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본고사 부활없는 대학 자율화?

홍준표·원희룡 의원 간 본고사 공방 가열

  •  

cnbnews 제21호 ⁄ 2007.07.02 13:25:16

교육분야 한나라당 정책비전대회에서 원희룡 의원과 홍준표 의원은 3불정책의 일환인 본고사 찬반 논란에 대해 열띤 설전를 펼쳤다. 원 의원은 대선예비주자 간 상호토론에서 홍 의원이 발표한 교육공약은 사실상 본고사 부활을 주장하는 것이라며 “본고사 부활은 거꾸로가는 복고풍 정책”이라고 맹비난했다. 이에 홍 의원은 “지금 원 의원의 질문은 본고사 부활이 아니고 대학 자율에 맡기자는 것”이라며 자신의 공약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홍 의원은 수능점수 한번으로 대학이 결정되는 오류를 타파하기 위해 수능시험을 2~3번쳐서 좋은 점수를 선택하고, 수능비율도 50% 이하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학 입학시 50% 비율은 대학자율로 해야 한다며 학생활동·클럽활동·사회봉사 활동 등을 평가해 리더십을 키워주는 장래를 만들어 나가면 된다고 밝혔다. 특히 홍 의원은 “이것은 본고사 부활과 다른 문제”라고 항변했으며, 원 의원은 “대학 자율화라는 말 속에는 본고사 부활이 포함돼 있다”고 일축했다. 이어 원 의원은 “대학선발권은 자율에 맡기더라도 과거로 돌아가는 문제풀이식 본고사는 피하는 게 선진국으로 가는 길”이라고 강조하며 “홍 의원은 본 부활을 주장한 것을 철회한 것으로 받아들이겠다”고 압박했다. ■ 洪 “서울대 공주 이전” VS 元 “서울대 학부 폐지” 한편, 원 의원은 홍 의원의 서울대 충남 이전공약을 지적하며, 자신의 공약인 서울대 학부폐지를 역설했다. 서울대 출신인 원 의원은 SKY(스카이)로 대표되는 대학서열화를 깨야 한다며 “문제의 근본인 서울대 학부폐지를 통해 대학생 간 경쟁을 유도해야지 서울대를 공주로 옮긴다고 해서 되겠냐”며 홍 의원을 겨냥했다. 이에 고려대 출신인 홍 의원은 “어느나라를 가봐도 일류대학은 다 있다”며 고교평준화에 이어 대학도 평준화해야 된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홍 의원은 “한국사회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군대 안가고 세금을 안 내려고 하는 문제는 대학이 평준화가 안되서 이런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니다”고 소개하며 노블리제 오블리주 정신의 부재가 원인이라고 제시했다.

홍 의원은 미국의 7개 아이비 대학과 영국의 옥스퍼드·캠브리지 대학도 서열화 돼 있음을 언급하며 이들 선진국들은 노블리스 오블리제 즉 책임의식을 다한다는 것이 한국과이 차이라고 적시했다. 이와 관련, 원 의원은 홍 의원의 공약인 EBS의 과외전문채널화 및 국립대 통폐합 등을 언급하며 다른 후보들에 비해 그나마 뚜렷한 교육정책을 갖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 洪, 박근혜 고교평준화 비판 한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고교평준화의 주민 자율선택을 공약한 것과 관련 홍준표 의원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홍 의원은 “16개 시·도에 고교평준화를 자율적으로 결정하자면 교육체계에 혼란이 생긴다”며 박 전 대표의 공약을 겨냥했다. 비평준화 지역에 살던 주민이 평준화 지역으로 이사를 하게 될 경우, 평준화 지역을 피해가며 계속 이사만 가게 된다는 폐해를 지적한 것. 이에 대해 박 전 대표는 “그런 경우는 특수한 예”라며 “그 문제는 평준화 문제(의 폐해)는 아닌 것 같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박 전 대표는 “(고교평준화는)주민들이 스스로 선택한 것이므로 다른 지역에서 이사 온 것이면 다른 주민이 이미 선택한 체제를 따르는 게 맞지 않냐”고 말해 사실상 자신이 밝힌 공약의 허점을 인정했다. 이에 박 전 대표는 “그런 추가적으로 생길수 있는 문제는 잘 보완하면 되지 큰 틀은 없어져서는 안된다”며 자신의 공약을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교육문제를 중앙 정부에서 모두 통제하기 때문에 평준화를 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며 공교육을 정상화하지 못하는데 주요원인은 자율화의 부재라고 주장했다. 특히 박 전 대표는 사립학교 문제와 관련, “물론 비리 사학은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현 정부는 1.2%에 불과한 비리사학 척결을 핑계로 모든 사학을 범죄자 취급하고 있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 朴 “모든 사학이 비리는 아냐” 항변 한편, 복지정책에 있어 만 3세부터 5세까지의 어린이집과 유치원 비용을 국가가 부담하겠다고 발표한 박 전 대표에 대해 고진화 의원은 예산확보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는 “복지정책을 낼 때 충분한 재원이 확보될 수 있느냐, 감당할 수 있느냐를 다 계산하고 알아보고 발표했다”며 되받아쳤다. 자신의 공약인 7% 경제성장론에 비춰볼 때 경제성장률이 1%가 늘면 세수는 2조가 더 늘어난다며 충분히 재원을 감당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앞서 박 전 대표는 민간 어린이집 수준을 국공립 수준으로 올리도록 지원하며 만 2세까지의 아기들만 돌봐주는 영아전담시설을 동네마다 만들겠다는 내용의 복지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최수정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