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데스크 칼럼] 시니어에게 AIP가 중요한 이유... 낯선 환경보다 안정감…
페이스북을 기웃거리다 보면, 종종 대선배들의 근황을 접할 수 있습니다. 그중 거의 매일 게시물을 올리는 고교 선배 한 분이 있습니다. 아침 식사 메뉴부터 늦은 술자리까지 하루 일상을 사진과 함께 깨알처럼 올립니다.대기업 출신인 이 고교 선배는 60대 중반이지만 아직도 일을 하고 있습니다. 디자…
대표이미지
[욜드족 전성시대①] 커피 내리고, 모델 하고, 편의점서 일하는 열정 시…
그냥 시니어가 아니다. 대세는 욜드(Yold)족이다. 영(Young)과 올드(Old)의 합성어인 욜드는, 노인 연령에 진입한 베이비붐 세대(1950~1960년대 출생)가 주도하는 젊은 노인층을 뜻한다.노인층이 늘어나며 욜드족의 파급력은 점차 커지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고령자 통계…
대표이미지
[욜드족 전성시대②] 젊은이보다 더 젊은 그들, 시니어의 천국 ‘강남…
욜드족(族). 이런 단어를 어떻게 만들었나 싶다. 많이 알려진 대로 영(young)에 올드(old)를 더한 말이다. 여기서 주목할 건 영이다. 젊진 않지만, 누구보다 젊게 살고 싶다. 혹은 그렇게 살고 있다. 그런 만큼 배움의 욕구가 크다. 그래서 주저하지 않는다. 배움에 드는 소비는 기꺼이 감당한다. 눈…
대표이미지
[욜드족 전성시대③] 기술 친화적 욜드족, 더 건강하게 만드는 디지털…
욜드(YOLD) 시대가 도래했다영국 이코노미스트가 펴낸 2020년 세계경제대전망에서는 새로운 시니어 계층의 부상을 이같이 예고했다. 1946년에서 1964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 세대로 구성된 시니어 계층에 욜드(YOLD, 영(Young)과 올드(Old)의 합성어)라는 명칭이 부여된 데에는 다양한…
대표이미지
[욜드족 전성시대④] 시니어 건강의 최전선, 지금 대학병원에선?
2022년 통계청이 발표한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추이에 따르면 한국 인구의 기대수명은 1970년 62.3세에서 2021년 83.6세까지 높아졌다. 하지만 건강수명은 평균 66세로 기대수명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왔다.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노인은노화로 인한 여러 가지 신체적 변화로 인해 여러 장기의…
대표이미지
[인터뷰] 정지원 제이앤브랜드 대표 “그레이는 핑크도, 옐로우도 될…
그레이 이즈 더 뉴 핑크(Grey is theNew Pink).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세계문화 박물관에서 2019년 열렸던 전시 주제다. 부제는 나이 듦의 순간들로, 세계 각국의 작가들이 사람들의 나이 드는 순간들을 포착해 사진, 텍스트, 콜라주, 스케치, 설치미술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했다. 전시는 희끗한 머…
대표이미지
[인터뷰] 한강주조 고성용 대표 "‘막걸리 바보에서 막걸리 천재로"
주얼리 마케터였던 고성용은 잘 다니던 회사를 5년 만에 박차고 나왔다. 그리곤 서울 뚝섬역 근처에 카페를 차렸다. 신나게 잘됐다. 재미도 있었다. 어느 날, 그는 카페를 접었다. 망했을까? 천만에. 나날이 커갔다. 그래도 스스로 문을 닫았다. 공교롭게 이번에도 5년 만이었다.여섯 달 고민하다 성수동…
대표이미지
[인터뷰] 편의점업계 첫 佛 와인 기사 작위, GS리테일 김유미 와인 M…
영화배우 재키 챈(成龍), 성악가 플라시도 도밍고(Placido Domingo),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 전 일본 총리, 자크 시라크(Jacques Chirac) 전 프랑스 대통령. 여기에 요새 한창 말 많은 SM엔터테인먼트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이들의 공통점 한 가지. 모두 프랑스 와인 기사 작…
대표이미지
[특별기획] 안전 또 안전… 중대재해법 후 안전 고삐 더 죄는 건설사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 1년을 넘겼다. 아직은 과도기. 시행 2년을 맞는 2024년 1월 27일부터 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 원 미만 공사도 법 적용 대상이 된다.부산상공회의소는 8일 중대재해법 시행 1년을 맞아 기업별 대응 현황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업종과 상관없이 대부분 기업이…
대표이미지
[기획] 새봄 백화점 문화센터의 변신... 재테크 전략 배우고 와인·미…
코로나로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어온 백화점 문화센터가 코로나 이전 수준을 넘어 개관 이래 최대 전성기를 누리며 다시금 활기를 띠고 있다.실제로 지난 겨울 학기 롯데백화점 문화센터의 회원 수는 코로나 이전(2019년) 대비 10% 이상 증가한 데 이어, 1988년 개관 이래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특히…
1 2


배너

포토뉴스

more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