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 제안

“시대정신 후대에 물려줘야” 5일 시무식서 밝혀… 출산장려금 28억원도 지급

  •  

cnbnews 김응구⁄ 2025.02.05 14:08:18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5일 열린 시무식에서 자녀 출산 직원들에게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고 있다. 사진=부영그룹
 

부영그룹이 5일 시무식을 개최했다.

이날 이중근 회장은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출산 직원 자녀 1인당 1억 원씩 총 28억 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했다. 지금까지 지원한 70억 원을 합치면 누적 출산장려금은 98억 원에 이른다.

이중근 회장은 “대한민국에서 저출생 문제가 지속한다면 20년 후 경제생산 인구수 감소, 국방 인력 절대 부족 등 국가 존립 위기를 겪게 될 것으로 보고, 이의 해결책으로 출산장려금 지급을 결정했다”며, “우리가 마중물이 돼 앞으로도 많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출산을 지원하는 나비효과로 번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부영그룹은 출산장려금 지급 이후 사내 출산율이 늘었다고 밝혔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23명의 아이가 태어났는데, 지난해는 5명이 늘어 총 28명이 출산장려금 혜택을 봤다.

한편, 이중근 회장은 이날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군에 감사를 표하고 후대에 이어질 시대정신을 강조하는 의미로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을 제안했다.

이중근 회장은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라며 “유엔군은 낯선 땅에서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 걸고 싸웠고, 그 희생 위에 대한민국이 존재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우린 점점 유엔군의 희생을 망각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유엔군의 희생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는 마음으로 유엔데이를 공휴일로 재지정해 그 시대 정신을 후세에 지속적으로 물려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엔데이는 국제 평화와 안전을 목표로 국제연합(UN)이 창설·발족된 1945년 10월 24일을 기념하고자 제정한 기념일로 ‘국제연합일’로도 부른다. 우리나라는 1950년~1975년 공휴일로 지정했지만, 북한이 1975년까지 유엔 산하 여러 기구에 공식적으로 가입하자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1976년 이를 폐지했다.

현재 유엔참전유산은 전 세계 두 곳이 있으며 모두 우리나라다. 유엔 창설 70주년을 맞아 용산 전쟁기념관에 설치한 6·25 유엔 참전국 상징기념물과 부산 재한유엔기념공원(변경 전 유엔기념묘지)이다. 이중근 회장은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 2.7m 높이의 23개 유엔참전비 건립비용을 지원한 바 있다. 서울시도 최근 광화문광장에 6·25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담은 ‘감사의 정원’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

관련태그
부영그룹  이중근 회장  출산장려금  유엔데이  6·25전쟁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