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한국판 꽃미남들 납신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순정만화계의 고전 (원제: 花より男子, hana yori dango)가 국내에 상륙한다. 2009년 1월 5일 밤 9시 55분 KBS-2TV를 통해 첫 방송되는 한국판 (70분물, 24부작)는 등 한국 드라마의 트렌디를 이끈 ‘그룹에이트’가 제작을, 등 한국형 로맨틱 코미디의…
대표이미지
[화제의 신간] 세상을 바꾸는 월드 체인저들의 미래 코드
이 책은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혁신을 연구하는 전 세계의 저널리스트·디자이너·미래학자·기술자 등의 온라인 두뇌집단인 ‘월드 체인징’이 엮은 책이다. 참여와 공유를 바탕으로 한 민주주의의 새로운 미래, 책임있는 소비, 복지와 삶의 질, 생태와 환경,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친환경 비즈니스,…
대표이미지
서울, 곧 대한민국 경쟁력이다
■ 2007년에 16개 광역시·도 청렴지수 평가 6위였던 서울시가 지난해 전국 1위를 차지했습니다. 올해도 청렴도 1위에 걸맞은 신뢰받는 투명시정과 시민이 공감하는 반부패문화가 정착되도록 시정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민원처리 과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부패 유발을 원천적…
대표이미지
‘문화 콘텐츠’가 한국산업 주도한다
문화 콘텐츠가 2009년을 이끌어갈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2차산업인 제조업의 고용 및 이윤 창출 효과와 경쟁력은 날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어, 새로운 경제도약의 토대를 마련해야 하는 시점에서, 문화 콘텐츠 산업은 많은 일자리를 낳고 높은 이윤을 창출하는 등 가능성이 뛰어난 산업으로 주…
대표이미지
경제위기, 문화 콘텐츠로 극복한다
9월 22일 개최된 에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광부)는 민간정책자문기구 ‘콘텐츠코리아 추진위원회’에서 발굴한 콘텐츠 산업의 신성장동력 과제로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육성, 제2의 온라인 게임 혁명 주도, 100년 감동의 킬러 콘텐츠 개발’을 보고한 바 있다. 이후 문광부에서는 우리…
대표이미지
전국으로 확산되는 문화 콘텐츠 동력
문화 콘텐츠 산업은 창의력·상상력을 원천으로 하는 차세대 성장동력이며, 21세기 지식경제의 핵심 산업이다.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산업전반에 대한 수요가 날로 급증하고 있음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또한, 디지털 융합과 모바일 기술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표현 가능한 콘텐츠 윈…
대표이미지
[명품의 세계] 스위스 시계역사의 선두주자
에드워드 호이어는 1840년 베른(Bern)의 캔턴(Canton)에 위치한 브뤼그(Brugg)에서 슈즈 메이커 장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나이 14세에 쌍띠미에(St.Imier)의 작은 시계 제조회사와 함께 그의 도제생활은 시작되었다. 2년 동안 경험을 쌓은 그는 쌍띠미에의 가장 중요한 시계…
대표이미지
‘무비컬 열풍’ 새해에도 계속된다
영화 이 뮤지컬로 재탄생하며 2008년 ‘무비컬’의 마침표를 찍는다. 늦깎이 대학생이자 차력 동아리 멤버 ‘은식’이 같은 학교의 퀸카 치어리더 ‘은효’와 만나 우여곡절 끝에 사랑의 결실을 맺는 내용을 그리고 있다. 2002년과 2007년에 각각 1편과 2편이 개봉되며 흥행에 성공한 작…
대표이미지
[아듀 2008] 미디어, 좌에서 우로 돌리기 시작
올해 문화계의 핫 이슈는 미디어 관련법 개정이다. 한나라당이 신문·방송 간 겸업을 허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미디어 관련 법률 개정안을 확정, 발의한 것과 관련해 이명박 정부가 10년 동안 좌(左)측으로 치우쳤던 언론을 우(右)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이와 관련, 지난 80년 초 전두환 대…
대표이미지
[아듀 2008] 죽음으로 얼룩진 2008 대한민국 연예계
올해는 유난히 연예인의 죽음 소식이 많은 한해였다. 특히, 자살은 유행처럼 번졌다. 지난 9월 안재환의 자살이 그 시발점이 됐으며, 톱스타 최진실의 자살은 연예인을 비롯하여 전 국민에게 충격을 줬다. 이후, 안재환과 최진실은 연예인들의 자살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거론됐다. 한 여성 포털 사이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