 가석방 심의를 받으면서 ‘그’와 저질렀던 범죄 배경과 과정을 담담히 이야기한다. ‘나’는 ‘그’와의…
팔레드 서울 ‘성태훈 개인전’ - 날아라 닭
흐릿한 폐허의 배경을 담고 날지 못하는 날개를 가진 닭과 병아리가 훨훨 나는 그림을 선보이는 성태훈 개인전 ‘날아라 닭’이 팔레드 서울에서 1일부터 14일까지 열린다. 작가는 전통적인 그림 도구인 먹으로 현실에 일어나는 일들을 그리면서 작품 속에 전통과 현실이 친근하게 어우러지면…
“소금 과다섭취의 주범은 김치·국·찌개·어패류”
2005년 1살 이상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한국인은 하루 평균 13.5g의 소금을 섭취하고 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와 한국영양학회가 권장하는 하루 소금 섭취량 5g과 비교할 때 3배를 웃도는 양으로, 한국인이 평소 많은 양의 소금을 섭취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
“먹기 직전에 간하고, 김치보다 겉절이를”
이미 익숙해져 있는 입맛을 갑자기 바꾸기란 쉽지 않다. 건강을 위해서 소금 섭취를 줄여야겠다고 생각하면서도, 너무 싱겁다는 생각에 다시 소금을 찾게 되는 사람들이 많다. 짠맛에 익숙해져 버린 사람들을 위해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이 제시하는 ‘소금 섭취를 줄이면서도 음식을 맛있게 먹을…
지긋지긋한 편두통 어떻게 고치나
설준희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 교수 ‘머리가 아픈 증상’을 뜻하는 두통(頭痛, headache)은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자주 경험하는 흔한 증세이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여성의 66%, 남성의 57%는 1년에 한 번 이상 두통 때문에 고통을 겪는다고 한다. 무슨 일이 잘 풀리지 않…
[화제의 신간]<소멸> 외
“해부용 시체가 살아났다!” 테스 게리첸 지음, 박아람 옮김 어느 날 법의국에 도착한 신원 미상의 아름다운 여성의 시체. 자살한 것으로 보이는 그녀는 들것 위에 누워 법의관 마우라 아일스가 외과용 메스로 해부하기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시체 운반용 부대의 지퍼를 내리고 사체를…
“드라마에서 저의 4차원을 찾아보세요!”
배우 강지환이 SBS의 새 월화 드라마 로 오랜만에 안방극장을 두드린다. 그의 브라운관 컴백은 2008년 뒤 2년 만이다. 강지환은 이 드라마에서 젊은 나이에 스타덤에 오른 베스트셀러 작가 이진수로 나온다. 2004년 뮤지컬 로 데뷔한 강지환은 MBC 일일 드라마 를 통해 스타로 발돋움했다…
내면의 심상 통한 자연의 재해석
김영호 (중앙대교수, 미술평론가) 자연의 이미지를 주제로 하는 전경호 작가의 작품은 내면의 심상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한 추상풍경 같은 것이다. 자연을 터전으로 삼고 있는 삶 속에서 자연을 통해 자아의 존재와 생명력을 확인하고 자연의 질서 속에서 생성되고 소멸되는 생명체를 그러냄으…
진선희의 미디어아트 읽기
진선희 (독립큐레이터) 우리는 앞서 비디오 설치가 중 작가 내면의 인식적 개념을 작품화시키는 예술가로 빌 비올라(Bill Viola)와 게리 힐(Gary Hill)을 대표적으로 언급했다. 빌 비올라가 개인의 동양적인 내면의 성찰을 앞세워 작품을 시각적인 시로 완성해 나갔다면 게리 힐은 언어학자나…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