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조영규 건강 칼럼]대사증후군은 도미노…하나 무너지면 줄줄이

어느 도미도부터 넘어졌는지 정확히 확인해야

  •  

cnbnews 제283호 박현준⁄ 2012.07.16 15:18:38

▶전 세계인의 가장 많은 사망 원인은?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중풍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입니다. 전 세계인의 약 30%가 심뇌혈관 질환으로 사망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급격한 고령화와 생활습관의 서구화로 심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 및 사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인 복부비만, 고혈압, 내당능 장애,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이 한 사람에서 함께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전 인구의 4명 중 1명이 대사증후군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울시에서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서울시민의 대사증후군을 예방 관리하고자 ‘대사증후군 오락(5樂)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사증후군은 어떻게 진단합니까? 1) 복부비만(남자는 허리둘레 ≥90cm, 여자는 ≥85cm) 2) 높은 혈압(≥130/85 mmHg) 3) 높은 공복 혈당(≥100 mg/dl) 4) 높은 중성지방(≥150 mg/dl) 5) 낮은 HDL-콜레스테롤(남자: <40 mg/dl, 여자: <50 mg/dl) 위 다섯 가지 가운데 3가지 이상을 가지고 있으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됩니다. 특징적인 것은 각 대사증후군의 진단 항목들이 각 항목에 대한 임상질환보다 기준치가 낮게 잡혀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140/90mmHg이상일 때 고혈압으로 진단되지만, 대사증후군의 혈압 진단기준은 고혈압의 진단 기준보다 낮은 130/85mmHg로 정해져 있는 식입니다. 이는 개별 질환으로 진단되지 않을 정도의 경계적인 증가라고 하더라도 여러 가지 불리한 점이 중복되면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대사증후군은 왜 생기는 걸까요? 도미노를 아십니까? 도미노는 첫 번째 조각이 쓰러지면 뒤에 있는 조각들이 연속해서 쓰러지는 놀이입니다. 대사증후군은 도미노와 같습니다. 나쁜 식습관과 운동부족과 같은 나쁜 생활습관이 지속되면 복부비만과 인슐린저항성을 야기하고, 그 결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내당능장애 등의 대사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병태가 이어지면 동맥경화가 계속 진행되어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중풍 같은 심각한 질환이 발생하고, 결국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대사증후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지금 넘어가는 도미노 조각에만 관심을 써서는 전체 도미노가 넘어지는 것을 예방·관리할 수 없습니다. 아래쪽에 있는 도미노 조각이 넘어져 있다면, 그 위쪽에 원인이 되는 다른 도미노 조각이 넘어져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고혈압으로 진단됐다면 혈압을 낮추기 위해서 혈압 약만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그 사람의 혈압을 높이는 데 기여한 선행요인은 없는지 찾아야 합니다. 짜게 먹는 습관, 운동부족, 과음, 비만 등 혈압을 늘리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선행요인들을 찾고, 발견된다면 함께 교정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대사 도미노 중 어느 조각이 넘어져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치료하면서 동시에 그 원인 도미노를 찾아 함께 교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조영규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