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데스크 칼럼]“안철수 ‘불출마 종용 협박설’ 그냥 넘어갈 일 아니다”

  •  

cnbnews 제291호 심원섭⁄ 2012.09.10 11:40:22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 공보단의 정준길 공보위원이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사생활을 협박하며 대선 불출마를 종용했다는 주장이 나와 정치권에 논란이 되고 있다. 안 원장 측의 금태섭 변호사는 지난 6일 기자회견을 열어 정 위원이 전화를 걸어와 “(안 원장이 대선에 출마할 경우) 뇌물과 여자 문제를 폭로하겠다며 대선 불출마를 종용했다”고 폭로했다. 금 변호사의 주장에 따르면 정 위원이 ‘협박’한 내용은 ‘1999년 산업은행으로부터 안랩 설립 투자를 받은 것과 관련, 투자팀장인 강 모 씨에게 주식 뇌물을 공여했다는 것과 안 원장이 30대 음대 출신 여성과 최근까지 사귀고 있었다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어 금 변호사는 “정 위원은 ‘우리가 조사해 다 알고 있다. 이걸 터뜨릴 것이기에 (안 원장이) 대선에 나오면 죽는다’고 여러 차례에 걸쳐 협박했다”고 주장했다. 물론 금태섭 변호사와 정준길 위원은 대학 동기에다 사법연수원 1년 선후배로서 잘 아는 사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 위원은 “친구 사이의 대화를 협박이다, ’불출마 종용‘이다라고 하는 건 너무 과장된 얘기”라며 억울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정 위원은 “시중에서 들은 얘기를 전한 것뿐인데 마치 비호 세력이나 조직이 있고 정치사찰을 한 것처럼 과대포장한 것은 상당히 유감”이라는 주장도 하고 있다. 이렇듯 두 사람의 설명이 다르긴 하지만 일단 정 위원이 느닷없이 전화해서 그러한 상황들을 얘기했던 것만은 부적절했던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정 위원은 가장 강력한 대권주자인 박근혜 후보 측 공보위원이라는 직책을 맡아왔고, 사정기관의 정보를 입수하기에 용이한 검사 출신이기 때문에 그의 해명을 곧이곧대로 믿기는 어렵다는 게 정치권의 공통된 시각이다. 실제로 최근 재개발 아파트 입주권 매입(소위 딱지), 포스코 스톡옵션 행사 등 안 원장을 둘러싼 의혹들이 잇따라 특정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물론 안 원장이 유력 대선주자인 것은 사실이지만 정치를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인물이라는 점에서 더욱 철저한 검증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국민들에게 충분한 검증의 기회를 주는 건 그의 의무라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국가기관이 뒷조사를 하거나, 갖고 있던 정보를 흘린다면 문제가 달라진다. 지난달 경찰이 안 원장의 사생활에 대해 내사를 벌였다는 보도가 나왔을 때 경찰은 전면 부인했지만 이번 금 변호사의 폭로에 비춰볼 때 경찰이 아니더라도 국가기관이 안 원장을 사찰했을 가능성을 완전히 지우긴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여당 후보 측이 이러한 정보들을 악용하여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를 협박해 출마를 막으려 했다면 도덕적 지탄은 물론 법적 심판의 대상까지 될 수 있다.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 불법성이 드러날 경우 엄중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는 게 야당 측의 주장이다. 물론 대통령으로서의 도덕성이나 자질, 능력은 철저하고 엄격하게 검증하되 인격을 말살하다시피 하는 ‘죽이기’나 ‘때리기’는 용납될 수 없다. 그러잖아도 우리 정치권은 대선 때마다 ‘병풍’이니 ‘안풍’이니 하는 폭로전을 거듭해왔다. 정치권의 이전투구 속에 국민들은 사건의 정확한 진상도 모른 채 투표장으로 향해야 하는 개탄스런 상황이 되풀이돼왔다. 이번 대선에서는 절대로 과거와 같은 부끄러운 진흙탕식 싸움이 재연돼서는 안 된다. 정치권이 그런 구태를 보인다 해도 국민이 이제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정치권은 명심하길 바란다. - 심원섭 정치전문 대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