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오비맥주, 구호용 생수 ‘OB워터’ 4만5000병 기부
구자범 오비맥주 수석부사장(가운데 왼쪽)과 신훈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 사무총장(가운데 오른쪽)이 생수 기증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오비맥주오비맥주가 재해 구호용 친환경 생수 OB워터 4만5000여병을 생산해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에 기탁했다고 6일 밝혔다.5일 열…
대표이미지
성동구, 어르신 대상 의약품 안전 사용 눈높이 교육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지역사회 약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2025년 하반기 노년기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을 계획하고 5개 노인복지관, 60세 이상 어르신 약 200명을 대상으로 오는 12월까지 진행할 예정이다.이번 교육은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여러 가지…
대표이미지
강서구, 청소년·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오는 10일부터 28일까지…
서울 강서구(구청장 진교훈)는 유청소년 스포츠강좌이용권과 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의 동시 접수를 오는 10일(월)부터 28일(금)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이번 사업은 저소득층, 장애인 등 취약 계층에게 스포츠 참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2026년 1월부터 12월까지 지원을 받게 된다.유청…
대표이미지
[게임 이슈] ① 마비노기 모바일, 8년 개발·1000억 투입 결과는 콘텐…
마비노기 모바일. 사진=넥슨8년의 개발기간과 1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넥슨의 대형 프로젝트 게임 마비노기 모바일이 출시 7개월 만에 콘텐츠 고갈, 기획 부실, 유저 기만형 운영 논란에 휩싸였다.마비노기 모바일은 출시 한 달 만에 주요 전투 콘텐츠(레이드어비스 등)가 모두 소모된 뒤, 6개월 넘…
대표이미지
중구문화재단 손기정문화도서관, 새활용 동아리 ‘다시쓰기 클럽 시즌2…
서울 중구문화재단(이사장 김길성, 사장 왕소영)이 운영하는 손기정문화도서관은 2025년 도서관 문화예술 동아리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새활용 동아리 다시쓰기 클럽 시즌 2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민들의 뜨거운 참여 속에서 진행되며, 도서관이 환경 교육과 창의 활동의 거…
대표이미지
LG엔솔, 배터리 수명향상 기술로 ‘CES 혁신상’ 수상
LG에너지솔루션이 Better.Re(배터.리) 솔루션으로 CES 2026 혁신상을 수상했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수명향상 기술이 CES 2026 혁신상을 수상했다.LG에너지솔루션은 5일(현지시간)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선정하는 CES 2026 혁신상에서 첨단 모빌리…
대표이미지
“남산골 한옥마을이 놀이동산으로!” 중구, 8년만에 돌아온 '어린이집…
서울 중구는 오는 11월 8일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남산골 한옥마을 천우각 광장 일대에서 2025 중구어린이집 행복대축제가 개최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중구어린이집연합회와 중구육아종합지원센터가 공동으로 주관하며, 어린이집 원아와 학부모 등 약 2,500여 명이 참여할…
대표이미지
두나무 ‘업비트’, NH투자증권 PB 대상 ‘업클래스(UP Class)’…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지난 5일 NH투자증권 PB(프라이빗뱅커)들을 대상으로 디지털자산 교육 업클래스(UP Class)를 진행했다고 6일 밝혔다.업클래스(UP Class)는 두나무가 국민 디지털자산 이해 증진에 기여하고자 국내 1위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전문 지식과…
대표이미지
GC녹십자, ‘혈우병 관절병증 예측 모델’ 개발 착수
GC녹십자(대표 허은철)가 한국혈우재단과 서울대학교 약학대학과 함께 혈우병 환자의 관절병증 예측 모델 개발에 착수했다고 6일 밝혔다.이 프로젝트는 4월 GC녹십자가 제안하고 두 기관이 합류하면서 본격화됐다. 국내 기업이 혈우병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관절병증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
대표이미지
중구민 거주 현황 데이터 기반... 중구, 2026년 사업예산안 6,129억 원 편…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는 총 6,129억 원 규모의 내년도 사업 예산안을 지난 5일 중구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 5,770억 원 보다 6.21%인 359억 원이 증가한 규모다.이번 예산은 중구민 거주 현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혜자 중심의 생활밀착형 사업(43억 원) ▲취약계층 복지건강 강화…


CNB 저널 FACEBOOK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