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미술
·
[도서]‘한국 그림의 전통’
‘한국 그림의 전통’ 100년이 되지 않은 짧은 역사의 한국미술사. 저자 안휘준은 한국 미술사를 이야기하면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이 책은 ‘한국 회화사’라는 개념의 기틀을 잡아가는 과정에서 듬직한 역할을 수행했던 저자의 1988년 출간 ‘한국 회화의 전통’을 재편집한 것…
3개 왕조가 숨 쉰, 2000년 왕도 익산
한국 역사에서 최고의 도읍지는 어디일까. 무려 3개 왕조가 명멸한 왕도가 있다. 신라 천년 사직의 경주도 아니고, 백제의 애환이 서린 부여도 아니고, 조선이 숨 쉰 서울도 아니다. 역사와 신화가 혼재된 익산이다. 금강과 만경강을 젖줄기 삼아 넉넉한 호남평야를 품고, 노령산맥을 배경삼은 익산은 선…
최성철, 무지갯빛 색채 입은 조각 이야기
조각가 최성철은 스테인리스 스틸이라는 재료의 물성을 감추기 위해 작품 표면에 채색을 한 후 하단에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주는 거울 효과를 내는 작업으로 완벽한 조화를 이뤄내고 있다. 작가가 이탈리아 카라라에서 돌아와 석조에 채색을 할 때만 해도 그의 조각은 미술계에 상당히 낯설게…
블록버스터 전시는 미술 대중화 위한 새로운 대안?…
미술관들이 대중 친화를 도모하는 과정은 전시 형식과 내용에 큰 변화를 가져 왔다. 그 가운데 최근 특히 부각된 전시 형식으로 블록버스터 전시를 꼽을 수 있다. 보다 폭 넓은 관객을 타깃으로 하는 대형 전시는 미술관들이 변모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미술 인프라 없는 상태에서 대형 전시의 의미 되새겨야”
“21세기 인류의 새로운 코드는 문화입니다. 다채로운 문화와 풍요로운 예술의 향기가 21세기를 만듭니다.” △오르세미술관 전 △'고흐의 별밤과 화가들의 꿈' △프랑스 국립 베르사이유 특별전 '루이 14세에서 마리 앙투아네트까지' △터너에서 인상주의까지 영국 근대 회화전 △프랑스국…
[아트인 선정 전시]가나아트갤러리 ‘이숙자의 색채 여정’
일명 ‘보리밭 작가’로 유명한 원로화가 이숙자가 5년 만에 돌아왔다. 지난 40여 년간 보리밭, 이브, 꽃 등을 주제로 한국적 감성과 미를 연구해온 이숙자의 개인전 ‘이숙자의 색채 여정’이 가나아트갤러리에서 3월 9일부터 4월 1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에는 옛 여인들의 체취가 배어 있…
[아트인 선정 전시]갤러리엠 ‘클러스터즈’ 전
각기 다른 재료로 작가 개인의 취향과 관심에 따라 정의된 현대 사회의 의미를 보여주는 ‘CLUSTERS’ 전이 갤러리엠에서 2월 23일부터 3월 24일까지 열린다. 김주리, 박형지, 신건우 3인의 젊은 작가가 참여한 이번 전시의 제목인 클러스터는 음악용어로, 동시에 여러 음을 내는 다중화음을 뜻한…
‘어떤 목적 화랑이냐’ 따라 화랑 구조 달라진다
화랑을 열고자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난호(264호)에 화랑을 열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화랑의 의의와 시작 그리고 성격 등 기본적인 사항들을 짚어봤다. 화랑을 열고 운영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바로 수익성이다. 화랑은 초창기 투자로부터 시작해 많은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공공…
[공연 예술]‘밀본세력’이 장영실도 죽였다?
에비타, 엘리자벳, 모차르트…. 한국 무대에 오른 서양인들이다. 아르헨티나의 퍼스트레이디였던 에비타는 뮤지컬 ‘에비타’로 작년 무대에 올랐고, 오스트리아의 황후 엘리자벳은 뮤지컬 ‘엘리자벳’으로 현재 공연 중이며, 천재 음악가 모차르트는 뮤지컬 ‘모차르트 오페라 락’으로 3월말 공연…
[화제의 신간]‘정의의 한계’
지금 이 시대에 정의는 요구되는가? ‘정의의 한계’ 마이클 샌델 지음, 이양수 옮김 몇 년 전 ‘정의란 무엇인가’로 우리 사회에 정의에 대한 물음표를 던진 저자가 이번엔 ‘정의의 한계(원제: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로 우리 사회가 풀지 못한 정의에 대한 해답을 들려준다.…
1681
1682
1683
1684
1685
1686
1687
1688
1689
1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