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칼럼
·
[김영두 골프만사] 101살에 101타, 에이지샷 꿈꾸다
(CNB저널 = 김영두 한국골프칼럼니스트협회 부이사장) 골프칼럼니스트 협회의 이사장을 지내셨던 김덕상 님이 작고하셨다. 세상을 하직하기에는 너무도 꽃다운 나이, 67세에.그리 오래지 않은 과거에, 그분은 나하고도 몇 번 동반 라운드를 했었다. 그는 감탄할 만큼 퍼팅 감각이 좋으셨다. 18번 마…
[데스크 칼럼] 오리지널 콘텐츠 전성시대, 국내 OTT 경쟁력은?
전란과 기근, 학정으로 고통받는 17세기 조선. 왕의 죽음을 둘러싼 궁중 권력쟁탈전의 와중에 변방에서 시작된 기이한 역병을 막으려는 젊은 왕세자와 민초들의 치열한 생존투쟁.지난 1월 25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중세 좀비 스릴러 드라마 킹덤(Kingdom)의 시놉시스다. 킹덤은 공개되기 무…
[겸재 그림 길 (25) 동소문 ~ 동대문 ⑥] 양팔 잘린 동대문 보며 극일(…
(CNB저널 = 이한성 동국대 교수) 다시 겸재의 동문조도(東門祖道) 도(圖)를 곰곰 살펴본다(사진 1). 그림 제목으로 쓴 단아한 겸재의 글씨 東门祖道. 도대체 무슨 뜻일까? 동대문이 길의 조상이 된다는 뜻일까? 간송의 최완수 선생의 설명을 읽고서야 그 뜻을 알 수 있었다. 그 뒤에 옥편을 찾아보니 뒤…
[문규상의 법과 유학] 저녁이 있는 삶과 대동사회
(CNB저널 = 문규상 법무법인 대륙아주 변호사) 지난해 11월 서울고등법원의 여성 판사가 과로로 사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두 아이의 엄마로 40대 초반의 젊은 판사는 업무에 치어 주말에도 쉬지 못하고 토요일 저녁에 집안일을 마치자마자 다시 밀린 판결문을 쓰기 위하여 출근하여 일요일 새벽까…
[홍성재 탈모 칼럼] 강태공과 탈모 치료
(CNB저널 = 홍성재 의학박사) 평균 시속 300km로 달리는 KTX 고속열차 운행은 우리나라를 두 시간 생활권으로 만들어 속도의 향상이 주는 편리함과 삶의 질 향상을 줬다. 하지만 새마을호 시절에 비해 기차 여행에 뭔가 아쉬운 마음이 드는 건 왜일까. 아마도 여유 있는 마음과 낭만이 빠져서 그런…
[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20) 유리 작가 이재경 ] “쓸모있는 걸 만…
(CNB저널 = 이문정(미술평론가, 리포에틱 대표)) 필자에게 부산은 아끼는 친구들이 살고 있는 친근한 도시다. 작년 연말 모처럼의 부산 방문길에 흥미로운 전시를 감상할 수 있었다. 유리 작가 이재경과 - 더 갤러리에서도 소개했던 - 코끼리 작가로 유명한 이정윤의 2인전인 꿈꾸는 겨울정원이었다.오…
[기자수첩] 中 진출 한국기업은 중국어 브랜드 만들어야 하는데… 한…
과연 한국어는 보호되고 있을까.중국 진출 기업들의 중문 브랜드 네이밍에 대한 취재를 하면서 들었던 의문이다. 중국은 자국에 진출한 외국 기업들에게 반드시 중문 브랜드명을 만들어 사용하도록 한다. 다소 원음과 달라지더라도 굳이 중문명을 고집하는 이유는 자국민들의 이해를 돕고 외국어로부…
[강명식 골프만사] 한국 골프장의 전동카트 강매는 안전 위해서라굽쇼…
(CNB저널 = 강명식 한국골프칼럼니스트협회 이사) 골프 경기를 도와주는 물건들 중에 카트(cart)가 있다. 카트는 골프채를 운반해주고 경기자의 이동을 돕는 데 쓰인다. 요즘엔 전기로 움직이는 카트가 대세이나 과거에는 경기자 혹은 캐디가 직접 손으로 끄는 카트였다. 요즘에 널리 쓰이는, 캐디백…
[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19)] 한 살 더 먹으면서 미술은 달라지고…
(CNB저널 = 이문정(미술평론가, 컨템포러리 미술연구소 리포에틱 소장)) 영화 아워 소울즈 앳 나이트(Our Souls at Night)(2017)는 노년의 삶을 다룬 영화다. 나를 포함한 누구나 처하게 될 노년의 현실과 심리가 세심하게 묘사되어 있어 무거운 울림을 준다. 영화에 대한 검색을 하던 중 작년…
[겸재 그림 길 (24) 동소문 ~ 동대문 ⑤] 백성 고생시켜 성 세우더니 倭…
(CNB저널 = 이한성 동국대 교수) 이제 동묘(東廟)를 뒤로 하고 동대문을 향하여 간다. 이 길은 양화진 ~ 신촌 ~ 서대문 ~ 종로 거리(운종가) ~ 동대문 ~ 신설동 ~ 제기동 ~ 청량리 ~ 중랑천으로 이어지는 조선시대 한양의 동서 성저십리(城底十里: 성밖 십리)와 경조(京兆: 문안)를 잇는 가장 핵심…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